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8:23:52

영양군(1521)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중종 ~ 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정원대원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효명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파일:전주 이씨 종문.svg 전주 이씨 영양군파의 종주
영양군가 역사 시작 1대 영양군 이거 2대 흥녕군 이수전
조선 중종의 왕자
영양군
永陽君
봉호 영양군(永陽君)[1]
시호 성도(成悼)
본관 전주 이씨
이름 거(岠)
탁보(卓甫)
부왕 중종
생모 창빈 안씨(昌嬪 安氏)
부인 경양군부인 안방향
(景陽郡夫人 安芳香)[2]
자녀 양자 - 흥녕군 (興寧君) 이수전(李秀筌)
묘소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사시리
생몰
기간
음력 1521년 4월 24일 ~ 1561년 7월 27일
양력 1521년 6월 8일 ~ 1561년 9월 16일
1. 개요2. 생애3. 여담4. 조상5. 가족 관계

[clearfix]

1. 개요

조선 중종의 서4남으로 어머니 창빈 안씨에겐 장남이다. 전주 이씨 영양군파의 파시조이다.

친남매로는 여동생 정신옹주와 남동생 덕흥대원군이 있다. 즉 선조의 큰아버지이다.

2. 생애

자세한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중종실록》에는 이복 누나 의혜공주와 함께 집을 화려하게 꾸몄으며 이에 비판받은 적이 있다는 기록이 나와있다.##

평소 성품은 온화하고 겸손했다한다.

1561년(명종 16년) 9월 6일[3] 향년 4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4] 는 어머니 창빈 안씨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과천현 북면 동작리, 지금의 국립서울현충원 자리에 있었다. 이후 1581년(선조 14년) 2월 26일에 후손들이 경기도 장단군 장도면 사시리로 이장했다.

3. 여담

4.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영양군
(永陽君)
<colbgcolor=#fff3e4,#331c00> 중종
(中宗)
<colbgcolor=#ffffe4,#323300> 성종
(成宗)
덕종
(德宗)
소혜왕후
(昭惠王后)
정현왕후
(貞顯王后)
영원부원군 윤호
(鈴原府院君 尹壕)
연안부부인 전씨
(延安府夫人 田氏)
창빈 안씨
(昌嬪 安氏)
안탄대
(安坦大)


정경부인 황씨
(貞敬夫人 黃氏)


5. 가족 관계


[1] 봉호는 경상북도 영천시의 별호인 영양(永陽)에서 유래했다.[2] 양녕대군의 외5대손・임영대군의 외고손녀[3] 음력 1561년 7월 27일.[4] 세는나이 41세.[5] 양녕대군의 외5대손・임영대군의 외고손녀[6] 무산군의 6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