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1:33:09

앨런 화이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재림교회의 창시자}}}에 대한 내용은 [[엘런 화이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엘런 화이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엘런 화이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재림교회의 창시자: }}}[[엘런 화이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엘런 화이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엘런 화이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존 레논 밴드, 예스의 드러머
1.1. 개요1.2. 생애1.3. 평가1.4. 여담
2. 오아시스의 드러머
2.1. 개요2.2. 음악 활동2.3. 기타2.4. 관련 항목

1. 존 레논 밴드, 예스의 드러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000, #24822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예스 로고 반전 2.png


{{{-2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79CAD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external/yesworld.com/1969-yesuk.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185023_1_f.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185025_1_f.jpg
파일:Fragile 커버.jpg
파일:Close To The Edge.jpg

1969

1970

1970

1971

1972
파일:Tales from Topographic Oceans.jpg
파일:Relayer.jpg
파일:external/amassing2.sakura.ne.jp/19293.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149224_f_1.jpg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Yes_-_Drama.jpg

1973

1974

1977

1978

1980
파일:90125.jpg
파일:external/www.progarchives.com/cover_2336419102008.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Yes_-_Union.jpg
파일:Talk.jpg
파일:Keys to Ascension.jpg

1983

1987

1991

1994

1996
파일:Keys to Ascension 2.jpg
파일:Open Your Eyes.jpg
파일:The Ladder.jpg
파일:Magnification.jpg
파일:Fly from Here.jpg

1997

1997

1999

2001

2011
파일:Heaven & Earth.jpg
파일:The Quest.jpg
파일:Mirror to the Sky.jpg

2014

2021

2023
}}}}}}}}}}}}
}}}}}} ||

파일:앨런 화이트.jpg

1.1. 개요

Alan White
1949.6.14. - 2022.5.26.

영국드러머. Imagine을 비롯한 존 레논 초기 솔로음반에서 드럼을 연주했으며, 1972년 이후 탈퇴한 빌 브루포드를 대신해 예스의 드러머로 잘 알려져 있다.

1.2. 생애

앨런은 1949년 영국 더럼주에서 태어났으며, 13살에 정식 드럼 레슨을 받았다. 1969년 21살에 나이로 무려 비틀즈존 레논에게 발탁되어 플라스틱 오노 밴드에 합류하여 Live Peace in Toronto 1969과 Instant Karma! 싱글, Imagine 음반에 참여했으며, 조지 해리슨의 음반 All Things Must Pass에도 참여했다.

1972년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예스에서 기존 원년 멤버인 드러머 빌 브루포드킹 크림슨으로 가기위해 Close to the Edge 레코딩 직후 예스를 돌연 탈퇴 하면서 Close to the Edge 투어 시작 직전 예스의 드러머로 합류하게 되었다. 화이트는 급하게 밴드 멤버가 되면서 무려 3일 안에 모든 밴드 곡들은 습득했다고 한다. 이후 그는 2022년 사망할때까지 예스에서 계속 활동한다.

존 레논과 예스 활동 이외에도 조지 해리슨, 진저 베이커, 조 코커를 비롯한 많은 뮤지션들과 활동한 바 있다.

2017년 예스의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현액 되었으며, 존 앤더슨, 스티브 하우, 릭 웨이크먼, 트래버 래빈을 비롯한 전 예스 멤버들과 기념 공연을 연주했다.

1.3. 평가

재즈 스타일이 강했던 예스의 전임자 빌 브루포드와는 다르게 팝 락앤롤 스타일이 강한 드러머로 서로 드럼 연주 스타일이 다르다. 때문에 예스 팬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편. 특히 비교적 절제된 스타일에 브루포드와 다르게 연주 선율에 동조하여 고조시켜 따라가는 연주를 하는 식이었기 때문에 이후 밴드의 음악이 균형을 잃고 난잡해졌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1]

그럼에도 크리스 스콰이어를 제외하면 사망하기 직전까지 예스에 계속 남아있었으며, 그 사이 예스가 여러 음악적 변화를 시도하던 시기에 계속 함께해왔다. 브루포드 만큼 평가는 못 받지만 프로그레시브 록 부터 팝음악 까지 나름 스펙트럼이 넓은 드러머.

