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주회사 | 선진네트웍스 | ||||
시내버스 업체 | 경기도 | |||||
가평교통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서정마을버스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선진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
인천광역시 | ||||||
공영급행 · 군내버스 · 인강여객 · 선진여객 · 신동아교통 · 인천선진교통 · 인천제물포교통 | ||||||
시외버스 업체 | 전라북도 | 경기도 | ||||
전북고속 · 전북여객 · 전주고속 | 선진고속 | |||||
전세버스 업체 | 선진고속관광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기고속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
경기여객2 | 경기운수 | 대원고속1 |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명진여객 | |||
이천시내버스 | 진명여객2 | 평안운수 | |||
평택버스 | 화성여객 | 가평교통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선진 |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경진여객 | |||
남양여객 | 소신여객 | 수원여객 | |||
용남고속 | 제부여객 | 화성운수 | |||
가온누리엠 | 경남여객2 | 경원여객 | |||
고양교통 | 과천여객 | 군포여객 | |||
금강고속 | 대명운수 | 대양운수 | |||
도원교통 | 동부고속1 | 명성운수 | |||
백성운수 | 보영운수 | 부일교통 | |||
부천버스 | 비티에스 | 산본여객 | |||
삼경운수 | 삼영운수 | 서울고속 | |||
서울여객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
성남시내버스 | 성우운수 | 시흥교통2 | |||
신성교통 | 신성여객 | 신일여객 | |||
써클라인 | 양주교통2 | 오산교통2 |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의왕교통2 | 청우운수 | |||
태산운수2 | 태화상운 | 평택여객 | |||
학의운수2 | 협진여객 | 화영운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기고속 | 대원고속1 | 선진고속 | ||
경기공항리무진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 동부고속1 | |||
동양고속1 | 삼화고속1 | 용남고속버스라인 | |||
중앙고속1 | 한일고속1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 ||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
선진버스 주식회사 Sunjin Bus Corp. | |
| |
핵심인물 | 신재호 (회장) 서창연 (대표이사) |
설립일자 | 1955년 2월 28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주소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본사, 월곶공영차고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69 (일산영업소) |
경영방침 | 지키고 싶으면 공격하라 |
홈페이지 | 홈페이지 |
1. 개요
| |
광역급행버스 광역급행버스 M7119 | 직행좌석버스 김포 버스 7100 |
| |
좌석버스 김포 버스 21 | 일반형버스 김포 버스 90 |
| |
맞춤형버스 고양 버스 60 | 선진버스 로고 |
경기도 김포시와 고양시의 시내버스 회사. 악명 높은 선진그룹의 계열사임에도 불구하고 김포 시내버스 중에서는 안전운전을 가장 중요시 하는 회사이다.
2. 역사
- 1954년에 설립되어 김포시와 고양시 일대의 시외버스를 운행한 '인항여객'이 전신이다.
- 1997년 경영난을 겪어 선진운수에 인수되었고 사명을 '선진버스'로 변경하였다.
- 2000년 선진운수도 경영난에 빠지자 신재호 성민통운 사장이 선진버스를 인수하였다. 법인을 그대로 인수하여 사명과 차량, 사업소, 고용관계가 모두 승계되었다. 따라서 선진버스는 선진그룹의 모태가 되는 회사이다.
- 2000년대 초에는 김포시와 고양시, 강화군의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했으나 강화 노선은 2006년 강화선진버스(현 강화교통)을 설립하여 양도하였고, 고양시 노선도 2007년 고양교통을 세워서 넘겼다.
- 2009년 10월에 선진그룹이 계열사들의 시외버스를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선진버스의 시외 노선들도(70번, 90번)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하였고, 김포운수 및 강화선진버스와 노선을 일부 교환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김포운수나 선진상운은 주로 서울행 노선을 선진버스는 주로 인천행 노선을 보유하는 중이다.
3. 지배구조
주주명 | 지분율 |
50.00% | |
40.00% | |
6.00% | |
4.00% |
4. 특징
- 김포운수나 선진상운과는 다르게 2020년부터 안전교육을 강화하여 김포 시내버스 회사에서 유일하게 2020년부터는 사망사고가 전혀 없는 회사이다. 중상사고 및 경상사고 또한 2020년부터 실시한 안전교육 덕분인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1]
- 2015년 기준 김포운수, 선진상운에 비하면 직원 교육 및 급여나 안전에 더 신경을 쓰고, 주기적으로 서울 공항중삼거리 버스 간 추돌 사고를 추모하고 있다.
