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에즈라(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성경의 구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구약성경 ] {{{#!wiki style="margin:-5px 0 -5px" | 히브리 성경 | ||||||
모세오경 | 창세기 · 출애굽기 · 레위기 · 민수기 · 신명기 | ||||||
역사서 | 여호수아 · 판관기 · 룻기 · 사무엘기 · 열왕기 · 역대기 · 에즈라 · 느헤미야 · 에스델 | ||||||
시가서 | 욥기 · 시편 · 잠언 · 전도서 · 아가 | ||||||
예 언 서 | 대예언서 | 이사야 · 예레미야 · 애가 · 에제키엘 · 다니엘 | |||||
소예언서 | 호세아 · 요엘 · 아모스 · 오바디야 · 요나 · 미가 · 나훔 · 하바꾹 · 스바니야 · 하깨 · 즈가리야 · 말라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구약의 제2경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7f7f7f><colcolor=#fff> 제2경전 | ||||||
가톨릭 · 정교회 | 토비트 · 유딧 · 마카베오기 · 지혜서 · 집회서 · 바룩 · 다니엘 일부 · 에스델 일부 | ||||||
정교회 | 에스드라스 1서 · 송시 · 마카베오기 3서 · 므나쎄의 기도 · 시편 151편 | ||||||
테와히도 | 에녹 1서 · 희년서 · 메카비안 1서·2서·3서 · 바룩의 나머지 말 · 요시폰 | ||||||
그 외 | 에스드라스 2서(Ge)(aM)(SY)(eT) · 마카베오기 4서(조지아) · 바룩의 편지(시리아)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신약성경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신약성경 | |||
복음서 | 공관복음서 | 마태오의 복음서 · 마르코의 복음서 · 루가의 복음서 | |||||
요한의 복음서 | 요한의 복음서 | ||||||
역사서 | 사도행전 | ||||||
바울로 서간 | 교리서간 | 로마서 · 고린토전서 · 고린토후서 · 갈라디아서 | |||||
옥중서간 | 에페소서 · 필립비서 · 골로사이서 · 필레몬서 | ||||||
일반서간 | 데살로니카전서 · 데살로니카후서 | ||||||
목회서간 | 디모테오전서 · 디모테오후서 · 디도서 | ||||||
저자미상 | 히브리서 | ||||||
보편서간 | 야고보서 · 베드로전서 · 베드로후서 · 요한 서간 · 유다서 | ||||||
예언서 | 요한의 묵시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테와히도 정교회의 확장된 정경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colbgcolor=#7f7f7f><colcolor=#fff>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 Sinodos (Sirate Tsion · Tizaz · Gitsew · Abtilis) · I Dominos · II Dominos · Clement · Didesqelya | }}}}}}}}} |
성경의 목차 | 위경 및 제안된 문서 |
예후드 메디나타 총독 | |
{{{#FFD7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이스라엘 판관 · 통일 이스라엘 · 북이스라엘 남유다 · 바빌론 예후드 하스몬 왕조 · 헤로데 왕조 · 유다이아 | }}}}}}}}}}}} |
<rowcolor=#ffffff> ◀ 이전 | 에즈라 에즈라기/에스라 에즈 / 스 | 다음 ▶ |
역대기(그리스도교) | 느헤미야 | |
다니엘(유대교) | ||
언어별 명칭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히브리어 | עזרא (ʿezrāʾ, 에즈라) | |
아랍어 | عزير (ʿuzayr, 우자이르) | |
고대 그리스어 | Ἔσδρᾱς (Ésdrās, 고대)·Έσδρας (Ézdras, 현대) | |
라틴어 | Liber Esdrae | |
영어 | Book of Ezra | |
중국어 | 厄斯德拉上 | |
일본어 | エズラ記 (エズラき) | |
기본 정보 | ||
저자 | 역대기 사가[1] 에즈라[2] | |
기록 연대 | B.C. 3세기경(최종 편집)[3] B.C. 400년경[4] | |
분량 | 10장 | |
주요인물 | 에즈라, 고레스, 다리오 |
[clearfix]
1. 개요
사제들과 레위인들과 가문의 어른들 가운데는 이전 성전을 본 노인들이 많았다. 그들은 이렇게 성전 터가 놓인 것을 보고 목을 놓아 울음을 터뜨렸다. 그런가 하면 많은 사람들은 소리를 지르며 좋아서 어쩔 줄을 몰랐다.[5] 그 소리가 어찌나 컸던지 멀리까지 들렸는데 좋아서 떠드는 소리인지 슬퍼서 우는 소리인지 갈피를 잡을 수 없을 정도였다.