1.4. 여담

2. 오아시스의 드러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오아시스(밴드) 로고.svg


{{{-2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000 {{{#!folding [ 앨범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Definitely Maybe.jpg
파일:external/www.aolcdn.com/2nd.jpg
파일:attachment/uploadfile/album-be-here-now.jpg
파일:attachment/Oasis-The_Masterplan-Frontal.jpg
Definitely Mayb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1994.8.29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1995.10.2
Be Here Now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1997.8.21
The Masterplan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1998.11.2
파일:attachment/116256_1_f.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04n0VPo9L.jpg
파일:attachment/heathen-chemistry.jpg
파일:attachment/Oasis-Dont-Believe-The-Truth.jpg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00.2.28
Familiar to Million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00.11.13
Heathen Chemistr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02.7.1
Don't Believe the Truth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05.5.30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GERhFy6PL.jpg
파일:attachment/Oasis-Dig_Out_Your_Soul-Frontal.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4px-Time_Flies_1994-2009_album_cover.jpg
파일:넵워스라이브.jpg
Stop The Clock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06.11.20
Dig Out Your Soul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08.10.6
Time Flies... 1994–2009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0.6.14
Knebworth 1996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21.11.19
}}}}}}}}}}}}
{{{#!folding [ 싱글 목록 ]
{{{#!folding [ 참여 음반 ]
{{{#!folding [ 관련 문서 ]
}}}}}} ||
앨런 화이트
Alan White
파일:앨런 화이트.png
<colbgcolor=#000><colcolor=white> 본명 <colbgcolor=#ffffff,#1f2023>Alan Victor White
앨런 빅터 화이트
출생 1972년 5월 26일 ([age(1972-05-27)]세)
잉글랜드 그레이터 런던 런던 루이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스타클럽 (1991~1994)
오아시스 (1995~2004)
직업 음악가
악기 드럼, 퍼커션
활동 1991년~2004년[2]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3]

2.1. 개요

오아시스의 전(前) 드러머. 오아시스의 전성기를 함께 한 드러머이다.

2.2. 음악 활동

2.2.1. 오아시스 이전

1988년, 15살????의 앨런 화이트는 겜 아처가 당시 소속해 있던 밴드 "월풀"(Whirlpool)의 드럼 오디션에 지원했다. 겜 아처의 회상에 따르면, 앨런이 드럼을 치기 시작했을때, 너무나도 잘해서 모두들 깜짝 놀랐다고 한다. 하지만 밴드 활동을 하게 되면 온갖 고생을 감수해야 하는데 그러기엔 너무나도 어렸던 탓에 결국엔 떨어트렸다고. 당시 겜은 앨런의 아버지에게 탈락 소식을 전하며 동시에 "크게 될 놈이니 너무 걱정하지는 않아도 됩니다." 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한 앨런은 앤디 벨의 전 아내인 이다의 솔로 앨범에 드럼 세션 멤버로 참여했는데, 이 때 노엘 갤러거가 앨런의 연주를 처음 듣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1991년부터 1994년까지는 밴드 "스타클럽"(Starclub)의 드러머로 활동하였고, 과거에 유명했던 밴드 "블로우 몽키즈"의 프론트맨, 닥터 로버트의 드럼 세션 멤버로서도 간간히 활동했다.

2.2.2. 오아시스

파일:whitey.jpg
2004년의 앨런 화이트

1995년, 오아시스의 원년 멤버이자 1대 드러머인 토니 맥캐롤1집 발매 이후 실력 문제와 노엘 갤러거와의 불화로 퇴출당한다. 이에 폴 웰러는 후임 드러머를 물색하느라 고민하던 노엘에게 앨런 화이트를 드러머로 추천하고, 1995년 4월, 결국 앨런 화이트는 오아시스의 2대 드러머로 영입된다. 앨런은 밴드에 합류한 바로 다음날 BBC1에서 Some Might Say를 라이브로 소화하고, 오아시스 레전드 라이브 공연 중 하나인 1995년 6월 글래스톤베리 무대에 서게 되는 등 빠른 속도로 오아시스에 녹아들었다.

