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2:34:44

쌍곡선 함수

역쌍곡선함수에서 넘어옴
초등함수
Elementary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67843> 대수함수 다항함수 (상수 · 1차 · 2차 · 3차 · 4차 · 추론 · 공식 ( 길이 · 넓이 ) · 소수생성) · 유리함수 · 무리함수
초월함수 지수함수( 확률밀도함수 · 허수지수함수 ) · 로그함수 ( 복소로그함수 ) · 삼각함수 · 역삼각함수 · 쌍곡선 함수 · 역쌍곡선 함수 }}}}}}}}}

삼각함수 · 쌍곡선함수
Trigonometric Functions · Hyperbolic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80b0> 기본 개념 기하학{평면기하학(삼각형 · 삼각비 · · 쌍곡선)} · 해석학{좌표계 · 복소평면 · 함수(초월함수 · 특수함수)}
삼각함수 사인곡선(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삼각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쌍곡선함수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1. 개요2. 상세3. 정의
3.1. 기본형3.2. 역수형3.3. 역함수
4. 쌍곡선과의 관계
4.1. 증명 14.2. 증명 2
5. 관련 공식
5.1. 항등식5.2. 덧셈 정리5.3. 배편각 공식5.4. 반편각 공식5.5. 합을 곱으로 고치는 공식5.6. 곱을 합으로 고치는 공식5.7. 도함수
5.7.1. 쌍곡선 함수5.7.2. 역쌍곡선 함수
5.8. 역도함수
5.8.1. 쌍곡선 함수5.8.2. 역쌍곡선 함수5.8.3. 특수 적분
6. 복소수와 쌍곡선 함수
6.1. 복소평면에서의 쌍곡선 함수의 그래프
7. 테일러 급수8. 기타9. 관련 문서

1. 개요

hyperbolic function ・

삼각함수가 원과 연관된다면 쌍곡선 함수는 쌍곡선과 연관된다는 특징이 있다. 삼각함수와 매우 유사한 성질을 띠며, 미분방정식과 함수 이론에서 쓰인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

2. 상세

삼각함수는 원과 관련있는 함수이다. 즉,
[math(\begin{cases}
x = \cos t \\
y = \sin t
\end{cases})]
로 매개변수화 하면
[math(
x^2 + y^2 = \cos^2t + \sin^2t = 1
)]
이 되므로 [math(xy)]평면 상 중심이 원점인 단위원이 나오게 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math(\begin{cases}
x = \cosh t \\
y = \sinh t
\end{cases})]
로 매개변수화 하면
[math(
x^2 - y^2 = \cosh^2t - \sinh^2t = 1
)]
이 되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이 나온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이 함수들을 쌍곡선 함수라 부르는 것이다.

이렇듯, 삼각함수와 유사한 특징이 많은 함수이지만, 결정적으로 쌍곡선 함수는 모든 실수에서 주기를 갖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3. 정의

3.1. 기본형

[math(\begin{aligned}
\sinh x &\equiv \dfrac{e^x - e^{-x}}2 \\
\cosh x &\equiv \dfrac{e^x + e^{-x}}2 \\
\tanh x &\equiv \dfrac{\sinh x}{\cosh x} = \dfrac{e^x - e^{-x}}{e^x + e^{-x}}
\end{aligned})]
[math(\sinh)], [math(\cosh)], [math(\tanh)]라는 기호는 각각 '쌍곡 사인', '쌍곡 코사인', '쌍곡 탄젠트'를 의미하는 라틴어 sinus hyperbolicus, cosinus hyperbolicus, tangēns hyperbolicus에서 유래했다. 이 함수들을 영어로는 '쌍곡선의(hyperbolic)'라는 단어를 각 삼각함수의 명칭 앞에 붙인 'hyperbolic sine', 'hyperbolic cosine', 'hyperbolic tangent'라고 한다.[1] 영어권에서는 발음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어 다음과 같은 명칭이 통용되기도 한다.
각 함수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파일:나무_sinhx_그래프_수정.png 파일:나무_coshx_그래프_수정.png 파일:나무_tanhx_그래프_수정.png
[math(y=\sinh x)] [math(y=\cosh x)] [math(y=\tanh x)]

위에서 볼 수 있듯, [math(\sinh x)], [math(\tanh x)]는 기함수, [math(\cosh x)]는 우함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math(\cosh x)]는 점 [math((0, 1))]을 지남을 알 수 있고, [math(\tanh x)]는 점근선으로 [math(y = \pm 1)]을 가짐을 알 수 있다.

