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인천 전반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동고등학교 | 덕적고등학교 | 동산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
인천고등학교 | 제물포고등학교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인천 후반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덕수고등학교 | 덕적고등학교 | 동산고등학교 | 우신고등학교 | ||||
인천고등학교 | 제물포고등학교 |
}}}}}} ||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 (Jemulpo High School) | |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00066,#fff> 창단 | 1982년 |
소속 리그 | 인천·강원권 |
감독 | 강필선 |
우승 기록 | 0회 |
<rowcolor=#fff>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대통령배 | - | - | - |
청룡기 | - | 2회(1984, 2010) | - |
황금사자기 | - | - | - |
봉황대기 | - | - | - |
이마트배 | - | - | - |
[clearfix]
1. 개요
제물포고등학교 산하 야구부.2. 연혁
한국야구사 처음으로 야구 경기가 벌어진 웃터골 운동장 위에 건설된 제물포고등학교 소속 야구부. 이런 역사를 생각해보면 일찍이 창단되었어야 하나 이런저런 문제 등으로 고교야구 붐의 마지막이었던 1982년에 창단되었다.창단 첫 전국대회 결승 진출이었던 1984년 청룡기 결승전 영상 |
제물포고 야구부가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후반부터였는데 동문들의 전폭적인 투자들을 등에 업고[3] 전국 8강권 팀으로 성장했다. 2009년과 2010년에는 지역 전국대회인 미추홀기에서 2년연속 우승을 하였다. 메이저 대회와 우승을 노렸던 2010년에는 이현호를 앞세운 투수력으로 청룡기 결승 진출에 성공하며 우승에 도전했지만, 심창민-한현희가 버틴[4] 경남고에 패하면서 우승의 꿈은 다시 사라졌다. 그래도 이 때 이후로 인천야구에서 양 강에 뒤쳐지는 3자가 아니라 동등한 세 팀으로 인정받는 추세. 그리고 4년 후 동국대 포수 이현석은 SK의 1차 지명, 단국대 투수 이창재는 KT의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 2010년 졸업반은 고졸로 이미 두산에 지명되었던 이현호와 함께 대박을 쳤다.
3. 지역 학교와의 라이벌리
3.1. vs 인천고등학교
인천간의 라이벌 관계이며, 운동부 때문에 생긴 라이벌이 아니라 학교 자체 간의 자존심 싸움인 라이벌 구도이다.원래 제물포고의 뿌리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있던 인천중학교다. 더불어 당시 인고는 인천상업학교로서 전국 탑클래스의 상업학교로 있다가 한국동란 중 학제개편과 더불어 인천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인중은 제물포고, 인중으로 분리가 되었다. 당시에는 중고교 병설 시스템이었던 관계로 인고도 병설중학교를 만드는 데 이것이 상인천 중학교이다. 이는 당시 인고가 배다리, 현재의 인천정보과학고 자리에 있었는데 동인천을 상인천, 인천역을 하인천으로 부르던 까닭에 이렇게 명명한 것이다.
1981년 이전까지 인천은 경기도 소속으로 제고와 인고는 도내 1,2위를 다투는 명문고로 한 때 "누가 서울대를 더 많이 보냈느냐?"를 두고 선의의 경쟁을 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1982년 제물포고가 인천고에 대항하기 위한 방안으로 야구부를 창단했다. 자연스럽게 자존심 싸움의 현장은 야구장으로 넘어왔다. 문제는 신생팀인 제물포고의 실력이 인천고에 한참 못미쳤다는 점. 일제 강점기 때부터 야구부를 운영한 학교와 1980년대에 창단한 학교가 비교의 대상이 될 리는 없었다. 그래도 인천의 진짜 명문이 누구냐를 두고 벌이는 자존심 싸움이었던지라 양 교는 치열하게 경쟁했다. 물론 10번 경기를 하면 8~9번은 인천고가 이기는 형국. 그것도 콜드게임(...).
두 학교 대결의 백미는 1991년부터 시작된 양교 정기전. 매년 5~6월에 열리는 인천고-제물포고 정기전은 야구, 배구, 농구 등의 종목에서 우열을 가리고 있다. 이 중에서도 하이라이트는 단연 야구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인천고가 제물포고에 한참 앞섰지만 제물포고 동문회가 야구부에 공격적인 후원을 단행하면서 제물포고의 성적이 많이 올라왔다. 그러나 이 정기전은 2003년 이후로 단 한번도 열리지 않고 있다.
현재는 서로 엇비슷한 전력을 두고 있다.