앨런은 가장 임팩트 있는 오아시스 드러머로 여겨진다. 특히 밴드 내에서 대부분의 작사 작곡을 총괄했던 노엘이 곡을 쓸 때 항상 드럼 파트만은 앨런과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노엘이 대충 곡의 드럼 파트를 만들어오면, 앨런이 곡의 리듬을 세부적으로 조정하고 템포의 변화에 대해 견해를 말하는 식으로 작업을 했다고. 앨런을 제외한 오아시스의 그 어떤 멤버들도 본인의 파트를 노엘과 1:1로 논의한 적은 없다. 시간이 흐른 후, 노엘은 앨런이 오아시스의 그 어떤 다른 드러머들보다 의미있던 드럼 멤버였다고 말하며 녹음에 아주 큰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 시절에는 노엘이 앨런 화이트가 밴드 멤버 모두를 통틀어서 가장 재능있는 뮤지션인 것 같다며 매우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앨런은 많은 드러머가 거쳐간 오아시스에서 밴드의 최전성기였던 2집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의 완성에 필요한 마지막 퍼즐이나 다름없는 역할을 했다. 특히 2집 수록곡들 중에서도 Wonderwall, Don't Look Back In Anger, Cast No Shadow, Champagne Supernova등의 곡들은 수준급의 드럼 실력을 필요로 했는데, 기본적인 리듬만 칠 줄 알았던 토니 맥캐롤은 이 곡들을 소화하기엔 역부족이었다. 그에 반해 앨런은 드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타악기를 다룰 수 있었고, 드럼에 있어서도 일정한 템포와 다양한 리듬을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었다. 노엘은 앨런이 "새롭고 신선한 공기와도 같은 존재"로 느껴졌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오아시스의 프로듀서 오웬 모리스 역시 앨런 화이트를 두고 "근본적인 재즈 드러머같다. 스네어드럼을 가지고 둥둥탁거리면서 기본 백 비트를 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맘에 든다."며 앨런을 극찬했다.

앨런은 약 10년간 오아시스의 드러머로 활동하며 수많은 앨범과 B사이드 제작에 참여했다. 5집 활동 시기에는 건염 증상으로 인해 드러머로서 활동을 이어나가기 어려운 순간들이 있었음에도 팀을 탈퇴하지 않고 계속 활동을 이어나갔다. 그러다 6집 Don't Believe the Truth의 <Lyla> 제작을 마지막으로, 급작스럽게 2004년 오아시스를 탈퇴한다.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노엘은 앨런이 중요한 회의에 빠진 적 있는데 그것 때문에 리암과 다퉈서 나갔다고 주장했지만 앨런이 인스타그램 댓글로 리암과의 불화는 없었음을 밝혔다.

한편 앨런의 탈퇴로 인해 공석이 된 드러머 자리에는 잭 스타키가 객원멤버로 들어오게 된다.

2.2.3. 이후

탈퇴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08년 6월 15일, 런던 캠던의 한 재즈 카페에서 친형 스티브가 있는 밴드인 트리오 발로어의 객원 드러머로 참여한 근황이 전해졌다.

2.3. 기타

파일:앨런 화이트 (2).jpg
* 2019년 공개된 근황이다. 당시 47세였음에도 얼굴이 별로 변하지 않았다.(...)
파일:리암과 앨런 그리고 깨알 본헤드.jpg
* 오아시스 멤버들 중에서는 리암과 가장 친했다 한다.[5] 나이도 동갑이어서 항상 둘은 대외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같이 술을 퍼마시면서 놀았다근데 오아시스 멤버 전체가 다 그러지 않았나. 참고로 싸움도 같이 하는 사이다. 2002년 12월, 5집 투어 중 리암과 앨런은 뮌헨의 한 클럽을 방문했다. 그러다 이탈리아에서 온 남자들과 시비가 붙었고 이것이 몸싸움으로 번졌는데, 문제는 리암이 신고를 받고 온 경찰들에게도 주먹을 휘둘렀다.... 때문에 독일 유치장에서 콩밥 좀 먹다가 불행 중 다행으로 벌금형으로 마무리되어서 벌금 내고 나왔다고 한다. 참고로 이 일로 인해 리암은 부러진 앞니를 치료하러, 앨런은 머리를 다쳐 뇌 검사를 받아야 해서 5집 투어를 중단하고 영국으로 복귀했다.

2.4. 관련 항목



[1] 특히 그가 처음 합류했던 Tales from Topographic Oceans에서 그런 평을 많이 받았다.[2] 2008년 런던 재즈 카페에서 연주하는 것이 목격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3] SNS가 없다가 2020년에 인스타그램을 개설하였는데 주로 자신의 드럼 연주 영상을 올리며, 오아시스 시절의 사진도 간간히 올라온다. 앤디, 본헤드와 맞팔로우 하고 있으며, 오아시스 공식계정 또한 팔로우 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노엘과 리암의 공식 계정은 팔로우를 하지 않고 있다.[4] 여배우 활동을 하고 있어서 메이저 OTT 사이트들에 그녀의 작품들이 꽤 있다.[5] 둘이 함께 나오는 인터뷰 영상도 존재한다. #[6] 화이트는 런던, 벨은 카디프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