[math(\tanh x)]는 [math(operatorname{erf}(x))]와 개형이 비슷하며, 이러한 개형을 시그모이드라고 부른다.[비교] 누군가는 아예 이걸로 논문을 쓰기도 했다.

[math(\cosh x)]는 현수선의 방정식이라고도 한다. 실의 양 끝을 팽팽하지 않게 고정시켜 늘어뜨렸을 때의 형태를 현수선이라고 하는데, 이 방정식의 일반항이
[math(
a\cosh \Bigl( \dfrac xa \Bigr) = \dfrac a2 \,(e^{x/a}+e^{-x/a})
)]
이다. [math(a=1)]일 때 [math(\cosh x)]가 나온다.

3.2. 역수형

이 함수들은 기본형에 역수를 취한 함수이다.
[math(\begin{aligned}
\coth x &\equiv \dfrac1{\tanh x} \\
\operatorname{sech}x &\equiv \dfrac1{\cosh x} \\
\operatorname{csch}x &\equiv \dfrac1{\sinh x}
\end{aligned} )]
[math(\coth)], [math(\rm sech)], [math(\rm csch)] 역시 cotangēns hyperbolicus, secāns hyperbolicus, cosecāns hyperbolicus에서 유래한 표기이며, 영어로는 각각 'hyperbolic cotangent', 'hyperbolic secant', 'hyperbolic cosecant'라 읽는다. 기본형의 함수들과 마찬가지로, 영어권에서는 발음의 편의상 다음 명칭이 통용되기도 한다.
[math(\rm sech)]은 따로 '오일러 수열 함수'라고 하기도 한다. 또한 정규 분포 그래프와 개형이 비슷하다.

3.3. 역함수

이 함수들은 기본형과 역수형의 역함수들이다. 쌍곡선 [math(x^2 - y^2 = 1)]과 직선 [math(y = x\tanh a)]와 [math(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3]의 넓이(area)가 [math(a)]라는 특징으로부터 이들 역함수에는 접두사 [math(\text{ar-})]을 붙여 쓰는 것이 정식 표기이고, 따라서 이 표기에서 각 함수의 정식 명칭은 'area hyperbolic ~'이다. 그런데, 쌍곡선 함수가 삼각함수와 유사하기 때문인지 [math(\text{arc-})]를 붙인 틀린 표현[4]도 자주 볼 수 있다. TI-Nspire 시리즈Desmos가 이 틀린 표현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을 다룰 땐 artanh(x) 대신 arctanh(x)라고 입력해야 한다.[5]

한편, 쌍곡선 함수가 지수함수를 이용해서 정의되는 특성상, 복소함수론에서는 역쌍곡선 함수의 정의역이 원래 함수의 지수, 즉 편각(argument)이 되기 때문에 간혹 접두사를 [math(\text{arg-})]로 쓰고 argument로 읽는 학자도 있다.[6]

실수 [math(x)]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math(\begin{aligned}
\operatorname{arsinh}x &= \ln(x + \sqrt{x^2+1}) \\
\operatorname{arcosh}x &= \ln(x + \sqrt{x^2-1}) && \qquad (x \ge 1) \\
\operatorname{artanh}x &= \dfrac12 \ln \biggl( \dfrac{1+x}{1-x} \biggr) && \qquad (|x| < 1) \\
\operatorname{arcoth}x &= \dfrac12 \ln \biggl( \dfrac{x+1}{x-1} \biggr) && \qquad (|x| > 1) \\
\operatorname{arsech}x &= \ln \biggl( \dfrac1x + \sqrt{\dfrac1{x^2}-1} \biggr) && \qquad (0 < x \le 1) \\
\operatorname{arcsch}x &= \ln \biggl( \dfrac1x + \sqrt{\dfrac1{x^2}+1} \biggr) && \qquad (x \ne 0)
\end{aligned} )]

표기와 관련하여, [math(\rm arsinh)], [math(\rm arcosh)], [math(\rm artanh)], [math(\rm arcoth)], [math(\rm arsech)], [math(\rm arcsch)]는 각각 [math(\rm sinh^{-1})], [math(\rm cosh^{-1})], [math(\rm tanh^{-1})], [math(\rm coth^{-1})], [math(\rm sech^{-1})], [math(\rm csch^{-1})]로 나타내기도 하고 실제로도 편의성과 가독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나[7], 역삼각함수의 경우처럼 수학계가 권장하는 표현은 아니다.

