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800020> | }}} |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 [[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직행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일반 ]] [[틀:울산광역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지선 ]] [[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마실 ]] [[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투어 ]] | |||||||
5001 | 5002 | 5003 | 5004 | 5005 |
|
1. 개요
울산시 리무진급행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 거리는 87.8km. 울산 시내버스 장거리 노선 5위. [1] 울산역행 실시간 위치, 남창행 실시간 위치2. 노선 정보
| |||||
| |||||
기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신화리(울산역) | 종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남창고등학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4:00 |
막차 | 00:05[2] | 막차 | 22:10 | ||
배차 | 20~80분(1일 27회) | ||||
운영 업체 | 울산여객 | 인가대수 | 7대 | ||
노선 | 울산역 - (→ 굴화마을 → 굴화주공아파트 →/← 농협하나로마트 ←) - 신복교차로(신복환승센터) - 울산대학교 - 문수경기장 - 법원 - 옥동초등학교 - 공업탑 - 루첸아파트 - 롯데캐슬삼거리(수암동행정복지센터) - 덕하시장 - S-OIL정문 - 온산읍행정복지센터 - 남창고등학교 |
3. 역사
- 2014년 3월 27일에 울산대공원동문 대신 수암동주민센터(롯데캐슬삼거리)를 경유하도록 바뀌었다. 그리고 공업탑 정류장은(울산역 방면 40404, 남창고 방면 40401) 양방향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그리고 6대에서 7대로 증차되었다.
- 울산고속도로 진출입로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2017년 7월 19일에 '신복로터리 - 굴화주공아파트 - 울산상업고 - 울산역' 구간이 '신복로타리 - 농협하나로마트(굴화주공) - 울산역'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울주군 온양읍(운화리)과 온산읍(덕신리, 방도리), 청량읍(상남리), 남구(야음동, 신정동, 옥동, 무거동) 그리고 울주군 범서읍(굴화리)을 이어 주는 노선이다. 리무진 급행 노선들 중 유일하게 공업탑과 울산대학교를 경유하는 등 수요가 있을 만한 곳은 다 경유해 주고 있어 노선 자체는 나쁘지 않다. 하지만 울산역으로 가는 급행 노선 중 타 노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노선이다.[3] 탈 때는 자리가 꽉 차는 데 반해 사람이 없을 때는 빈차로 다닐 정도로 수요가 없을 때도 많다.
- 신복로터리에서 남창 방면은 무거동 방면(30703), 울산역 방면은 고속도로 입구에 있는 정류장(30701)에 정차한다.
- 신설 당시에는 1703번, 1713번, 1723번처럼 울산고속도로를 경유해 울산역으로 운행했으나 한 차례 개편으로 고속도로를 타기는 하지만 곧장 굴화방면 출구로 나와 하나로마트 경유 후 울밀로를 경유한다.[4]
- 마찬가지로 신설 당시에는 언양 방면으로도 경유하는 유일한 리무진 버스였지만[5] 버스로 5분도 안 걸리는 거리에 리무진을 타는 사람은 당연히 극히 적었고[6] 개편 이후 KTX울산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가 대거 추가되면서 언양을 경유하는 리무진 버스는 사라졌다가 양산시 측에 의해 2020년 1월 1일 신설된 3100번이 언양임시터미널을 경유하고 한 달 후 3000번 역시 언양임시터미널을 경유하게 되었다. 해당 노선들은 언양에서 양산 또는 웅상으로 가는 승객들이 이곳에서 이용하는 편이다.
- 설날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 연휴기간에 한하여 울산역에서 2회 추가로 운행한다. 평상시에도 늦게까지 운행하면 좋겠지만 심야시간대의 이용률 저조, 운행 비용, 기사 처우 등의 이유로 연휴 때만 연장 운행을 한다.