- 2022년 기준 일반 시내버스 노선은 65~70km/h로 광역버스는 80~90km/h로 속도 제한을 걸었다.[2]
- 선진버스는 김포3사 중 유일하게 차량의 디지털 타코그래프를 이용한 운행기록 관리를 실시해 급가속, 급제동, 과속, 장기 과속, 고 RPM 사용을 잡아내고 있다. 기사들 사이에서는 '타코 기록'이라고 칭하고 있으며 매월 말일 전후 각 영업소 게시판에 상습위반자를 월별로 게시함과 동시에 상습위반자는 휴일본사교육을 받으러 본사에 가야된다.[3]
- 또한 본사 '안전관리부' 소속 직원이 안전관리 전용 차량으로 불시에 핵심 정류장 부근 현장에서 교통법규 위반 사원을 단속 하고 있다. 단속 직원들은 본사 사고처리 담당으로 직급은 전무이사, 안전관리부 부장이다. 기사들의 안전운전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전해지며 주요 단속 지역으로는 구래/사우/장기동 및 계양역, 부평역, 풍무동 유현사거리 등 과거 교통 법규 위반과 대형사고가 다수 발생했던 지역 위주로 단속하나 사실상 전 노선, 전 지역을 불시 단속한다.
-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에서 극중 '상도여객' 버스차고지로 나오는 장면이 선진버스 구래리 차고지에서 촬영되었다.
5. 보유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M7119 | 식사동 | 일산동구청ㆍ마두역ㆍ연세대ㆍ광화문ㆍ신한은행본점 | 숭례문 | 7~10분 |
M7145[4] | 원당동 | 도래울마을ㆍ합정역ㆍ홍대입구역ㆍ연세대앞ㆍ이대후문 | 서대문역 | 운행중단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7000 | 구래리차고지 | 김포한강3차푸르지오ㆍ한가람마을ㆍ구래환승센터ㆍ솔터마을ㆍ은여울마을ㆍ운유초등학교ㆍ모아미래도 | 당산역 | 10~15분 |
7100 | 구래리차고지 | 솔터마을ㆍ뉴고려병원ㆍ한강센트럴자이ㆍ수정마을ㆍ전원마을ㆍ모담마을 | 당산역 | 13~25분 |
9000 | 구터미널종점 | 걸포초교ㆍ풍경마을ㆍ초당마을ㆍ구래환승센터ㆍ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60~180분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21 | 구래리차고지 | 구래환승센터ㆍ뉴고려병원ㆍ한강센트럴자이ㆍ고촌ㆍ개화역 | 김포국제공항(롯데몰) | 15~30분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33-1 | 유현마을.신동아아파트 | 양도사거리ㆍ풍무2지구ㆍ풍무역.트레이더스ㆍ사우고.김포시청ㆍ사우역.김포고ㆍ북변중로ㆍ오스타파라곤ㆍ킨텍스 ㆍ대화역ㆍ일산노인종합복지관 | 정발산역((일산동구청)) | 20~30분 |
53 | 한강센트럴자이 | 옹주물ㆍ구두물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 40~50분 |
81 | 구래리차고지 | 장기지구ㆍ감정동ㆍ김포시청ㆍ풍무동ㆍ계양역ㆍ계산역 | 계산동우체국 | 6~15분 |
81-1 | 양촌산단 | 이젠ㆍ장기지구ㆍ김포시청ㆍ풍무동ㆍ계양역ㆍ동양지구 | 롯데마트계양점 | 5~10분 |
82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 김포고ㆍ풍무역ㆍ풍무중학교 | 계양역 | 20~30분 |
83 | 사우역,김포고 | 양곡ㆍ대능리 | 학운산업단지 | 60분 |
86-1 | 신양중 | 양곡ㆍ대경공단 | 대곶 | 70-120 |
90 | 강화터미널 | 김포대학입구ㆍ마송ㆍ김포한강신협ㆍ구래환승센터ㆍ검단사거리ㆍ검암역입구ㆍ작전역ㆍ부평구청 | 부평역 | 10~15분 |
90-1 | 학운2산업단지공원 | 학운5리종점ㆍ대포서원입구ㆍ해병2사단.향동ㆍ 검단사거리역 ㆍ완정초등학교.검단도서관ㆍ마전역 | 완정역 | 5~10분 |
101 | 보건소 | 누산리▷하성▷군하리▷대명초교▷대곶▷양곡▷누산리 | 보건소 | 60분 |
102 | 보건소 | 누산리▷양곡▷대곶▷대명초교▷군하리▷하성▷누산리 | 보건소 | 60분 |
841 | 김포차량등록사업소 | 김포우리병원ㆍ사우역김포고(양방향정차)ㆍ김포초교ㆍ홈플러스ㆍ불로동ㆍ검단사거리ㆍ원당지구ㆍ계양역ㆍ동양지구ㆍ롯데마트 계양점 | 이마트계양점 | 7~10분 |
2000 | 구래역 | 마산역ㆍ수정마을ㆍ대화역ㆍ일산동구청ㆍ마두역ㆍ행신동ㆍDMC역 | 이대부고 | 25~40분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60 | 동국로삼거리 | 동국대병원ㆍ이전마을회관ㆍ상골ㆍ고봉초교, 중산고교ㆍ일산서구보건소 - 산들마을5단지ㆍ후곡학원가 | 일산역 | 60~100 |
6. 면허 체계
- 경기 73아 3547 ~ 3548호[5]
- 경기 79바 1300호 ~ 1499호[6], 20##호, 62##호 일부[7], 80##호 ~ 82##호 일부, 8401호 ~ 8499호, 9311호 ~ 9475호
- 타사 인수분
7. 영업소
