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570514> | 키움 히어로즈 2025 시즌 내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 김태진 · 5 이재상 · 10 김웅빈 · 17 이원석 · 23 김병휘 · 24 송성문 [[주장| C ]] · 26 이승원 · 27 강진성· 34 이명기 · 39 염승원 · 44 고영우 · 53 최주환 · 58 이주형 · 60 오선진 · 64 양경식 · 70 양현종 · 71 권혁빈 · 86 송지후 · 91 심휘윤 · 92 어준서 · 93 여동욱 · 97 전태현 · 98 서유신''' | ||
최종 편집: 2025년 2월 18일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39번 | ||||
오상원 (2024) | → | 염승원 (2025~) | → | 현역 |
| |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키움 히어로즈 No.39 | |
염승원 Yeom Seungwon | |
출생 | 2006년 3월 20일 ([age(2006-03-20)]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고명초 - 휘문중 - 휘문고 |
신체 | 182cm, 82kg |
포지션 | 내야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 입단 | 2025년 2라운드 (전체 11번, 키움) |
소속팀 | 키움 히어로즈 (2025~) |
연봉 | 2025 / 3,000만 원 |
|
[clearfix]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내야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고3 시즌 중반 부터 박준순, 심재훈과 함께 내야수 TOP3로 분류됐다. 고3 시절 타율 0.521로 고교선수 중 타율 1등을 기록했다.[1] 이에 시즌 후 이영민 타격상을 수상했다.고3 최종 성적은 타/출/장 .521/.575/.726 OPS 1.301
2.2. 키움 히어로즈
2025 KBO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 키움의 지명을 받았다.2.2.1. 2025 시즌
시즌 시작은커녕 해가 넘어가기도 전인 2024년에 진행된 루키캠프에서 팔꿈치 부상이 발견돼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됐다. #이로 인해 육성선수로 시작하며, 데뷔 1년차 시즌은 통째로 재활에만 힘 쓸 것으로 보인다.
등번호는 39번을 선택했다.
2.3. 국가대표 경력
2.3.1. 2024 BFA U-18 야구 선수권 대회
대회성적은 13타수 6안타, 타율 0.462를 기록했다. 일본전에서는 2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3. 플레이 스타일
|
고교 시절에는 유격수로 기용되었지만 수비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타격 재능 하나만큼은 인정받는 선수기 때문에 수비 부담이 덜한 2루수나 외야수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4. 여담
- 롤모델은 스즈키 이치로라고 한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이영민 타격상 수상자 (2001년 이후) ← 창설 이후~2000년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황성용 부산고 | 서정 광주일고 | 박정태 부산고 | 최정 유신고 | 김현수 신일고 |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전동수 덕수정보고 | 김경한 장충고 | 이창진 인천고 | 하주석 신일고 | 유재혁 제물포고 |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박민우 휘문고 | 김민준 북일고 | 조영우 제주고 | 송성문 장충고 | 최원준 서울고 |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김혜성 동산고 | 배지환 경북고 | 최정원 청주고 | 박정우 광명공고 | 김범진 유신고 | |
2021 | 2022 | 2023 | |||
송현우 인상고 | 김민석 휘문고 | 박지완 도개고 | 염승원 휘문고 |
[1] 원래 6할까지 기록했다가 막판에 5할대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