에즈라 3장 12~13절 (공동번역 성서)
에즈라 3장 12~13절 (공동번역 성서)
성경의 15번째 권이자 해당 책의 등장인물.[6]
율법학자인 에즈라가 이스라엘 백성의 참회와 나아갈 길을 위해 기록한 것으로 전해지며, 고대 이스라엘이 바빌론에 의해 멸망당한 이후 페르시아 키루스 2세의 정책으로 다시 귀환한 유대인들이 폐허속에서 성전과 예루살렘을 복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같은 내용을 서로 미묘하게 다른 이야기로 들려주는 책들은 성경에 여럿이 있지만, 에즈라는 그 중에서도 유난히 특이한, 느헤미야와 쌍둥이 격인 책으로 수록되어 있다. 아예 같은 시기의 이야기이면서, 느헤미아와 에즈라 모두가 두 책에 같이 등장한다.
에즈라는 종교 지도자인 반면, 느헤미야는 정치 지도자인데, 느헤미야가 성전 수복의 초석이 될 예루살렘 성 복원 공사를 하면서 온갖 우여곡절을 겪다가 어쨌든 해피엔딩~하더니 에즈라는 이런 설레발을 보여주지 않고 진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결국 둘 다 당대에 목적이 달성되지 못하는 점에서는 완전히 동일하다.
2. 내용
예레미야의 예언대로 70년이 지나자 키루스 2세가 신 바빌론을 멸망시키고 페르시아를 건국하고, "무너진 야훼의 성전을 재건하라"는 명목으로 포로로 잡혀있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모두 예루살렘으로 귀환시킨다. 하지만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고 성전 재건 작업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 백성들의 지도자들이 이민족과 간통을 하여 민족의 순수성을 더럽혔다는 보고가 들어오는데, 에즈라는 보고를 듣자마자 옷을 찢어발긴 뒤 해가 질 무렵까지 성전을 향해 엎드려 통곡하다가 "하느님, 우리 죄가 하늘에 닿았습니다. 하느님이 70년 만에 돌아오게 해 주신다는 약속을 잊지 않으시고 기어이 우리를 모두 고향으로 돌려보내주셨는데, 우리는 그 은혜를 또 배신하고 죄를 지었으니, 우리가 어떻게 주님의 벌을 피할 것이며, 저희가 주님께 무슨 할 말이 또 있겠습니까?" 라며 기도했고, 그 기도를 들은 백성들이 모두 통곡하며 각자 죄를 자복한 후, 이방인들과 간통을 한 자들, 그 간통의 대상들, 그로 인해 태어난 자식들을 모두 쫓아내기로 결정한다. 거의 모든 백성들이 따랐으나 더러는 그에 불복한 자들도 있었다.이스라엘의 질서가 회복되는 모습과 그 과정을 담은 책으로써, 흩어진 유대인들이 다시 불러모여지는 과정을 다루는 만큼, 에즈라서는 귀환한 사람들의 명단과 어느 지파 출신인가를 일일이 열거한다. 이름이 많이 나오기로는 역대기에 맞먹는 수준으로, 그 많은 이름들을 다 읽다보면 괜히 정치 지도자가 아닌 종교 지도자의 시선으로 쓰여있는 책이 아님을 뼈저리게 느낄 수 있다.