4. 쌍곡선과의 관계

이번엔 그래프 상에서 쌍곡선 함수가 어떻게 정의되는지 보고자 한다.

파일:쌍곡선함수_정의_수정_수정.svg

쌍곡선 [math(x^2 - y^2 = 1)]과 그 위의 한 점 [math(\rm P)]에 대하여, 원점과 [math(\rm P)]를 지나는 직선 [math(y = x\tanh a)], [math(x)]축, 쌍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가 [math(a)][8]가 될 때, 점 [math(\rm P)]의 [math(x)]좌표와 [math(y)]좌표는 각각 [math(\cosh a)], [math(\sinh a)]이다.

4.1. 증명 1

첫 번째로는 위 문단의 쌍곡선 함수와 쌍곡선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통하여 쌍곡선 함수가 어떻게 지수함수로 표현되는지 확인해보자.

파일:namu_쌍곡선함수_넓이증명.svg

위와 같이 단위 쌍곡선 [math(x^2 - y^2 = 1)] 위의 점 [math({\rm P}(\cosh t, \sinh t))]를 지나는 직선을 [math(y = mx)]라 하자. 그러면 쌍곡선 함수의 정의에 따라 [math(m = \dfrac{\sinh t}{\cosh t} = \tanh t)]이다.

두 도형의 방정식을 연립하면 다음을 얻는다.
[math(\begin{aligned}
x &= \frac1{\sqrt{1-m^2}} \\
y &= \frac m{\sqrt{1-m^2}}
\end{aligned})]

[math(y = mx)], [math(x)]축, 단위 쌍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math(S)]라 하자.

위 그림에서
[math(
S = \triangle{\rm POH} - T
)]
이므로
[math(\begin{aligned}
\triangle{\rm POH} &= \frac12 \frac1{\sqrt{1-m^2}} \frac m{\sqrt{1-m^2}} \\
&= \frac12 \frac m{1-m^2} \\
\\
T &= \int_1^{1/\sqrt{1-m^2}} \sqrt{x^2-1} {\rm\,d}x \\
&= \frac12 \biggl( \frac m{1-m^2} -\ln \biggl| \frac{1+m}{\sqrt{1-m^2}} \biggr| \biggr) \\
\\
\therefore S &= \triangle{\rm POH} - T \\
&= \frac12 \ln \biggl| \frac{1+m}{\sqrt{1-m^2}} \biggr|
\end{aligned})]
이다. 한편, 쌍곡선 함수의 정의에 따라 [math(S = t/2)]이다. 따라서
[math(
t = \ln \biggl| \dfrac{1+m}{\sqrt{1-m^2}} \biggr|
)]
이다. 이때 [math(y = mx)]의 기울기는 쌍곡선의 한 점근선 [math(y = x)]의 기울기보다 작아야 하고, [math(x)]의 범위는 [math(x > 0)]일 때만 고려하므로, [math(0 < m < 1)]이다. 따라서 절댓값을 벗길 수 있다. 이상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math(
e^t = \dfrac{1 + m}{\sqrt{1-m^2}} \quad \to \quad e^{2t} = \dfrac{1+m}{1-m}
)]
이것을 [math(m)]에 관하여 정리하면,
[math(
m = \dfrac{e^{2t} - 1}{e^{2t} + 1} = \dfrac{e^t - e^{-t}}{e^t + e^{-t}}
)]
그런데 [math(m = \tanh t)]였음을 상기하면
[math(
\therefore \tanh t = \dfrac{e^t - e^{-t}}{e^t + e^{-t}}
)]
이상에서
[math(
{\rm P} \biggl( \dfrac{e^t + e^{-t}}2, \dfrac{e^t - e^{-t}}2 \biggr) \!= {\rm P}(\cosh t, \sinh t)
)]
이다. 따라서 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ath(\begin{aligned}
\sinh t &= \frac{e^t - e^{-t}}2 \\
\cosh t &= \frac{e^t + e^{-t}}2 \\
\tanh t &= \frac{e^t - e^{-t}}{e^t + e^{-t}}
\end{aligned})]

4.2. 증명 2

이번에는 반대로 쌍곡선 함수를 먼저 지수함수로 설정하고, 이것이 어떻게 쌍곡선의 넓이와 관련이 있는지를 보고자 한다.