영업소 | 주소 | 담당 노선 | CNG 충전소 | 기타 |
본사[12]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 | O | 월곶공영차고지 | |
구래영업소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구래리 | 21, 53, 81, 83, 86, 86-1, 201, 202, 2000, 7000, 7100 | O | 정비소 |
학운영업소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학운리 | 81-1, 90-1 | X | |
걸포영업소 | 경기도 김포시 걸포동 | 33-1, 82, 101, 102, 841, 9000 | O | 김포 클린스테이션 |
강화영업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 | 90 | O | 강화터미널 |
일산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 60, M7119, M7145 | X[13] |
8. 보유 차량
8.1. 현재 보유 차량
8.1.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유니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8.1.2. 스카이웰
8.1.3. 비바모빌리티
8.1.4. 중국항공공업그룹(AVIC)
- AVIC 엔비온 전기버스[14]
8.1.5. 중통
8.1.6. 볼보버스
8.1.7. MAN
8.2. 과거 보유 차량
8.2.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천연가스버스
8.2.2. 현대자동차
- 현대 E-카운티 F/L 디젤
- 현대 글로벌900 F/L 디젤[15]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RB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8.2.3. 기아
8.2.4. 선롱버스
9. 둘러보기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김포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양시 | 가온누리엠 | 고양교통 | 명성운수 | 서울여객 | 선진버스 |
서울특별시 | 동해운수 | 서울매일버스 | 선진운수 | 신촌교통 | ||
고양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1] 2020년 취임한 서창연 대표이사가 높은 사고율을 낮추기 위하여 운행기록 관리 및 노선별 운행속도 제한과 안전교육을 진행하며 운행사원들과 노력한 덕분에 김포3사 중 대형사고가 가장 적을뿐만 아니라 사고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2] 2020년 이전까지는 속도제한이 일반시내 80km/h, 광역 100~110km/h였으며 제한장치를 따로 부착한 것이 아닌, 차량 자체적으로 속도제한을 걸어둔 것이다. 따라서 차량년식이나 상태에 따라 GPS상 속도와 계기판상 속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3] 만약 본사에 불려갈 경우 특별 1:1 교육을 진행한다. 위반 사안이 심각할 경우 본사에서 징계위원회를 개최한다.[4] 휴업중[5] 고양시 시내버스,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6] 단 1421~1440호는 김포운수가 사용중이다.[7] 과거 시외버스인 70번과 90번의 면허였으나 현재는 차돌리기로 이곳저곳으로 흩어졌다.[8] 고양시 시내버스,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로 일산엠버스를 인수하면서 넘어왔다.[9] 신성교통 출신 면허, 1007호는 신성교통 주 면허이고, 17##대 차량은 파주시 증차면허다.[10] 파주시 버스 회사 증차면허로 파주선진에서 한대가 넘어왔다.[11] 81번, 101번, 102번, 841번, 공영노선을 김포운수로부터 인수하면서 넘어왔다. 또한 2020년에 신규발급된 104# ~ 105#호는 과거 김포운수 631번에서 운행하다가 말소된 면허인데 약 10여년만에 부활했다.[12] 본사는 노선을 운영하지 않으며, 구래리영업소가 사실상의 본진이다.[13] 고양교통의 식사동충전소를 사용한다. KD의 M7412번, 일부 마을버스 업체들이 인근의 대덕운수와 함께 충전하러 오는 단골 장소이다. 애초에 고양교통이 이 업체에서 갈라져 나왔다. 지금도 지분이 존재하고.[14] 국내 최초로 도입된 중국산 전기버스 모델로, 이후 수입이 중단되어 중통 매그넘 모델을 도입한 것이고 현재까지도 유일무이하게 선진버스만이 보유하고 있다.[15] 신성여객 인수분으로 차량만 인수하고 썩히기만 하다가 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