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3:14:37

수원 버스 8800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164194>
파일:수원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광역콜
직행좌석
좌석
일반
버스
마을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파일:용남8800_UNVPR.png 파일:IMG_7245-1.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기타 사건사고4.2. 시간표4.3.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0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직행좌석버스 88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수원 8800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수원버스터미널)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승강장))
종점행 첫차 05:10 기점행 첫차 06:10
막차 23:30 막차 00:30
평일배차 10~20분 주말배차 12~25분[공휴일]
운수업체 용남고속 인가대수 17대[2]
경유정류장
수원 서울
수원버스터미널(02-219)(11홈)(상)
수원공용버스터미널(시외)(하)
순천향대학병원
수원버스터미널(02-224)(상)
이마트(하)
수원아이파크시티.선일초교(상)
선일초등학교(하)
국가인권위.안중근활동터(상)
남대문세무서(하)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상)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온수골(하)
매탄위브하늘채.경기아트센터(상)
경기아트센터.매탄위브하늘채(하)
서울시청[편도]
삼성1차아파트(상)
매탄주공4단지.매탄1동주민센터(하)
신한은행본점[편도]
구법원사거리
아주대.아주대학교병원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승강장)[편도]
수원월드컵경기장.동성중학교
우만동4단지(상)
연무동.서광교파크스위첸(하)
광교[편도]
경기대수원캠퍼스후문.수원박물관
중간 출발 정류소
서울역 방향구법원사거리평일 06:35, 07:05, 07:20(예약버스)
수원아이파크시티.선일초교평일 06:50, 07:06, 07:22, 07:38, 07:54, 08:10, 08:26(전세버스)
수원터미널 방향서울시청평일 18:30, 19:00, 19:30(전세버스)

3. 역사

4. 특징

4.1. 기타 사건사고

4.2. 시간표

파일:8800(2025년01월01일 개정).png

4.3. 노선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직행좌석버스 8800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서울역교차로(경유)
미정차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승강장)(중)
02006
파일:GreatTraineXpress_A.svg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eoulmetro4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AREX_icon.svg
숭례문교차로(경유)
미정차
신한은행본점
02233
남대문로3가(경유)
미정차
시청교차로(경유)
미정차
광교
02136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시청
02100 파일:Seoulmetro2_icon.svg
SKT타워(경유)
미정차
이상 회차 구간
남대문세무서(중)
02001
국가인권위.안중근활동터(중)
02002
남산1호터널TG(경유)
미정차
남산1호터널TG(경유)
미정차
한남1고가차도진입(경유)
미정차
한남1고가차도(경유)
미정차
순천향대학병원
03164
순천향대학병원
03163
한남IC(경유)
미정차
한남IC(경유)
미정차
반포IC(경유)
미정차
반포IC(경유)
미정차
서초IC(경유)
미정차
서초IC(경유)
미정차
양재IC(경유)
미정차
양재IC(경유)
미정차
청계산입구역(경유)
미정차
청계산입구역(경유)
미정차
성남진입(경유)
미정차
서울진입(경유)
미정차
금토JC(경유)
미정차
금토JC(경유)
미정차
판교IC(경유)
미정차
판교IC(경유)
미정차
서울TG(경유)
미정차
서울TG(경유)
미정차
금곡(경유)
미정차
금곡(경유)
미정차
죽전(경유)
미정차
죽전(경유)
미정차
신갈JC(경유)
미정차
광교(경유)
미정차
광교(경유)
미정차
동수원TG(경유)
미정차
동수원TG(경유)
미정차
경기대수원캠퍼스후문.수원박물관
04181
경기대수원캠퍼스후문.수원박물관
04178
연무동.서광교파크스위첸
01236
우만동4단지
03088
수원월드컵경기장.동성중학교
03102
수원월드컵경기장.동성중학교
03105
아주대.아주대학교병원
03126
아주대.아주대학교병원
04237
구법원사거리
04179
구법원사거리
04042
매탄주공4단지.매탄1동주민센터
04009
삼성1차아파트
04007
경기아트센터.매탄위브하늘채
03116
매탄위브하늘채.경기아트센터
04235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온수골
02266
평생교육학습관.남수원중학교
02267
선일초등학교
02256
수원아이파크시티.선일초교
02252
이마트
02232
수원버스터미널
02224
터미널사거리(경유)
미정차
수원버스터미널
02221 · 02219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수원시 CI.svg 수원시 - 서울역 간 버스
·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경기도 광역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4홈
5홈
6홈
}}}}}}}}} ||