파일:쌍곡선함수_정의_수정_수정.svg

위 그래프에서 색칠된 부분의 넓이는
[math(
\displaystyle \int_0^{\sinh a} \sqrt{y^2+1} {\rm\,d}y -\frac12 \cosh a\sinh a
)]
로 구할 수 있다.

쌍곡선 함수의 정의에 따라 [math(\cosh^2a - \sinh^2a = 1)]이 성립하므로, 위의 적분에서 [math(y = \sinh u)]로 치환적분하면 [math({\rm d}y = \cosh u {\rm\,d}u)]이므로, [math(y = 0)]일 때 [math(u=0)]이고 [math(y = \sinh a)]일 때, [math(u = a)]이므로, 위 적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begin{aligned}
&\int_0^a \sqrt{\sinh^2u+1} \cosh u {\rm\,d}u -\frac12 \cosh a\sinh a \\
&= \int_0^a \cosh^2u {\rm\,d}u -\frac12 \cosh a\sinh a \\
&= \frac12 \int_0^a (\cosh(2u) + 1) {\rm\,d}u -\frac14 \sinh(2a) \\
&= \!\left[ \frac14 \sinh(2a) +\frac a2 \right] \!-\frac14 \sinh(2a) \\
&= \frac a2
\end{aligned})]
이상에서 넓이가 [math(a/2)]임이 증명됐다.

5. 관련 공식

5.1. 항등식

[math(\begin{aligned}
\cosh x \pm \sinh x &= e^{\pm x} \\
\\
\cosh^2x - \sinh^2x &= 1 \\
1 - \tanh^2x &= \operatorname{sech}^2x \\
\coth^2x - 1 &= \operatorname{csch}^2x \\
\\
\sinh(-x) &= -\sinh x \\
\cosh(-x) &= \cosh x \\
\tanh(-x) &= -\tanh x \\
\coth(-x) &= -\coth x \\
\operatorname{sech}(-x) &= \operatorname{sech}x \\
\operatorname{csch}(-x) &= -\operatorname{csch}x
\end{aligned})]

이 외에도 삼각함수를 다룰 때 다뤘던 특수함수의 극한 또한 쌍곡선 함수에서 성립한다.
[math(\begin{aligned}
\lim\limits_{x\to0} \frac{\sinh x}x &= 1 \\
\lim\limits_{x\to0} \frac{\tanh x}x &= 1
\end{aligned})]

5.2. 덧셈 정리

[math(\begin{aligned}
\sinh(x \pm y) &= \sinh x\cosh y \pm \cosh x\sinh y \\
\cosh(x \pm y) &= \cosh x\cosh y \pm \sinh x\sinh y \\
\tanh(x \pm y) &= \dfrac{\tanh x \pm \tanh y}{1 \pm \tanh x\tanh y}
\end{aligned})]

이상은 모두 복부호 동순이다. 덕분에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형태를 알고 있으면 쌍곡선함수 덧셈정리를 외우는 것은 부호에 일관성이 있으므로 더 쉽다.

5.3. 배편각 공식

[math(\begin{aligned}
\sinh(2x) &= 2\sinh x\cosh x \\
\cosh(2x) &= \cosh^2x + \sinh^2x \\
&= 2\sinh^2x+1 \\
&= 2\cosh^2x-1 \\
\tanh(2x) &= \dfrac{2\tanh x}{1 + \tanh^2x}
\end{aligned})]

5.4. 반편각 공식

[math(\begin{aligned}
\sinh^2 \Bigl( \dfrac x2 \Bigr) &= \dfrac{\cosh x - 1}2 \\
\cosh^2 \Bigl( \dfrac x2 \Bigr) &= \dfrac{\cosh x + 1}2 \\
\tanh^2 \Bigl( \dfrac x2 \Bigr) &= \dfrac{\cosh x - 1}{\cosh x + 1}
\end{aligned})]

