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카자흐인 | 키르기스인 | 우즈베크인 | 카라칼파크인 | 투르크멘인 | |
타지크인 | 아이마크인 | 파슈툰인 | 파미르인 | 칼라쉬인 | ||
하자라인 | 모골인 | 슈그니족 | 사리콜인 | 와키인 | ||
발루치인 | 브라후이족 | 위구르인 | 부하라 유대인 | 누리스탄인 | ||
야그노비인 | 구자르인 | 러시아인 | 타타르 | 우크라이나인 | ||
고려인 | 파샤이인 | 독일인 | 아프가니스탄인 | 쿠르드족 |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제르바이잔계 중앙아시아인 | 바시키르인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남아시아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인도인 | 파키스탄인 | 방글라데시인 | 스리랑카인 | 네팔인 | |
티베트인 | 파슈툰인 | 펀자브인 | 타밀인 | 벵골인 | ||
로힝야 | 카슈미르인 | 브라후이족 | 발루치인 | 신드인 | ||
펀자브인 | 누리스탄인 | 자트인 | 싱할라인 | 파샤이인 | ||
구자르인 | 구자라트인 | 라지푸트 | 마라티인 | 몰디브인 | ||
사라이키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인도 흑인 | 고안 가톨릭 | ||
콘칸인 | 파르시 | 셰르파 | 문파족 | 문다인 | ||
베다족 | 납파족 | 칼라쉬인 | 하자라인 | 아프가니스탄인 | ||
부탄인 |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 인도 유대인 | 파미르인 | 와키인 | ||
텔루구인 | 툴루족 | 부루쇼인 | 러시아계 아프가니스탄인 | 아프간 키질바시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 Wakhi people
1. 개요
와키인은 동부 이란어파 파슈툰어에 가까운 와키어를 쓰는 소수 민족으로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 주 와칸 협곡을 중심으로 파키스탄 훈자,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지키스탄의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등에 거주하며 오늘날 총 인구는 약 58,000여 명으로 추정된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이들을 파미르인으로 분류하며, 파미르인의 한 갈래로 간주한다. 중국에서는 그냥 사리콜인과 엮어서 타지크족이라 부른다. 파미르족은 수많은 언어를 지닌 그룹으로 세분 가능한데, 이 중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거주하는 파미르인은 사리콜리인과 와키인 이렇게 두 민족이다. 타지키스탄에서는 이들을 방언을 쓰는 타지크인의 일파라고 주장 중이다. 파키스탄에서는 이들을 와키인이라고 별개의 소수 민족으로 분류한다.
왁쉬는 그들이 살던 지역 vaksh에사 유래했다.
2. 기원
워낙 험준한 지역에 고립되어 살다보니 이들에 대한 별다른 역사 기록도 없다.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계열 민족들의 공통 조상인 아리아인이 남아시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직계 조상이 와칸 협곡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되며[1], 역사 기록 상에는 쿠샨 왕조의 크줄라 카드피세스가 이들을 정복했다 같은 아주 단편적인 기록만 남아있다.
고대에 이 지역에 정착한 인도유럽어족계 민족이 거의 섞이지 않은 상태 거의 그대로 다른 인종들과 별로 혼혈되지 않았는데, 땅이 워낙 춥고 험준하고 척박하여 튀르크인들은 이 지역에 정착하려 들지 않았고, 몽골인의 침략과 학살 역시 용케 피한 듯 하다.
이곳은 대단히 춥고 사람과 가축이 함께 땅굴 속에 산다. 큰 설산이 멀리서 보면 은봉처럼 보인다. 사람들은 빵과 보릿가루만 먹고 보리술을 마시며 모직 외투를 입는다. 이곳에는 두 길이 있는데 한 길은 에프탈로 향하고, 다른 한 길은 에프탈의 지배를 받는 우디아나[2]에 이른다.
- 위서 서역전[3]
- 위서 서역전[3]
사방은 세로가 1천6백리이고 가로는 겨우 4~5리에 불과하다. 왕이 거주하는 성은 아무다리아 강의 지류와 접하고, 기후는 춥고 지면은 굴곡이 심하고 모래와 돌로 뒤덮여 있다. 콩, 맥류, 좋은 말이 나온다. 이곳 사람들은 눈이 푸른 색이다. 한동안 이곳은 토번에 속해 있었다.
- 신당서 서역전[4]
- 신당서 서역전[4]
이곳 왕은 병마가 미약하여 스스로 나라를 지킬 수 없기 때문에 대식국(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의 통치를 받고 해마다 비단 3천필을 바친다.
산골짜기에 살고 있어 주거가 협소하고 백성들은 가난한 사람이 많다. 의복은 가죽옷과 모직 상의를 입으며 왕은 비단과 면직물을 입는다.
음식은 오직 빵과 보릿가루를 먹는다. 이 지방은 다른 나라보다 훨씬 더 춥다. 언어도 다른 여러 나라와 같지 않다. 양과 소를 키우지만, 크기가 아주 작다. 말과 노새도 있다.
왕과 수령과 백성들이 함께 소승(불교)을 믿으며 다른 종교는 믿지 않는다.
- 혜초 왕오천축국전[5]
산골짜기에 살고 있어 주거가 협소하고 백성들은 가난한 사람이 많다. 의복은 가죽옷과 모직 상의를 입으며 왕은 비단과 면직물을 입는다.
음식은 오직 빵과 보릿가루를 먹는다. 이 지방은 다른 나라보다 훨씬 더 춥다. 언어도 다른 여러 나라와 같지 않다. 양과 소를 키우지만, 크기가 아주 작다. 말과 노새도 있다.
왕과 수령과 백성들이 함께 소승(불교)을 믿으며 다른 종교는 믿지 않는다.
- 혜초 왕오천축국전[5]
이들은 원래 판지 강안의 이슈카슈민(Ishkashmin) 상류로부터 와칸 강(Wakhan Darya) 유역에 거주했으며, 이후 파키스탄의 훈자에서 관개가 이루어지자 훈자로도 많은 수가 이주했다. 오늘날 파키스탄 북서부에 해당하는 치트랄로도 많은 수가 이주했으며 19세기 이후에는 사리콜인이 거주하는 타슈쿠르간으로도 일부 와키인들이 이주했다고 한다.
3. 문화
주로 이슬람 소수종파 이스마일파를 믿고 있으며,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싫어했던 불교를 믿는 소수 민족이 명목상 이스마일파로 개종했을 거라 추정 중이다. 이웃 타슈쿠르간의 사리콜인들은 대조적으로 조로아스터교 풍습이 유달리 많이 남아있다. 고산 지대에서 야크, 양, 염소를 키우는 유목 생활을 하며 밀, 감자, 콩도 재배한다. 과거에는 타림 분지와 발흐를 잇는 무역에도 참여하였다.
타지크족이나 파슈툰족과 다르게 문학이나 문자 기록 역사가 오래 되지 않았다. 와키 전통 구전 설화들은 대부분 타지크어와 와키어 두 가지 언어로 동시에 두 가지 버전씩 존재한다.
워낙 외진 곳에 산 덕택에 다행히 탈레반의 폭정에 거의 시달리지 않았던 듯 한다. 와키인 일부는 탈레반이 아프간을 장악했던 사실이나 미군이 탈레반을 폭격하고 전복시킨 사실조차도 몰랐다고 한다.#
4. 같이 보기
와키인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는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