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19:19:25

성우운수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 수원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 삼경운수 성우운수 수원여객
용남고속공공 경진여객공공 대원고속공공
용남고속버스라인공공
마을 광교운수 남경운수 동방운수
서부여객 율전버스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기고속2 경기버스 경기상운
경기여객2 경기운수 대원고속1
대원버스 대원운수 명진여객
이천시내버스 진명여객2 평안운수
평택버스 화성여객 가평교통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선진시내버스 연천교통 파주여객
포천교통 포천상운 경진여객
남양여객 소신여객 수원여객
용남고속 제부여객 화성운수
경원여객 써클라인 시흥교통2
태화상운 가온누리엠 경남여객2
고양교통 과천여객 군포여객
금강고속 대명운수 대양운수
도원교통 동부고속1 명성
백성운수 보영운수 부일교통
부천버스 비티에스 산본여객
삼경운수 삼영운수 평택운수
서울여객 성광운수 성일운수
성남시내버스 성우운수 신성교통
신성여객 신일여객 양주교통2
오산교통2 와부버스2 용남고속버스라인
의왕교통2 청우운수 태산운수2
평택여객 학의운수2 협진여객
화영운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기고속 대원고속1 선진고속
경기공항리무진 경남여객 경일여객
금강고속 대화관광 동부고속1
동양고속1 삼화고속1 용남고속버스라인
중앙고속1 한일고속1
}}}}}}}}}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경원여객 계열사

성우운수 주식회사
星宇運輸 株式會社
Seongwoo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2002년 6월 27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김기성[1]
주요 주주 삼경운수: 33.68%
김기성: 26.66%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대수 113대
직원 수 199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71억 2,547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 164억 7,466만 401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33억 2,875만 6,798원(2022년 기준)
순이익 11억 1,612만 6,322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26억 7,041만 6,448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165억 8,607만 4,787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119.19%(2022년 기준)
소재지 본사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 11 (오목천동)
서탄영업소 -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서탄로 448-46 (수월암리)
남부영업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1368번길 2 (곡반정동, 수원남부공영차고지)
지산동차고지[2] - 경기도 평택시 삼남로 583 (지산동)

1. 개요2. 역사3. 운행 노선4. 폐선된 노선5. 특징
5.1. 난폭운전5.2. 기타
6. 면허 체계7. 보유차량8. 사진9. 지배구조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원시 면허를 가진 버스 회사. 삼경운수의 계열사로 본사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동(오목천차고지)에 위치하고 있고 서탄영업소가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서탄로 448-46(舊 수월암리 960-1)에, 남부영업소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1368번길 2(수원남부공영차고지) 위치하고 있다.

2. 역사

용일여객에서 운행하던 900, 909번을 삼경운수가 인수하면서 회사를 분리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회사의 시작을 함께한 차들은 거의 대부분이 용일여객 출신 차량이었고 900번과 909번은 GBUS 브랜드 도입 직전까지 용일여객 도색 차량이 남아있었다.

3.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00-1[본사] 북부공영차고지 경기도인재개발원 - 수원종합운동장 - 창룡문 - 수원시청사거리 - 수원버스터미널 - 곡반정동 - 병점역 송화초등학교 1일 14회
301[서탄] 수월암 서탄면사무소 - 진위역 - 원영화남아파트 - 오산역 - 오산대역 - 세마대사거리 - 병점역 - 세류역 - 수원역 - 수원여고 - 장안문 - 만석공원 - 북수원시장 - 이목동 - 의왕시청 - 호계사거리 - 방축사거리 → 범계역 → 안양시청 → 부림중학교 → 동안구청 → 범계중학교 → 방축사거리 → 이후 역순 범계역 10~20
310[남부] 경희대학교 영통역 - 벽적골 - 망포역 -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역 - 수원여고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북수원시장 - 이목동 동원고교 10~30
900[남부] 경희대학교 영통역 - 벽적골 - 망포역 -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여고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경기도인재개발원 - 의왕시청 - 호계사거리 - 비산사거리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보라매공원 8~12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4000[남부] 남부공영차고지 수원버스터미널 - 수원시청역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수원캠퍼스 - 용인서울고속도로 - 운중동행정복지센터 - 판교테크노밸리 - 판교역 - 이매역 - 야탑역 - 성남시청 사송공영차고지 40~60
9090[본사] 중보들공원 수원역 - 웃거리 - 서수원버스터미널 - 안산테콤단지 - 상록수역 - 한양대입구 - 안산종합버스터미널 - 안산시청 - 초지두산위브 - 원곡동행정복지센터 안산역 14~25