5.5. 합을 곱으로 고치는 공식

[math(\begin{aligned}
\sinh x \pm \sinh y &= 2 \sinh \biggl( \dfrac{x \pm y}2 \biggr) \cosh \biggl( \dfrac{x \mp y}2 \biggr) \\
\cosh x + \cosh y &= 2 \cosh \biggl( \dfrac{x + y}2 \biggr) \cosh \biggl( \dfrac{x - y}2 \biggr) \\
\cosh x - \cosh y &= 2 \sinh \biggl( \dfrac{x + y}2 \biggr) \sinh \biggl( \dfrac{x - y}2 \biggr)
\end{aligned})]

이상은 모두 복부호동순이다.

5.6. 곱을 합으로 고치는 공식

[math(\begin{aligned}
\sinh x\cosh y &= \dfrac12 \{ \sinh(x+y) + \sinh(x-y) \} \\
\cosh x\sinh y &= \dfrac12 \{ \sinh(x+y) - \sinh(x-y) \} \\
\cosh x\cosh y &= \dfrac12 \{ \cosh(x+y) + \cosh(x-y) \} \\
\sinh x\sinh y &= \dfrac12 \{ \cosh(x+y) - \cosh(x-y) \} \\
\end{aligned})]

5.7. 도함수

5.7.1. 쌍곡선 함수

[math(\displaystyle\begin{aligned}
\frac{\rm d}{{\rm d}x} \sinh x &= \cosh x \\
\frac{\rm d}{{\rm d}x} \cosh x &= \sinh x \\
\frac{\rm d}{{\rm d}x} \tanh x &= \operatorname{sech}^2x \\
\frac{\rm d}{{\rm d}x} \operatorname{sech}x &= -\operatorname{sech}x\tanh x \\
\frac{\rm d}{{\rm d}x} \operatorname{csch}x &= -\operatorname{csch}x\coth x \\
\frac{\rm d}{{\rm d}x} \coth x &= -\operatorname{csch}^2x
\end{aligned})]

5.7.2. 역쌍곡선 함수

[math(\displaystyle\begin{aligned}
\frac{\rm d}{{\rm d}x} \operatorname{arsinh}x &= \frac1{\sqrt{x^2+1}} \\
\frac{\rm d}{{\rm d}x} \operatorname{arcosh}x &= \frac1{\sqrt{x^2-1}} && \qquad (x > 1) \\
\frac{\rm d}{{\rm d}x} \operatorname{artanh}x &= \frac1{1-x^2} && \qquad (|x| < 1) \\
\frac{\rm d}{{\rm d}x} \operatorname{arsech}x &= -\frac1{x\sqrt{1-x^2}} && \qquad (0 < x < 1) \\
\frac{\rm d}{{\rm d}x} \operatorname{arcsch}x &= -\frac1{|x|\sqrt{1+x^2}} && \qquad (x \ne 0) \\
\frac{\rm d}{{\rm d}x} \operatorname{arcoth}x &= \frac1{1-x^2} && \qquad (|x| > 1)
\end{aligned})]

[math(\operatorname{artanh}x)]와 [math(\operatorname{arcoth}x)]의 도함수는 형태는 같지만 [math(x)]의 범위가 다르다는 것에 주의하자.

5.8. 역도함수

5.8.1. 쌍곡선 함수

[math(\begin{aligned}
\int \sinh x {\rm\,d}x &= \cosh x +{\sf const.} \\
\int \cosh x {\rm\,d}x &= \sinh x +{\sf const.} \\
\int \tanh x {\rm\,d}x &= \ln(\cosh x) +{\sf const.} \\
\int \operatorname{sech}x {\rm\,d}x &= 2\arctan(e^x) +{\sf const.} \\
&= \arctan(\sinh x) +{\sf const.} \\
&= \arcsin(\tanh x) +{\sf const.} \\
&= 2\arctan \Bigl\{ \tanh \Bigl( \frac x2 \Bigr) \!\Bigr\} +{\sf const.} \\
&= \operatorname{gd}x +{\sf const.} \\
\int \operatorname{csch}x {\rm\,d}x &= \ln \Bigl\{ \tanh \Bigl( \dfrac x2 \Bigr) \!\Bigr\} +{\sf const.} \\
&= \ln|\coth x-\operatorname{csch}x\,| +{\sf const.} \\
\int \coth x {\rm\,d}x &= \ln|\sinh x\,| +{\sf const.}
\end{aligned})]
위 식에서 [math(\operatorname{gd}x)]는 구데르만 함수이고, [math({\sf const.})]는 적분 상수이다.