3.2. vs 동산고등학교
2000년대 중반부터 제물포고 동문회의 공격적인 후원에 힘입어 제물포고의 실력이 급상승했지만 여전히 두 학교는 라이벌이라고 하기 보다는 그저 지역 내 평범한 경쟁학교 수준에 불과하다. 70년에 가까운 동산고의 야구 역사에 비해 제물포고의 야구 역사는 절반 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야구 실력까지 동산고에 밀리면서 라이벌이라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었다. 다만 두 학교의 거리가 그렇게 멀지 않기 때문에 심리적으로는 매우 가까운 관계다.3.3. vs 덕적고등학교
인천광역시에서 인천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 동인천고등학교, 인천체육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에 이어 여섯 번째로 창단된 야구부.[5] 전국 유일의 섬마을 야구부이자 2021년 창단됐기에 아직은 라이벌이라고 보기엔 힘들고 좀 더 역사가 쌓여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24년 여름부터 덕적고 해체설이 계속 나옴에 따라 라이벌리 형성은 어려울 수도 있다.4. 역대 감독
- 선우종 (1982. 3 ~ 1984)(창단 감독)
- 박정석 (1985 ~ 1986)
- 김인복 (1987 ~ 1989)
- 이건일 (1990)
- 오택인 (1991 ~ 1998.7)
- 황동훈 (1998. 7~ 2004. 2)
- 이홍범 (2004 ~ 2006)
- 가내영 (2007 ~ 2012)
- 이용주 (2013 ~ 2021)[6]
- 강필선 (2022 ~ 현임)
5. 출신 선수[7]
이름 | 포지션 | 프로 입단 | 경력 |
가내영 | 투수 | 1990년 연고 우선지명 | 태평양/현대(1990~1998)-쌍방울(1998~1999)-SK(2000~2001)-해태/KIA(2001~2003) |
강광회 | 외야수 | 1990년 2차 2라운드 | 건국대-태평양(1990)-쌍방울(1993~1994) |
김강석 | 외야수 | 2009년 2차 6라운드 | 경성대-한화(2009~2014)-SK(2014~2015) |
이지영 | 포수 | 2008년 신고선수 입단 | 경성대-삼성(2008~2018)-키움(2019~2023)-SSG(2024~) |
박시영 | 투수 | 2008년 2차 4라운드 | 롯데(2008~2020)-KT(2021~2024)-롯데(2025~) |
안정광 | 내야수 | 2008년 2차 7라운드 | SK(2010~2015)-KT(2016~2017) |
남태혁 | 내야수 | 2009년 아마추어 자유계약(LAD) 2016년 2차 1라운드 | LAD(2009~2013)-KT(2016~2018)-SK/SSG(2019~2021) |
이현호 | 투수 | 2011년 2라운드 | 두산(2011~2019)-한화(2020) |
장승현 | 포수 | 2013년 4라운드 | 두산(2013~) |
김희석 | 포수 | 2014년 2차 8라운드 | 성균관대-삼성(2014~2017) |
최원준 | 내야수 | 2014년 2차 9라운드 | 성균관대-KIA(2014~2016) |
홍유상 | 투수 | 2014년 2차 9라운드 | 성균관대-삼성(2014~2015)-한화(2018~2019) |
유재혁 | 외야수 | 2011년 6라운드 | KIA(2011~2015) |
이창재 | 투수 | 2015년 2차 1라운드 | 단국대-KT(2015~2022) |
이현석 | 포수 | 2015년 1차 지명 | 동국대-SK/SSG(2015~2023) |
이효준 | 투수 | 2013년 신고선수 입단 | NC(2013)-저니맨 외인구단(2017)-NC(2018~2019) |
류형우 | 내야수 | 2014년 2차 4라운드 | LG(2014~2020) |
유상화 | 투수 | 2015년 2차 5라운드 | SK(2015~2019) |
임도혁 | 투수 | 2016년 2차 4라운드 | kt(2016~2022) |
민경남 | 내야수 | 2017년 육성선수 입단 | KIA 타이거즈(2017~2020) |
변상권 | 외야수 | 2018년 육성선수 입단 | 재능대-넥센/키움(2018~) |
권기영 | 포수 | 2017년 2차 3라운드 | SK(2017~2020)-두산(2020) |
권법수 | 외야수 | 2017년 2차 6라운드 | NC(2017~2021) |
김민수 | 내야수 | 2017년 2차 2라운드 | 롯데(2017~2023)-LG(2024~) |
박치국 | 투수 | 2017년 2차 1라운드 | 두산(2017~) |
지윤 | 투수 | 2017년 2차 3라운드 | 두산(2017~2021) |
김수환 | 내야수 | 2018년 2차 5라운드 | 넥센/키움(2018~2024) |
