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00:41:50

셰르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임단에 대한 내용은 SHERP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티베트계 민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한족 (한족) 강서인 | 강소인 | 객가 | 광동인 (마카오인 | 홍콩인) | 산동인 | 사천인 | 산서인 | 오월인 | 하북인 | 호남인 | 후이족 (둥간족)
민인 민남인 (복건인 | 조주인 | 해남인 | 뇌주인) | 민동인 | 민북인 | 보선인 | 소장인
백족
티베트버마 서 티베트버마 티베트인 (캄파 | 암도와 | 부탄인 | 셰르파 | 발티인 | 라다크인 | 시킴인 | 까체족) | 네와르인 | 키라티인 | 마가르족 | 문파족 | 샤르촙인 | 타망족 | 샹슝족
중앙 티베트버마 나가 | 친족 | 쿠키인 | 퓨족 † | 미조인 | 트리푸리족 | 메이테이족 | 경파족 | 음루족 | 가로족 | 보로족 | 착족
동 티베트버마 버마족 | 카렌족 (카렌니) | 라카인족 | 강족 | 보미족 | 하니족 | 아카족 | 탕구트 † | 라후족 | 이족 | 율속족 | 나시족 | 모쒀족 | 아창족 | 노족 | 기낙족 | 독룡족 | 토가족 | 목아인 | 얼수족 | 리주족
기타 티베트버마 레프차족 | 타니족 (니시족 | 아디족 | 납파족) | 롭족 | 백마인 | 저족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Seal_of_Nagaland.svg.png 나갈랜드 | 파일:라다크.png 라다크 | 파일:마니푸르.png 마니푸르 | 파일:미조람.png 미조람 | 파일:시킴.png 시킴 | 파일:아루나찰프라데시.png 아루나찰프라데시 | 파일:트리푸라.png 트리푸라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특별행정구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특별행정구 | 파일:중국 국기.svg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티베트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칭하이성 | 파일:중국 국기.svg 쓰촨성 서부 | 파일:길기트 발티스탄 주기.png 발티스탄 | 파일:라카인주 주기.svg 라카인주 | 파일:카친주 주기.svg 카친주 | 파일:친주 주기.svg 친주 | 파일:카야주 주기.svg 카야주 | 파일:카인주 주기.svg 카인주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치타공 주
<colcolor=#000> 사회문화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신화 중국 신화 | 티베트 신화
외교, 사상 중화사상 | 중화민족론 |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독립운동 }}}}}}}}}

남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스리랑카인 네팔인
티베트인 파슈툰인 펀자브인 타밀인 벵골인
로힝야 카슈미르인 브라후이족 발루치인 신드인
펀자브인 누리스탄인 자트인 싱할라인 파샤이인
구자르인 구자라트인 라지푸트 마라티인 몰디브인
사라이키인 아삼인 오디아인 인도 흑인 고안 가톨릭
콘칸인 파르시 셰르파 문파족 문다인
베다족 납파족 칼라쉬인 하자라인 아프가니스탄인
부탄인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인도 유대인 파미르인 와키인
텔루구인 툴루족 부루쇼인 러시아계 아프가니스탄인 아프간 키질바시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설명

[clearfix]

1. 개요

Sherpa

네팔에서 히말라야산맥을 등산하는 사람들을 가이드하는 현지인 또는 네팔의 특정 민족을 부르는 이름으로 성씨로도 사용된다. 티베트어로 "동쪽의 사람"이라는 뜻의 단어 "샤르 빠(ཤར་པ, Shar Pa)"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역사적으로 다수 네팔인과 달리 티베트 계통 민족이라 외형이 동아시아인에 가깝고, 언어도 티베트어의 방언인 셰르파어가 있고, 종교는 주로 티베트 불교다. 16세기 때 티베트 동부 캄 지방[1]에서 네팔로 이주했다. 일부다처제를 허용한다. 인구는 약 60만명 정도, 관광업에 많이 종사하는 지라, 네팔에서는 소득수준이 높은 민족이다. 중국에도 소수 거주하는데, 중국 당국에서는 이들을 문화와 언어가 유사한 티베트족으로 분류한다.

2. 설명

이 사람들이 없었으면 에베레스트 등정은 한참 늦춰졌을 것이다. 셰르파들의 고향 쿰부 지방 출신의 텐징 노르가이뉴질랜드에드먼드 힐러리 경이 처음으로 에베레스트에 오른 사람들인데, 힐러리조차도 "노르가이가 없더라면 난 오르지 못했을 것"이라고 인정했다. 실제로 에베레스트 정상 등정 중에 힐러리가 크레바스에 빠진 적이 있는데, 같이 자일로 연결되어 있던 노르가이가 끌어내어 살려준 사례도 있다.