5.8.2. 역쌍곡선 함수

[math(\begin{aligned}
\int \operatorname{arsinh}x {\rm\,d}x &= x\operatorname{arsinh}x -\sqrt{x^2+1} +{\sf const.} \\
\int \operatorname{arcosh}x {\rm\,d}x &= x\operatorname{arcosh}x -\sqrt{x^2-1} +{\sf const.} && \qquad (x \ge 1) \\
\int \operatorname{artanh}x {\rm\,d}x &= x\operatorname{artanh}x +\frac12 \ln(1-x^2) +{\sf const.} && \qquad (|x| < 1) \\
\int \operatorname{arsech}x {\rm\,d}x &= x\operatorname{arsech}x +\arcsin x +{\sf const.} && \qquad (0 < x \le 1) \\
\int \operatorname{arcsch}x {\rm\,d}x &= x\operatorname{arcsch}x +\operatorname{arsinh}x +{\sf const.} && \qquad (x \ne 0) \\
\int \operatorname{arcoth}x {\rm\,d}x &= x\operatorname{arcoth}x +\frac12 \ln(x^2-1) +{\sf const.} && \qquad (|x| > 1)
\end{aligned})]

단, [math({\sf const.})]는 적분 상수이다.

5.8.3. 특수 적분

[math(\begin{aligned}
\int \sinh|x| {\rm\,d}x &= \operatorname{sgn}(x) \,(\cosh x-1) -1 +{\sf const.} \\
\int \cosh|x| {\rm\,d}x &= \sinh x +{\sf const.} \\
\int \tanh|x| {\rm\,d}x &= \operatorname{sgn}(x) \,(\ln\circ\cosh)(x) +{\sf const.} \\
\int \operatorname{coth}|x| {\rm\,d}x &= \operatorname{sgn}(x) \,(\ln\circ\sinh)(x) +{\sf const.} \\
\int \operatorname{sech}|x| {\rm\,d}x &= 2(\arctan\circ\tanh) \Bigl( \frac x2 \Bigr) +{\sf const.} \\
\int \operatorname{csch}|x| {\rm\,d}x &= \operatorname{sgn}(x) \,(\ln\circ\tanh) \Bigl( \frac x2 \Bigr) +{\sf const.} \\
\int \lvert \sinh x \rvert {\rm\,d}x &= (\operatorname{sgn}\circ\sinh)(x) \cosh x +{\sf const.} \\
\int \lvert \cosh x \rvert {\rm\,d}x &= (\operatorname{sgn}\circ\cosh)(x) \sinh x +{\sf const.} \\
\int \lvert \tanh x \rvert {\rm\,d}x &= (\operatorname{sgn}\circ\tanh)(x) \,(\ln\circ\cosh)(x) +{\sf const.} \\
\int \lvert \operatorname{coth}x \rvert {\rm\,d}x &= (\operatorname{sgn}\circ\operatorname{coth})(x) \,(\ln\circ\sinh)(x) +{\sf const.} \\
\int \lvert \operatorname{sech}x \rvert {\rm\,d}x &= 2(\operatorname{sgn}\circ\operatorname{sech})(x) \,(\arctan\circ\tanh) \!\left( \frac x2 \right) +{\sf const.} \\
\int \lvert \operatorname{sech}x \rvert {\rm\,d}x &= 2(\operatorname{sgn}\circ\operatorname{sech})(x) \,(\arctan\circ\tanh) \Bigl( \frac x2 \Bigr) +{\sf const.} \\
\int \lvert \operatorname{csch}x \rvert {\rm\,d}x &= (\operatorname{sgn}\circ\operatorname{csch})(x) \,(\ln\circ\tanh) \Bigl( \frac x2 \Bigr) +{\sf const.} \\