4. 폐선된 노선

5. 특징

5.1. 난폭운전

계열사인 삼경운수와 마찬가지로 수도권에서 난폭운전과 무정차, 신호위반, 과속이 잦은 업체 중 하나였으며, 2000년대 중후반까지는 친절도도 좋지 않았다. 모회사의 300번과 주력노선인 301번, 900번이 지나가는 곳에는 지지대고개, 비상활주로, 수인산업도로 등 노선 상에 속도를 낼 수 있는 구간이 가득한데다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시내구간에서도 신호위반을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이렇게 인식된 상황.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위 노선들 모두 경우에 따라 최대 100km/h 이상을 밟는 경우가 허다했고, 지나친 과속으로 인해 승객들의 불만이 높았다. 특히 301번, 300번은 수원 비상활주로, 지지대고개에서 최대 120~130km/h로 질주했을 정도이다. 이 당시에는 범계역-오산역까지 1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다.[9][10]

이 때문에 일부 노선이 과속을 해서 2010년대 초반까지 가끔 성우에어 혹은 성우항공[11]이라 불리는 경우가 있었다. 오죽했으면 300번과 301번의 경우에는 비상활주로에서 1호선 급행열차와도 속도경쟁을 펼친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였다. 근데 1호선 급행열차는 시속 100~110km/h 정도로 달린다. 그러니 1호선 급행열차보다 더 빨리 달렸던 셈.

2019년에는 이러한 별명은 많이 쓰이지 않는 편이고, 민원투척은 어쩔 수 없었는지 과속을 자제한다.[12] 그러나 어쩌다가 과속 차량은 가끔 목격된다. 일례로 301번은 지지대고개에서 70~80km/h 정도를 주행하는 차량이 많고, 900번 역시 경우에 따라 지지대고개, 관악-석수로 넘어가는 제2경인고속도로 석수IC 부근에서 80~90km/h 정도까지 밟기도 한다. 909번 역시 마찬가지.[13]

2023년 기준으로도 300번, 900번, 9090번이 과속 등의 교통법규 위반이 가끔씩 포착되긴 하나, 옆동네 협진여객이나 오산교통과 같이 서비스가 불친절하다는 평은 그리 많지 않다. 한마디로 협진여객(또는 오산교통)의 순화된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다.

5.2. 기타

여담으로, 성우/삼경운수 사장이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장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2018 경기도 시내버스업체 경영 및 서비스 평가 용역이라는 보고서에서 자본잠식 업체 14곳에 계열사와 같이 선정되는 위업을 달성하기도...[14]

2011년 1월 909유니버스 엘레강스를 투입했다. 경기도 일반좌석버스로는 최초.

2017년 이후 출고되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일반 차량에는 스펀지 시트를 적용한다.

909번 관련 민원이 경원여객에도 들어가기도 한다. 안산 시내버스 대부분을 경원여객이 운행하다보니 일단 그 쪽으로 넣는 듯 하다.

수원과 주변 지역을 잇는 장거리 노선이 주력인 회사로, 310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수원시외로 나간다. 900번은 서울, 301번은 안양, 909번은 안산, 4000번은 성남으로 간다. 비교적 단거리인 300-1번도 병점까지 가기는 하는데, 310번이나 300-1번이나 각각 900번과 300번의 단축형 지선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보니 해당 노선들은 배차도 정말 뜸하고 가끔 본선에 해당하는 900번이나 300번한테 따라잡히면 일부러 저속주행을 해서 비켜주는 등 대놓고 찬밥 신세다. 특히 310번은 900번과 붙어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수원시와 화성시를 위시한 수원권 내 노선에만 집중하는 수원여객과 대비되는 모습.