- 운송수지가 약 75%로 적자가 많은 편이다. 과거에는 양산 웅상쪽 주민들도 간접적인 이용객이었으나[7] 웅상 쪽에서 울산역으로 바로 가는 3100번이 신설되면서 수요가 더 많이 줄었다. 3100번의 배차 간격이 2시간이 넘어가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열차 시간에 맞춰져 있어 환승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 도로교통은 철도와는 달리 정시성이 확보되지는 않기 때문에 버스가 시간표대로 딱 맞추어서 오지는 않는다. 정류장별로 차이는 있지만 더 빠르게 올 때도 있고 늦을 때는 길게는 20분 정도까지 늦게 오기도 한다.
- 출퇴근 시간대에 울밀로에 차량 정체가 심할 경우 문수고등학교 앞에서 우회전하여 삼호초등학교 앞으로 가기도 한다.
- 리무진 노선 중 유일하게 전 차량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4.1. 운임
성인 기준으로 카드가 3,900원, 현금이 4,000원이다. 원래는 23시 30분부터 익일 5시까지 야간 할증이 적용되었지만 2023년 8월 1일 요금 인상과 동시에 폐지되었다.4.2.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남창강변로 | |
▼ | ▲ 남창고등학교앞 | |
남창로 | ||
온산읍 행정복지센터 ▼ | ▲ | |
덕신로 | ||
S-oil정문 ▼ | ▲ 온산읍 행정복지센터 | |
온산로 | ||
▼ | ▲ 덕하시장앞 | |
두왕로 | ||
▼ | ▲ | |
신선로 | ||
수암동행정복지센터 ▼ | ▲ | |
중앙로 | ||
공업탑 ▼ | ▲ 루첸아파트 | |
삼산로 | ||
옥동초등학교앞 ▼ | ▲ 공업탑 | |
문수로 | ||
울산대학교앞 ▼ | ▲ 법원앞 | |
대학로 | ||
신복로터리 ▼ | ▲ 신복로터리 | |
울산고속도로 | 북부순환도로 | |
농협하나로마트 ▼ | ▲ | |
장검길 | 울밀로 | |
▼ | ||
울밀로 | ||
▼ | ▲ 굴화마을 | |
울산역로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 ||||
415 | 515 | 715 | 735 | 울주81 |
울주06 | 1715 | 5004 | 울주82 | |
[1] 1위 1214번,2위 1144번,3위 1224번,4위 1154번 네 노선 모두 노포동역이 종점이며 따라서 노포동 미경유 버스 중에선 최장거리이다.[2] 연휴기간 유동적으로 0시 이후 2회 추가 배차[3] 그나마 5003번과 5005번보다는 많았으나 동해선 개통으로 앞의 두 노선들과 별반 차이가 없어졌다.[4] 지금은 1703, 1713, 1723번도 굴화방면 출구로 나와(하나로마트는 미경유) 24번 국도를 탄다.(1703번은 잠시 빠져나와서 범서읍행정복지센터를 정차한 후 다시 탄다.) 1733번만 고속도로를 경유한다.[5] 1703번의 예전 노선과 비슷했다. '신복로터리 - 천상 - 언양정류장 - KTX울산역'. 1703번은 현재 '신복로터리-범서읍행정복지센터-울밀로-KTX울산역-동문굿모닝힐-우성스마트시티뷰'의 경로로 운행한다.[6] 당연하다면 당연한 게 2010년에는 언양정류장에서 KTX울산역까지 택시를 타고 가도 리무진버스보다 더 싸게 갈 수 있었다. 지금이야 기본요금이 4,000원으로 올랐지만 당시에는 기본요금이 2,000원대였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으로는 요금이 올랐기에 무조건 리무진버스보다 비싸지만 기본요금인 4,000원 언저리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는다.[7] 이 노선을 이용해 신복로터리에서 714번이나 1127번으로 환승해 웅상 방면으로 진입했다.[8] 다만 515번은 배차간격이 길고 운행대수도 적은 탓에 평균 3~40분 배차에 운행대수도 많은 735번을 타는 것이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