\int x\tanh x {\rm\,d}x &= -\frac12 \operatorname{Li}_2(-e^{-2x}) +\frac{x^2}2 +x\ln(e^{-2x}+1) +{\sf const.} \\
\int x\operatorname{coth}x {\rm\,d}x &= -\frac12 \operatorname{Li}_2(e^{-2x}) +\frac{x^2}2 +x\ln(-e^{-2x}+1) +{\sf const.} \\
\int x\operatorname{sech}x {\rm\,d}x &= i\operatorname{Li}_2(ie^{-x}) -i\operatorname{Li}_2(-ie^{-x}) +2x\operatorname{arccot}(e^x) +{\sf const.} \\
\int x\operatorname{csch}x {\rm\,d}x &= \operatorname{Li}_2(\sinh x-\cosh x) -\operatorname{Li}_2(e^{-x}) -2x\operatorname{arcoth}(e^x) +{\sf const.} \\
\int \frac{\sinh x}x {\rm\,d}x &= \operatorname{Shi}(x) +{\sf const.} \\
\int \frac{\cosh x}x {\rm\,d}x &= \operatorname{Chi}(x) +{\sf const.} \\
\int \sinh{e^x} {\rm\,d}x &= \operatorname{Shi}(e^x) +{\sf const.} \\
\int \cosh{e^x} {\rm\,d}x &= \operatorname{Chi}(e^x) +{\sf const.} \\
\int \sinh(x^{-1}) {\rm\,d}x &= x\sinh(x^{-1}) -\operatorname{Chi}(x^{-1}) +{\sf const.} \\
\int \cosh(x^{-1}) {\rm\,d}x &= x\cosh(x^{-1}) -\operatorname{Shi}(x^{-1}) +{\sf const.} \\
\int \sinh x^2 {\rm\,d}x &= \frac{\sqrt\pi}4 \{ \operatorname{erfi}(x) -\operatorname{erf}(x) \} +{\sf const.} \\
\int \cosh x^2 {\rm\,d}x &= \frac{\sqrt\pi}4 \{ \operatorname{erfi}(x) +\operatorname{erf}(x) \} +{\sf const.}
\end{aligned} )]
위 식에서 [math(\operatorname{sgn}(x))]는 부호 함수, [math(\operatorname{Shi}(x))]와 [math(\operatorname{Chi}(x))]는 각각 쌍곡선 사인 적분 함수와 쌍곡선 코사인 적분 함수, [math(\operatorname{Li}_2(x))]는 폴리로그함수, [math(\operatorname{erf}(x))]는 오차함수, [math(\operatorname{erfi}(x))]는 복소오차함수, [math({\sf const.})]는 적분 상수이다.

6. 복소수와 쌍곡선 함수

이 문단부터는 정의역을 복소수 영역까지 확장해서 다룰 것이다.

임의의 복소수 [math(z)]에 대해
[math(\begin{aligned}
\sin z &= \frac{e^{iz} - e^{-iz}}{2i} \\
\cos z &= \frac{e^{iz} + e^{-iz}}2
\end{aligned} )]
임과 오일러 공식에 의해
[math(
e^{iz} = \cos z + i\sin z
)]
임을 안다. 이 두 사실을 이용하여 다음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math(\begin{aligned}
\sinh(iz) &= i\sin x \\
\cosh(iz) &= \cos x \\
\tanh(iz) &= i\tan x
\end{aligned} )]
마찬가지로 다음 관계식도 얻을 수 있다.
[math(\begin{aligned}
-i\sin(ix) &= \sinh x \\
\cos(ix) &= \cosh x \\
-i\tan(ix) &= \tanh x
\end{aligned} )]
또한, 복소수 범위에서 [math(\sinh)], [math(\cosh)], [math(\operatorname{sech})], [math(\operatorname{csch})] 함수는 [math(2\pi i)]의 주기를 갖는다. [math(\tanh)], [math(\coth)]는 [math(\pi i)]의 주기를 갖는다.