삼경운수의 계열사이나 양측 규모에 비하면 의외로 모회사는 성우 쪽이 아니다. 오히려 삼경 쪽이 성우를 지배하고 있다. 게다가 회사의 규모도 삼경은 노선이 고작 2개[15] 뿐인데다가, 차량 보유 대수 역시 약 50대로 적은 편. 반면 성우는 차량의 보유 대수가 113대이고, 보유 노선 또한 총 6개의 노선을 거느리고 있다. 심지어, 성우운수가 인지도가 더욱 높은 상황이기도 하다. 참으로 계열사가 덩치가 크고, 모회사의 덩치는 경기도 버스회사들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작다는 기묘한 상황이 따로 없다.[16] 애초에 위에 언급되어 있듯 성우운수는 용일여객의 수원 좌석버스 노선들을 삼경운수가 인수하면서 계열사로 설립한 회사로 태생부터가 삼경운수에서 분사된 회사이니 규모와 무관하게 삼경운수쪽이 모회사인게 어찌 보면 당연한 것.

용남고속과 용남계열의 경진여객, 제부여객, 화성운수수원여객과 휘하의 남양여객이 모두 다 소신여객이 만든 K1 모빌리티 그룹으로 인수되어 뭉친 이후, 모회사인 삼경운수와 함께 수원시 면허 중 유일하게 K1 계열이 아닌 회사가 되었다.

2023년 6월에 땅 주인의 퇴거 요청으로 하북차고지를 서탄면 수월암리로 옮겼다. 2023년 11월 현재 BIS 상의 정보와는 달리 하북차고지에서는 승하차를 할 수 없으므로, 바로 옆에 있는 '서탄입구' 정류소로 가서 승하차해야 한다. 차고지 부지는 그냥 방치중으로, 정비동과 사무동 모두 집기가 전부 뜯겨나간 채 덩그러니 남아있고 이전하기 전까지 사용되던 CNG 충전 장비도 그대로 남아있다.

2023년 현재 수월암리차고지에는 가스 충전소가 없어 오산교통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다. 예전에는 오산교통 차량이 하북차고지에서 충전했는데, 현재는 반대의 신세가 된 셈. 때문에 가스 충전을 하러 가도 충전을 301번과 오산교통만 하는 것도 아니고 계열사 삼경운수의 300번 차량들, 오산교통 차량들, 301번 차량들 등 많은 노선의 차량들이 같이 사용하므로 가스 충전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하북 출발 시간도 이에 비례해서 늦어지는 문제가 생겼다. 이로 인해 301번의 배차 관리가 매우 불량해졌는데, 거의 시간표가 없다시피한 수준으로 불규칙하게 운행 중이다. 어떤 때는 1분만에 5대가 연달아 오기도 하며, 어떤 때는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으로 벌어진다.

성우운수 측에서는 이를 전기버스 도입으로 해결하려는 모양새로, 2023년에 도입한 신차를 죄다 전기버스로 뽑았다. 의외로 현대 일렉시티가 아닌 우진산전 아폴로 1100으로 신차를 출고해 900번301번에 투입됐다. 성우운수에서는 14년만에 현대차가 아닌 다른 자동차 회사의 차량을 뽑았으며 11년 5개월만에 다시 저상버스를 출고했다. 수원에서는 92-1번에 투입한 수원여객에 이어 2번째로 아폴로 1100을 출고한 업체이고 경기도 전체로는 3번째로 출고했다. 이후 이전된 수월암리차고지에 충전기를 직접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서 배차간격 문제를 개선하였다.