김동혁 | 외야수 | 2022년 2차 7라운드 | 강릉영동대-롯데(2022~) |
김신회 | 외야수 | 2019년 2차 8라운드 | 넥센/키움(2019~2023) |
이병헌 | 포수 | 2019년 2차 4라운드 | 삼성(2019~) |
천보웅 | 투수 | 2023년 10라운드 | 인천 웨이브스(2020)-한려대-구미대-한화(2023)-연천 미라클(2024)-고양 원더스(2024~) |
김교람 | 내야수 | 2020년 2차 8라운드 | SK/SSG(2020~2022) |
김건우 | 외야수 | 2020년 2차 7라운드 | 롯데(2020~2022) |
김건우 | 투수 | 2021년 1차 지명 | SSG(2021~) |
김정주 | 투수 | 2021년 2차 9라운드 | 롯데(2021) |
양경식 | 내야수 | 2021년 2차 7라운드 | 키움(2021~) |
강승구 | 포수 | 2024년 육성선수 입단 | 강릉영동대-롯데(2024~) |
김동현 | 외야수 | 2025년 6라운드 | 부산과학기술대-롯데(2025~) |
박준기 | 포수 | 2025년 육성선수 입단 | 강릉영동대-롯데(2025~) |
김민석 | 포수 | 2024년 10라운드 | KT(2024~) |
오혜성 | 투수 | 2025년 10라운드 | 키움(2025~ ) |
6. 여담
- 2021년 비리가 보도됐다. [단독]제물포고 야구부 감독 ‘횡령’혐의 고발
- 2022년 초 강필선 신임 감독과 기존 코치진과의 불화가 발생해 코치들이 감독을 중부지방고용노동청과 스포츠 윤리센터에 신고하는 일이 벌어졌다. '횡령→신임감독 불화' 인천 J고 야구부 현 주소, 피해는 누구 몫인가 결국 기존 코치진들은 모두 팀을 떠났고 최창호, 백재호, 김필중 등 프로 코치 출신들이 새로 들어왔다. 2023년 최창호 투수코치가 떠나고 빈 자리를 류택현이 채웠다. 팀 재정비 후 2023년 청룡기에서 16강전에 진출하여 충암고와 대결하여 3-5으로 아쉽게 패했다. 대통령배 1회전에서는 경기고에 2-5로 패했으며 봉황대기 1회전에서는 난타전끝에 광주진흥고에게 14-12로 승리하고 2회전(64강전)에 진출했다. 2회전 백송고, 32강전 나주광남고, 16강전 배재고를 차례대로 꺾고 8강전에 진출했으나 세광고에 3시간 33분의 혈투 끝에 1점 차로 아쉽게 패했다.
[1] 제물포고가 배출한 최초의 프로야구 선수로 고려대학교를 졸업한 후 1989년 신인 지명 당시 고향팀 태평양 돌핀스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그러나 프로 선수 생활은 길지 못했는데 1989년부터 3시즌동안 41경기에 출장해 10승 12패의 성적을 냈고 그나마 1990년 한 해에만 7승 2패의 성적을 기록했다. 1991년 시즌을 끝으로 1군 등판 기록이 없으나 1992년 팬북에 선수로 등록된 점을 고려하면 이후에도 2군 선수로서 생활을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1994년 시즌을 끝으로 태평양에서 은퇴한 후 현대 유니콘스에서 스카우터 생활을 시작해 현재는 SSG 랜더스에서 스카우터로 활약하고 있다.[2] 위의 영상에도 나오지만 제물포고 야수진의 허술한 수비가 결정적 패인이었다. 한 경기에 무려 7개의 실책을 남발한 탓에 자멸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군산상고에 5점 밖에 주지 않았던 것은 그만큼 허정욱이 잘 던졌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실제로 허정욱은 결승전에서 5실점했지만 이 실점이 모두 실책으로 발생했기에 비자책점으로 기록됐다.[3] 학교 문서에도 나오지만 이 학교 출신 인물들의 면면이 상당히 화려하다. 고교 평준화 실시 이전인 1960~1970년대 당시 서울대학교에 수십명을 보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정치권부터 학계, 법조계, 경제계, 언론계 등 곳곳에 여러 인물들을 배출했다.[4] 당시 서진용과 김우경도 마운드를 지켰다. 서진용은 SK의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았지만 김우경은 고3 때 지명 받지 못하고 롯데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5]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인천고등학교와 인천체육고등학교가 야구부를 창단했지만 당시 인천을 대표하던 동산고와 인천고에 절대적으로 밀렸고 결국 동인천고와 인천체고의 야구부는 얼마 못 가 해체됐다.[6] 2011~2012년에는 제물포고 코치 역임[7] 나무위키 등록 선수 한정. 졸업 연도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