6.1. 복소평면에서의 쌍곡선 함수의 그래프

파일:Complex_Sinh.jpg 파일:Complex_ArcSinh.jpg
[math(\sinh z)] [math(\operatorname{arsinh}z)]
파일:Complex_Cosh.jpg 파일:Complex_ArcCosh.jpg
[math(\cosh z)] [math(\operatorname{arcosh}z)]
파일:Complex_Tanh.jpg 파일:Complex_ArcTanh.jpg
[math(\tanh z)] [math(\operatorname{artanh}z)]
파일:Complex_Coth.jpg 파일:Complex_ArcCoth.jpg
[math(\coth z)] [math(\operatorname{arcoth}z)]
파일:Complex_Sech.jpg 파일:Complex_ArcSech.jpg
[math(\operatorname{sech} z)] [math(\operatorname{arsech}z)]
파일:Complex_Csch.jpg 파일:Complex_ArcCsch.jpg
[math(\operatorname{csch} z)] [math(\operatorname{arcsch}z)]

7. 테일러 급수

아래는 [math(x=0)] 주위에서 전개한 것이다.
[math(\begin{aligned}
\sinh x &= \sum_{k=0}^\infty \frac{x^{2k+1}}{(2k+1)!} \\
&= x +\frac16x^3 +\frac1{120}x^5 +\cdots \\
\cosh x &= \sum_{k=0}^\infty \frac{x^{2k}}{(2k)!} \\
&= 1 +\frac12x^2 +\frac1{24}x^4 +\cdots \\
\tanh x &= \sum_{n=1}^\infty \frac{(16^n - 4^n) B_{2n}}{(2n)!} \,x^{2n-1} \\
&= x -\frac13x^3 +\frac2{15}x^5 -\frac{17}{315}x^7 +\cdots \\
\coth x &= \sum_{n=0}^\infty \frac{4^n B_{2n}}{(2n)!} \,x^{2n-1} \\
&= \frac1x +\frac13x -\frac1{45}x^3 +\frac2{945}x^5 -\cdots \\
\operatorname{sech}x &= \sum_{n=0}^\infty \frac{E_{2n}}{(2n)!} \,x^{2n} \\
&= 1 -\frac12x^2 +\frac5{24}x^4 -\frac{61}{720}x^6 +\cdots \\
\operatorname{csch}x &= \sum_{n=0}^\infty \frac{(2 - 4^n) B_{2n}}{(2n)!} \,x^{2n-1} \\
&= \frac1x -\frac16x +\frac7{360}x^3 -\frac{31}{15120}x^5 +\cdots
\end{aligned})]
[math(B_n)]은 베르누이 수열, [math(E_n)]은 오일러 수열이다.

8. 기타

9. 관련 문서



[1] 영어의 hyperbolic에 해당하는 [math(\rm h)]가 기호의 뒤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싸인 하이퍼볼릭' 혹은 그냥 '싸인 에이치'라고 하기도 한다.[비교] 파일:namu_compare_erf_tanh_new.png[3] 즉, 가로, 세로의 길이가 [math(\cosh a)], [math(\sinh a)]인 직각삼각형의 넓이에서 [math(\displaystyle \int_1^{\cosh a} \sqrt{x^2-1} {\rm\,d}x)]를 뺀 값의 2배[4] 역삼각함수의 접두사 [math(\text{arc-})]가 붙은 유래를 잘 생각해보면 당연한 건데, 단위원에서 각의 크기(역삼각함수의 값)는 곧 호(arc)의 길이와 같다. 즉, [math(\text{arc-})]라는 접두사는 단위원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는 용어인 셈이다.[5] 일부 기종이나 일부 버전에서는 올바른 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6] 함수 표기가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혼동의 여지를 막는다는 점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표기다. 당장 아래 예에서 [math(\rm arcosh)], [math(\rm arcoth)], [math(\rm arcsch)]만 봐도 접두사를 [math(\text{arc-})]로 잘못 읽을 여지가 있으며, 특히 [math(\rm h)]가 맨 마지막에 있기 때문에 대충 읽으면 역삼각함수로 오해하기 딱 좋다.[7] 이 표기법이 -1제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약속만 있으면, 필기로 쓸 때에도 sinh에 '-1' 작게 두 획 긋는 게 더 쉽고, ar를 붙이는 것보다 가독성도 높아지기 때문.[8] 위 그림에서는 [math(x \ge 0)]인 영역만 색칠되어 있지만, [math(x < 0)]인 영역도 해당하며 이 영역 역시 넓이가 [math(a/2)]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