{{{#!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321a8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안산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똑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1. 노선 정보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77번 | |||||
| |||||
기점 |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선부동차고지) | 종점 |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부곡중학교) | ||
종점행 | 첫차 | 05:10 | 기점행 | 첫차 | 05:20 |
막차 | 23:00 | 막차 | 23:05 | ||
평일배차 | 7~15분 | 주말배차 | 8~15분[1] | ||
운수사명 | 경원여객 | 인가대수 | 26대 | ||
노선 | 선부동차고지 -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 수정/공작한양아파트 - 동명아파트 - 안산라프리모[단독] - 초지역 - 신안산대학교 - 초지동 - 호수동 - 중앙역 - 서울예술대학교 - 월피동 - 부곡동 |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2. 개요
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36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과거에 지금 노선과는 다른 77번이 있었다.
- 2000년대 초반, 고잔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며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현재 노선으로 개통하였다. 당시에는 BM090으로 운행했다.
4. 특징
- 주로 선부동 주민들(석수골, 수정, 공작한양아파트)이 초지역에서의 환승을 목적으로 많이 타는 편이다. 수정한양/공작한양아파트의 경우는 선택지가 이 버스 뿐이고 98번이나 97번, 511번도 있지만 전부 배차면에서 77번에 밀린다. 석수골의 경우는 동사의 511번이 있긴 하지만 배차가 시원찮은 편이였고[4] 511번은 선부동을 한바퀴 돌아가느라 귀한 시간을 잔뜩 까먹게된다. 이러한 이유로 배차도 괜찮고 노선도 비교적 개념인 77번으로 승객들이 몰리는 편이다.[5] 결국 2017년 6월 승차량에서 동사의 최고 효자노선인 52번을 간단히 물리친것은 물론이요, 전체 순위에서도 5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배차간격이 상당히 좋은데, 77초 배차로 느껴지기도 한다.[6]
- 또한 이 버스는 학교를 많이 지나가기로도 유명하다. 고등학교만 해도 5곳(경일고[7], 초지고, 양지고[8], 고잔고, 부곡고)이나 지나가는데다가, 경안고에 내리는 학생도 많다. 광덕고도 갈 수 있다. 중학교도 4곳(광덕중, 석수중, 성포중, 부곡중), 대학교도 2곳(신안산대, 서울예대)을 지나간다. 심지어 초등학교도 3곳(석수초, 선부초, 관산초)이나 지나간다. 얼마나 학교를 많이 지나가면 아예 버스 창문에 따로 경유하는 학교를 써 붙여놓은 적도 있었다. 덕분에 아침 등교시간만 되면 버스 안은 온갖 학생들로 짬뽕되어 카오스를 연출한다. 카더라.[9] 물론 고잔고 역시 학생 수가 못지 않게 많다보니 고잔고 학생들도 많이 볼 수 있다. 다만 고잔고는 다른 버스가 많이 다니는 나름의 교통의 요지인지라 어느 정도 분산은 이루어진다.[10]
- 그 외에 초지동 고잔신도시 ↔ 중앙역 셔틀로도 자주 이용되지만 이쪽은 71번을 비롯한 다른 대체노선이 많기 때문에 굳이 77번을 타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고잔신도시↔중앙역 구간에서는 이 노선이 배차가 제일 짧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개통되면서 선부동 일대의 달미역과 선부역 근처를 통과한다. 이 버스가 통과하는 지역 주민들은 이제 전철을 이용하기 위해 굳이 초지역까지 가지 않아도 되는 만큼 77번에 대한 의존도가 조금은 줄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서해선 평시 배차간격이 20분이나 되며, 초지역에서 환승을 해야 하는 불편 때문에 77번 이용객은 여전히 많다.
- 과거 BS106과 현대 블루시티로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고상/저상으로만 운행된다.
- 2012년 2월에 버스기사와 시민이 말다툼한 사건이 있었다. 관련 기사
- 중앙역 앞(중앙역1번출구) 정류장에서 탑승 시 행선판 확인이 필수이다. 하나의 정류장에 상하행 버스가 둘 다 정차하기 때문. 헷갈림을 방지하자면 조금 더 걸어서 도보 5분 이내의 근처의 정류장[참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선부동차고지 방향 부곡중학교 방향 선부동 부곡동
- 2020년 10월 코로나19 사태를 핑계로 일방적인 인원감축을 실시하면서 배차간격이 지나치게 늘어나면서 KBS 9시 뉴스에 지적되었다. 기사에는 사람이 꽉 들어찬 77번 내부가 촬영되어 방송되었다. KBS 뉴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 55,149 | |
2013년 | 55,875 | △ 726 |
2014년 | 55,355 | ▽ 520 |
2015년 | 51,854 | ▽ 3,501 |
2016년 | 54,330 | △ 2,476 |
2017년 | 55,969 | △ 1,639 |
2018년 | 54,712 | ▽ 1,257 |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 38,496 | |
2013년 | 23,749 | ▽ 14,747 |
2014년 | 43,157 | △ 19,408 |
2015년 | 39,380 | ▽ 3,777 |
2016년 | 39,833 | △ 453 |
2017년 | 41,890 | △ 2,057 |
2018년 | 39,048 | ▽ 2,842 |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초지역, 중앙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선부역[12], 초지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초지역, 중앙역
[1] 일요일 및 공휴일은 배차가 25분까지도 벌어진다.[단독]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3] 학교셔틀의 경우 62번도 이에 해당된다.[4] 현재는 노선을 단축하면서 배차가 괜찮아졌긴 했지만 그래도 현재도 77번에 비해선 밀린다.[5] 문제는 이 때문에 승하차지연이 상당히 자주 발생한다는것. 다른 노선으로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6] 물론 이것도 이제 옛말이고 2020년쯤 부터는 현재 기준 정확히 10분 배차를 간신히 유지하는 중이다.[7] 다니는 버스는 2개뿐인데 배차가 긴 511번을 믿기 힘들어 동명아파트부터 경일고 학생들로 꽉차는 불상사가 발생한다...[8] 특히 정류장에서 걸어서 약 5분 정도 떨어진 곳에 안산중앙도서관이 있어서 다른 학교 정거장보다도 승하차율이 높다.[9] 그 중에서도 초지고 학생이 손에 꼽을 정도로 많다.[10] 학교 앞을 지나가는 노선중 배차가 길지 않는 노선은 55번, 62번 정도이다. 이 노선들은 예전에는 10분 이하 였지만 지금은 1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하고 심하면 30분 간격으로도 벌어진다.[참고] 횡단보도/지하도를 이용해 큰길(중앙대로)을 건너 있는 중앙역1번출구건너편(구 중앙역건너편 정류장)은 부곡동 방면만, 출구에 붙어있는 넓은 도로와 공터를 지나서 걸으면 나오는 중앙역2번출구(구 중앙역 후문 정류장)은 선부동 방면만 정차한다.[12] 선부광장 일대의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