[공휴일] 막차 및 막전차 한정으로 배차간격이 40분으로 늘어난다.[2] 평일/토요일 17대, 일요일/공휴일 16대 운행.[편도] [편도] [편도] [편도] [7] 부득이한 경우에만 적용되는거고 기본거리는 30Km가 맞다.[8] 모두 용남고속 노선을 전담하는 여산관광, 경문관광, 현대항공여행사에서 담당하며 예약버스는 (구)법원사거리부터, 전세버스는 선일초등학교부터 출발한다.[9] 퇴근버스 3회는 서울역 출발로, 이후 시청 출발로 조정될 예정이다.[10] 증차분 자체는 1월에 운행을 시작하였으나 정식 증차는 2월에 진행되었다.[11] 여담이지만 K1 모빌리티 그룹 산하 계열사의 모든 노선 중 최초로 서울 도심(강북)으로 진출한 노선이다. 원래는 단 하나였으나, 제부여객5101번을 개통시키면서 서울역행 노선이 두 개로 늘어났다.[12] 그래서 출퇴근 시간 굿모닝미리 예약버스 노선이 적용된다. 한때는 용남고속 주력 노선이었던 3007번과 비슷한 수준의 수요이며, 2022년 기준 좌석버스 수요 36위를 기록하였다. 3007번은 40위이며, 5100번은 26위.[13] 개통 직후부터 2022년까지는 13대로 운행하였으나, 대광위의 영향을 받아 증차를 하면서 현재 총 17대가 투입되고 있다. 2022년 말에 4대가 증차되면서 배차간격이 대폭 개선되었다.[14] 원래는 두 노선의 출발시간이 같게 설정되어 있으나 7001번과 승차홈을 공유하기 때문에 1~3분 정도 앞뒤로 간격을 벌려 출발하는 편이다.[15] 비슷한 시기에 서울시청 정류장을 공유하는 여러 M버스들도 새로이 대기열 스텐실을 제작하여 위치를 조정하였다. 8800번은 시티투어 정류장 쉘터 맨 앞쪽의 벽에 위치해있었으나 지금은 정류소 맨 뒤로 옮겨졌다. 정류소 앞쪽부터 M5115번/M5121번, M4108번, M4130번/M4137번, 그리고 정류장 표지 뒤쪽의 쓰레기통 옆에 M5107번, 8800번 순으로 위치해있다. 4101번, 4103번, 4104번, 3201번, 9007번은 별도의 대기열이 없다.[16] 원래는 없었으나 정류소 맨 뒤쪽 바닥에 8800번 승차열을 설치하였다. 바로 옆에 노란색으로 적힌 9401번 승차열이 있다.[17] M버스들이 정차하는 대기열 맨 뒤쪽, 9-1번 출구에서 가장 먼 쪽이 대기열이다.[18] 원래는 명동입구에 M5121번과 나란히 대기열이 있었으나, 정류소를 옮기면서 새롭게 위치를 조정하였다. 광교 정류소 맨 앞쪽에 8800번 표지판이 바닥에 위치해있다.[19] 광역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소 쉘터 광고판 뒤쪽에 8800 줄서는 곳이 표기되어 있다. 정확히는 공항버스 쉘터와 광역버스 쉘터 사이의 광고판 쪽 줄이며,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예전에 비해 새치기 등이 많이 줄었다.[20] 전철 개통이 버스 의존도를 낮춘다는 것은 동수원에 신분당선 개통 이후 3007번 수요가 크게 줄었다는 점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21] 대놓고 RH에는 경기대후문과 순천향대학병원은 없는 정류소 취급이다. 보통 아주대학교나 서울역에서 대거 자리를 채우고 수원에서는 우만동, 서울에서는 명동이나 남대문세무서에서 남은 자리를 모두 채우는 것이 98%. 그나마 아주대 주변은 M5121번으로 돌아갈 수 있다. (소화초등학교, 광교중앙역, 푸르지오월드마크)[22] 2025년 초반 기준으로, 첫차부터 7시 언저리에 서울에서 회차하는 차량은 광교~남대문세무서 사이에서 만차가 되는 경우가 많다. 심하면 서울역에서 만차가 되기도 한다.[23] 다만 전세버스가 중간중간 끼워져 들어가기 때문에 전세버스 지원 시간대에는 10분대까지 좁혀진다. 그리고, 대광위 영향으로 몇 대가 증차된 이후 배차간격도 단축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13대였으나, 지금은 17대로 운행하기 때문에 서울시 부동의를 감안하면 대광위의 영향력이 꽤 있는 것을 알 수 있다.[24] 두 노선의 동시출발을 방지하기 위해 1~3분 정도 차이를 두고 승차홈에 들어오며, 그대로 경기대학교까지 나란히 붙어간다. 고속도로 진입 전까지는 노선이 동일하니 상관없으나, 고속도로 이후에는 전혀 다른 곳으로 가니 번호를 필히 확인할 것.[25] 아예 검은 버스가 들어오면 7001번, 하얀색에 빨간색이 있으면 8800번이다. 기사들도 이를 인지시켜주니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