6. 면허 체계

7. 보유차량

파일:IMG_7149.jpg 파일:성우900_APO1100.png
직행좌석버스 일반시내버스

7.1. 현재 보유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우진산전

7.2. 과거 보유차량

7.2.1. 자일대우버스

7.2.2. 현대자동차

7.2.3. 기아

8. 사진

파일:성우삼경운수본사.png
본사 전경

9.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경운수 33.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성 26.66% 대표이사[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언 12.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호 8.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복 8.0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은주 5.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봉호 2.8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복 2.68%

10. 둘러보기

삼경운수 계열사
삼경운수 성우운수

지역별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업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성여객·도원교통·선일교통·선진운수 동남여객·창성여객 대명교통 강인여객
광주 대전 울산 경기
대진운수 대전교통·대전버스·대전운수 한성교통 삼경운수·성우운수1
강원 충북 충남 · 세종 전북
화성고속 대성티앤이·청주교통 온양교통·삼안여객 전북고속·전북여객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호고속 경북고속·진안고속·대화교통·일선교통·코리아와이드 포항·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 부산교통·대한여객·영화여객·부일교통·통영교통·삼포교통·하동버스 극동여객
1: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 겸임
}}}}}}}}} ||



[1]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삼경운수 대표이사 겸임[2] 하북차고지에는 차량을 모두 수용하기에 좁아서 일부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별도로 가지고 있는 차고지이다.[본사] 본사 소속 노선[서탄] 서탄영업소 소속 노선[남부] 남부영업소 소속 노선[남부] [남부] [본사] [9] 계열사 노선인 2007번 같은 경우도 옛날에는 외곽에서 에어로 스페이스 LS로 120km/h까지 밟아댔고, 의왕에서 모란역까지 27분 만에 끊어주는 패황으로 악명이 높았다. 하지만 환승정류장이 생기고 또한 청계터널 구간이 부천 못지 않은 상습정체 구간이라 정속하며 다니는 편.[10] 실제로 모 카페 후기에 따르면 48분 정도 걸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해당노선은 301번. 그러나 현재는 70km/h 속도제한이 설정되어서 48분은 절대 불가능하다. 전철로도 40분 정도 걸리는 거리다.[11] 실제로 '성우항공여행'이라는 전세버스 업체가 존재한다. 안양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또 대만의 항공사 스타럭스항공의 한자명도 ‘성우항공(星宇航空)’으로 성우운수(星宇運輸)와 한자까지 같다.[12] 2013년 8월에 발생한 사고도 속도를 줄이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13] 다만 이는 어쩔 수 없는 것이기도 한데, 예를 들면 301번 첫차의 경우 평택 하북 첫차시간과 안양 범계역 첫차시간의 차이가 불과 50분인지라 과속이 없다면 도저히 맞출 수가 없다. 하북이 어디냐면 대충 진위역 인근이다. 전철로도 56분이 걸리는 거리이다. 결국 성우운수도 GG치고 안양 첫차를 06:10으로 바꿨다.[14] 당시 오산교통, 협진여객, 평택여객도 자본잠식 회사라고 나왔지만 오산교통760번에 대한 도전, 협진여객, 평택여객은 차량 정비와 친절도 높이기를 통해 자본잠식을 어느 정도 극복하려는 반면 성우운수와 삼경운수는 아무런 대책 없이 현재까지 버텨오고 있다.[15] 그래도 300번2007번 모두 폭발적인 수요를 자랑하는 노선이긴 하다. 이 중에서 300번은 아예 경기도 일반좌석버스 1위이자 모든 좌석등급에서도 10위 안에 들 정도로 괴물같은 노선이다.[16] 서울에도 유사한 관계가 있는데, 모기업 격인 우신운수는 지선버스 3개만 보유하고 있으나 우신버스는 간선버스 4개와 지선버스 1개를 보유중이며, 둘 사이도 우신버스가 우신운수보다 30대 정도 더 보유하고 있다.[17] 원래 삼경운수 노선이었던 4000번 소속이다.[18]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삼경운수 대표이사 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