질서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그 과정에 속한 한 개인의 심정이 많이 드러나 있는 느헤미야와 달리, 종교 지도자의 시선으로 쓰여져있는 에즈라는 여러모로 예언서들과 거의 비슷한 분위기의 내용을 담고 있다. 물론, 상술했듯, 느헤미야와 에즈라의 바람과는 달리, 질서의 회복은 그들의 세대에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방법 또한 그들이 생각한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3. 에스드라스
구분 | 1 | 2 | 3 | 4 | 5 | 6 | |
타나크 (초기)[7] | 에즈라 | ||||||
타나크 (후기) | 첫 번째 에즈라 | 두 번째 에즈라 | |||||
70인역 | 에스드라스 베타 | 에스드라스 알파 | |||||
고 라틴어역[8] | 두 번째 에즈라 | 첫 번째 에즈라 | |||||
불가타 (예로니모) | 에즈라 | ||||||
불가타 (클레멘스) | 에스드라스 1서 | 에스드라스 2서 (느헤미야) | 에스드라스 3서 (외경) | 에스드라스 4서 (외경) | |||
구 슬라브어역[9] | 에스드라스 1서 | 느헤미야 | 에스드라스 2서 | 에스드라스 3서 | |||
에티오피아[10] | 에즈라 1서 | 에즈라 2서 | 에즈라 스투엘[11] | ||||
학문 용어 | 에스라-느헤미야 | 그리스어 에스드라스 | 라틴어 에스드라스 | ||||
에스드라스 4서[12] | 에스드라스 5서[13] | 에스드라스 6서[14] | |||||
현재 | 에스라 | 느헤미야 | 에스드라스 1서 [정교회] | 에스드라스 2서 [정교회_일부] |
에스드라스 에스드라 | ||||
언어별 명칭 | 히브리어 | עזרא החיצוני (에즈라 하히초니)[17] | ||
그리스어 | Έσδρας Α΄ (에스드라스 알파) Έσδρας Β΄ (에스드라스 베타) | |||
라틴어 | 1 Esdras 2 Esdras | |||
영어 | ||||
기본 정보 | 저자 | 미상 | ||
기록 연대 | 에스드라스 1서: 기원전 2세기경 에스드라스 2서: 기원후 100년경 | |||
분량 | 에스드라스 1서: 9장 에스드라스 2서: 16장 | |||
주요 인물 | 에즈라, 고레스, 다리오 | |||
이전 책 | ← → | 다음 책 | ||
느헤미야 | 에스델 |
참고
에스드라스 1서 본문 (영어)
에스드라스 2서 본문 (영어)
에스드라스 1서 (그리스어 위키백과)
에즈라 속편 (히브리어 위키백과)
에즈라, 느헤미야, 그 외 제2경전·외경 문헌들의 이름이 되게 복잡한데, 그 원인은 아래와 같다.
본래 타나크에는 오늘날의 '에즈라'와 '느헤미야'를 '에즈라'란 이름으로 책 한 권[18]에 묶여 있었다. 이후 그리스어 성경인 70인역에서는 묶인 그 '에즈라'를 '에스드라스 베타'라 부르고 '에스드라스 알파'를 추가했다. 이후 불가타역에서 이를 다시 에스드라스 1, 2, 3, 4서로 갈라 놓았고, 후대의 개신교에서 불가타역의 1서를 에스라, 2서를 느헤미야라는 정경으로 분류하게 됨에 따라 3서는 에스드라스 1서, 4서는 에스드라스 2서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됐다.
당연히도, '에즈라'와 '에스드라스(에스드라)'는 동일인물이다. 에즈라서와 구분하기 위해 에스드라스 1서, 에스드라스 2서 등으로 부를 뿐이다.
이 에스드라스 1서[현재], 에스드라스 2서[현재]는 개신교와 가톨릭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정교회에서는 에스드라스 1서[현재]를 인정하며, 에스드라스 2서[현재]는 조지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시리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서 인정한다. 다만, 가톨릭에서도 미사의 부활 제2주일 입당송으로 에스드라스 2서[현재] 2장 36~37절이 사용된다.
4. 성지: 에즈라 영묘
20세기 초엽, 티그리스 강에서 바라본 에즈라 영묘
무슬림, 유대인 순례객 모두가 찾는 성지이다.
이라크 남부 쿠르나에 위치한다. 중세부터 순례지였고 1800년경 페르시아 양식으로 지어졌다.
[1] 성서 주석학적 견해[2] 전통적 견해[3] 에리히 쳉어Erich Zenger 등의 《구약성경 개론》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한국어판 (분도출판사 2012)1013쪽[4] 전통적 견해[5] 전자는 과거 예루살렘 성전의 실사를 목도한 이들이고, 후자는 유년기부터 포로 생활을 해 오던 젊은 세대였다. 전보다 초라한 성전을 건축한 것이 마냥 즐거울 수는 없는 것.[6] 제사장(아론의 후손), 스라야의 아들인 에즈라는 역대기의 일부분도 집필했다고 전해진다.[7] 마소라 본문[8] Vetus Latina, 불가타 이전의 라틴어역 성경[9] Old Church Slavonic[10] Orthodox Tewahedo biblical canon,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정경 목록[11] Ezra Sutuel[12] 에스드라스 2서(현재 용어 기준) 3장~14장[13] 에스드라스 2서(현재 용어 기준) 1장~2장[14] 에스드라스 2서(현재 용어 기준) 15장~16장[정교회] 정교회만 경독서(제2경전)으로 인정[정교회_일부] 조지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시리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서만 인정한다.[17] '에스라 속편'이라는 뜻.[18] 오늘날 학문적으로는 '에즈라-느헤미야'라고 부른다.[현재] 현재 용어 기준.[현재] 현재 용어 기준.[현재] 현재 용어 기준.[현재] 현재 용어 기준.[현재] 현재 용어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