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3:00:43

에이리언: 로물루스/시리즈 레퍼런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에이리언 로물루스 로고 이미지 5.png

개봉 전 정보 · 등장인물 · 줄거리 · 설정 · 시리즈 레퍼런스 ·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 미디어 믹스(코믹스)



[clearfix]

1. 개요

에이리언: 로물루스의 시리즈 레퍼런스 문서이다.

2. 시리즈 레퍼런스

2.1. 에이리언 시리즈 캐넌

2.1.1. 에이리언 시리즈

2.1.2. 에이리언

2.1.3. 에이리언 2

2.1.4. 에이리언 3

2.1.5. 에이리언 4

2.1.6. 프로메테우스

2.1.7. 에이리언: 커버넌트

2.1.8. 에이리언: 아이솔레이션

2.1.9. 에일리언: 공허의 그림자

* 에일리언 공허의 그림자에서 등장하는 모선인 메리언 호가 극의 초반부 수송선 델라일라 호와의 충돌로 인해 궤도 상에서 통제력을 잃고, 소행성 LV178로 추락하는 와중에 지표면 충돌까지의 제한 시간 내에 제노모프를 피해 모선에서 탈출해나가는 극의 전개는 르네상스 우주 기지가 LV-410 행성고리에 충돌하기 전에 탈출해야하는 레인 케러딘 일행의 처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2.2. 에이리언 시리즈 논캐넌

2.2.1. 에이리언 VS. 프레데터

2.2.2. DEAD BY DAYLIGHT



[1] 이는 에이리언이 생명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고, 원작에서는 이 빔을 건드린 이후 에이리언 알이 부화하며 페이스 허거가 풀려난다. 본작에서도 둥지의 이 빔을 건드리자 동명하고 있던 제노모프들이 침입자를 감지하고 몰려온다[2] 224쪽 ~ 226쪽 킨들판 참고.[3] 에이리언 4에서도 과학자가 제압용 냉동총 버튼에 접근하자 제노모프들이 두려워하는 묘사가 나온다.[4] 보호복의 팔 부분을 자세히 보면 룩의 이름이 새겨진 패치가 있다.[5] 다만 애쉬와는 달리, 룩은 파손되긴 했어도 몸이 반쪽은 남아있었고 이미 마더를 통제할 권한도 있었던만큼 AI를 옮기진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3
, 9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