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0:15:14

수원 버스 310

안양 버스 310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16419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수원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일반
버스 수원똑버스01, 02
마을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파일:성우운수 310_1316.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분당선 개통과 310번의 성장
4. 특징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일반버스 310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5px -10px"운수사명성우운수인가대수10대
파일:수원 310 노선도(신).jpg}}} ||}}}}}}}}} ||
기점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경희대학교) 종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동원고)
종점행 첫차 04:20 기점행 첫차 05:00
막차 22:30 막차 23:20
평일배차 12~40분 주말배차 15~60분
운수사명 성우운수 인가대수 10대
노선 경희대학교 - 영통역 - 벽적골 - 망포역 -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역 - 화서사거리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한일타운 - 파장시장.삼익아파트 → 장안힐스테이트 → 장안STX칸 → 동원고 → 경기도인재개발원 → 파장시장.삼익아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

성우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3.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 - 조정 전 조정 후
기점 23 : 00 22 : 30
종점 23 : 50 23 : 20

3.1. 분당선 개통과 310번의 성장

분당선 개통 전 수원역과 벽적골, 영통역 주변을 잇는 시내버스는 5, 7, 7-2, 310번 정도였다. 2-1은? 허나 5번을 제외하면 배차간격이 노답이였다.(심지어 5번은 벽적골->청명마을을 찍고 영통역을 간다.)

7번과 7-2번은 엇배차를 하다보니 수원역에서 영통방향으로는 배차간격이 뒤죽박죽이였고[2], 310번은 어쩌다 한번 오면 타는, 즉 타면 운이 좋은 그런 버스였다.

당시 영통역 주변 상가, 영통주민들, 경희대 학생들까지 그렇게 수많은 이용수요가 있음에도 그렇게 굴리는게 이해가 안갈정도. 그렇다보니 당시 영통~수원역 시내구간을 이용하는데 좌석버스인 900번도 굉장히 흥했었다. 지금이야 시내버스지만.

허나 분당선이 수원역까지 개통됨에 따라 영통~수원역을 잇는 7번[3]과 7-2번은 큰 폭풍을 겪었다. 허나 분당선 개통전까지 듣보잡 취급받던 310번은 북수원 구간 노선 변경과 함께 특이하게 폭풍증차를 하게 된다. 그 결과 현재 승차량 기준으로 7번 7-2번은 물론이고 5번과 비슷한 정도까지 성장하였다.

물론 이용해보면 수원역에서 꽉 채워 터미널 지나면 반이 빠지고, 망포역가면 승객의 80%는 빠지지만 터미널~영통 등 지하철이 대체할 수 없는 구간수요도 쏠쏠한편. 게다가 한일타운에 입성하면서 777에만 의존하던 수요를 대거 흡수하게 된다.

현재 동사 900번 노선이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310번의 수원구간 노선과 90%가 겹치다 보니 어찌될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310번의 성장은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하지만 900번보다 경진여객777번이 더 타격이 크다고 한다. 그런데 정작 777번 기사들은 310번 한일타운 입성과 동시에 격하게 반긴다[2] 지금이야 7번이 호매실로 가니까 그렇지 않지만 이때는 욕나올 정도로 심했다.[3] 오히려 7번은 호매실로 가서 의외로 굉장히 흥행하고 있다.[4] 이는 경희대학교 정류장에서 영통회차장 및 망포역 방향으로 가려는 승객들을 무시하는 행위로, 여러 민원이 빗발치며 논란이 되었지만 경희대로 단축되어서 옛말이 되었다.[5] 그러나 5번이라면 몰라도, 7-2는 솔직히 상대가 되질 않는다.[6] 두 노선은 경희대 - 망포동, 동원고 회차구간에서만 차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