티베트 고산족은 고산병과 고지대에 상대적으로 잘 적응한다.[2] 티베트 고산족의 일부인 셰르파족도 고지대에 잘 적응하는 편이다. 단, 어디까지나 저지대 출신의 다른 사람들보다 셰르파가 고소환경 적응이 '원활한 '인 거지, 이들 또한 인간인지라 해발 5000m 이상에서는 고산병에 걸리거나, 심하면 경험 많은 베테랑 셰르파도 기압이 떨어져 폐에 수액이 차는 폐수종으로 사망하는 등, 절대적으로 안전한 것은 아니다.[3]

보수를 받고 길 안내와 짐 나르기, 텐트 설치, 로프 설치 등을 맡아준다. 네팔의 다른 직종에 비해 일반적으로 큰 돈을 받는 것은 사실이나, 받는 급여는 대상 산, 등반 기간, 대행사 등에 따라 차이가 크다. 가장 큰 돈을 받을 수 있는 봄 시즌 에베레스트 등반의 경우, 등반 전후 1~2개월 준비 기간 및 실제 산에서 보내는 2개월 정도 기간을 합쳐 1천~7천 달러를 받는다. 등반가들은 큰 돈을 지급하지만, 에이전시 수수료와 세금 등을 떼이고 나면, 셰르파가 실제로 손에 쥐는 등반 가이드 수입만으로는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한다.

2021년 1월에는 네팔인들 10명으로 구성된 산악팀이 K2 등반에 성공하기도 했다. 링크. 이중 9명이 셰르파족이었다. 겨울철 히말라야 등반은 다른 계절들보다도 위험도가 높은데,[4] 그것을 성공한 것이다. 기사 고인물들의 기만

그러나 예측할 수 없는 눈사태크레바스의 위험은 셰르파라고 해도 예외가 아니며, 20세기 에베레스트 사망자의 1/3 이상은 셰르파였다는 통계가 직업적 위험성을 말해준다. 일단, 아무리 노련한 셰르파라고 해도 예고 없이 언제든지 목숨을 잃을 수 있다. 에베레스트에서는 매 시즌이 열리기 앞서 '아이스폴 닥터'라고 불리는 최고의 셰르파들이 가이드 등반을 위한 가장 안전한 루트를 확보하고 로프와 사다리를 설치해 두는데[5], 2014년에는 눈사태가 아이스폴 닥터들을 덮쳐 16명이 목숨을 잃었다. 또, 에베레스트는 데스존이 유명하지만 등반의 위험은 에베레스트 전체에 상존한다. 예를 들어 2023년에는 베이스캠프 바로 위에 위치한 쿰부 아이스폴에서 3명의 셰르파가 추락사했다.

이러한 직업적 위험성 때문에 2020년대 인터뷰에 따르면 일부 중년의 베테랑 셰르파들은 향후 10년, 20년 뒤에는 셰르파가 사라지거나 가이드 비용이 몹시 비싸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자신들은 어릴 적 교육을 받지 못해[6] 다른 직업을 얻을 기회조차 없어 등반 가이드가 된 것일 뿐, 자식들에게는 이를 물려주고 싶지 않아 학교에 보냈으며, 일자리도 네팔 경제발전으로 따라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동시에 네팔은 여전히 극빈 지역이 많고 거기서는 등반 가이드를 장래 희망으로 말하는 어린 세대도 있어, 미래의 셰르파가 어떨지는 불명이다.


[1] 현재의 쓰촨성 서부 지방으로,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와 그 주변 티베트인 거주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이다.[2] 이들의 고산지 적응 능력을 띄게 만드는 EPAS1 유전자데니소바인에게서 유래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안데스 지역 원주민들도 마찬가지로 고산지 적응 형질을 데니소바인의 유전자에게 얻고, 고산 환경에 적응한 결과가 어우러졌을 가능성이 있다.[3] 보통 사람은 2500~3000m만 올라가도 고산병에 걸리기 십상이지만, 셰르파들에겐 이 정도는 자기들이 나고 자라 살고 있는 높이이므로 적응이 다 되어 고산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높이가 5000m쯤 되면 일시적으로 등반하는 경우는 있어도 그 높이에서 상주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셰르파들한테도 고산병이 오는 것이다.[4] 거기다 K2는 산악인들 사이에서 등반이 가장 어렵기로 악명 높은 산이다.[5] 모든 등반가는 루트 사용료로 600달러를 낸다.[6] 네팔은 학교가 아예 없는 지역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