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26:26

오곡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의 신음 소리에 해당하는 조어}}}에 대한 내용은 [[오고곡]]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고곡#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고곡#|]]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의 신음 소리에 해당하는 조어: }}}[[오고곡]]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고곡#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고곡#|]]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각국에서의 오곡
2.1. 대한민국2.2. 중국2.3. 일본2.4. 인도

1. 개요

오곡()은 예로부터 사람들의 삶에 제일 중요하다고 여겨진 다섯 경작물을 말한다.

왜 사곡도 칠곡도 아닌 오곡으로 꼽히냐면 도가 사상의 오행의 영향 때문이다. 만물을 구성하는 오행을 상징하니 오곡이라는 말은 정말로 다섯 작물을 뜻하는게 아니라 작물 전반을 말하는 표현으로 해석하는게 일반적이다.

물론 정말로 다섯 종류를 꼽는 서적도 있는데, 통계적으로 엄밀하게 계산해서 꼽은게 아니고 오행사상에 따라 적당히 다섯을 꼽은 것이다보니 저서와 시대와 나라마다 매번 리스트가 바뀐다. 이런 리스트들을 보면 오곡이 정말로 곡식 다섯을 말하는게 아니라는 증거처럼, 어딜봐도 곡식은 아닌 삼베가 자주 오곡에 끼어 들어간다.

시대와 저서와 나라에 따라 자주 바뀌긴 하는데, 기장, 수수, , , , 메기장, 보리, , , , 등이 자주 꼽히는 곡물이다.

오곡을 이용하여 만든 잡곡밥오곡밥이라고 한다. 씨리얼이나 과자에도 오곡이 첨가된 제품들이 나온다. 물론 제조사의 주장대로 오곡 성분이 들어갔다고 해도 횡성 한우를 사용했다는 모 라면 스프의 쇠고기 함유량은 1.08%에 불과한 것 처럼 실제로는 풍미 첨가 정도에만 그친 제품도 있을 것이다.

2. 각국에서의 오곡

2.1. 대한민국

, 보리, , , 기장.

시대에 따라 변천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조 대신 '직稷'이라는 곡식이 들어가 있다. 이 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수수라는 설도 있고 라는 설도 있다. 그냥 조가 맞다는 설도 있다.

단 대보름에 먹는 오곡밥은 보통 이 조합으로는 짓지 않는다. 어느 레시피를 찾아봐도 팥과 찹쌀은 반드시 들어간다.

2.2. 중국

현대에는 수수, , , 보리, 이다.

지역과 시대마다 달랐다.

2.3. 일본

, 보리, , , (대두). 팥 대신 기장이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상술한 현대 한국의 오곡과 똑같다.

한편 오곡을 오행과 대응시키기도 하는데, 이 경우 , 보리, , , 이다.

2.4. 인도

, , , 보리, .
[1] 또는 피.[2] 또는 밀.[3] 또는 팥.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