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21:40:10

울산 버스 1703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99f>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 [[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
직행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
일반
]] [[틀:울산광역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
지선
]] [[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
마실
]] [[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114 1115 1134 1144 1154
1214 1224 1411 1421 1432
1452 1462 1703 1713 1715
1723 1733
}}}}}}}}} ||
파일:세원 2409.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태화강역에서 공업탑, 신복로터리, 울산역을 거쳐서 우성스마트시티뷰까지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58.3km

2. 노선 정보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17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울산 1703 노선도.png
[ 전체 정류장 보기 ]
파일:s1703.gif
기점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교동리(우성스마트시티뷰) 종점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태화강역)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6:45
막차 22:10 막차 23:15
배차 60~100분(1일 12회)
운수사명 세원 인가대수 2대
노선 태화강역 - 시외고속버스터미널.서울삼성정형외과의원(신세계안과의원) - 공업탑 - 신복환승센터 - 장검IC - 24번국도 - 천상 - 범서읍행정복지센터 - 24번국도 - 어음램프 - 울산역 - 동문굿모닝힐 - 우성스마트시티뷰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

4.2. 노선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1703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울산역로
동문굿모닝힐 ▼▲ 우성스마트시티뷰
울산역로
울산역 ▼ 도호길
도호길 ▲ 울산역
울산역로
울밀로
범서읍행정복지센터 ▼
송현길
▲ 범서읍행정복지센터
울밀로
신복로터리 ▼
울산고속도로
옥현주공아파트앞 ▼▲ 신복로터리
남부순환도로
옥동중학교앞 ▼▲ 성광여고앞
문수로
공업탑 ▼▲ 신정고등학교앞
삼산로
태화강역(종점) ▼▲ 농수산물도매시장앞
산업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 시내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부산광역시 1005 1008 2029
울산광역시 1733
충청남도
당진시
9200 9201 9202
전라남도
담양군
311 311-1 311-2
311-3 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 1200 1300
1500 3000 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 의령,신반-마산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태화강역-언양읍 간 직행좌석버스
·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천상리 경유 시내버스
318 523 713 743
울주09 1703


[1] 이번 개편으로 태화강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노선들이 없어지면서 더 이상 태화강역에서는 차량을 주차할 수 없게 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2] 다른 일반버스는 구영리(357번은 천상)를 거쳐 가기 때문에 327번 기준 언양 터미널에서 신삼호교까지의 소요시간이 약 40분 걸린다.[3] 초기에는 방기까지만 운행하였다.[4] 어차피 울산역이 서울주권에 있으니 굳이 리무진을 만들 필요가 없다.[5] 달동쪽에서는 리무진버스를 타기 위해 환승이 필요하다.[6] 차이점이 있다면 5004번은 호반광장과 울산대학교, 농협하나로마트(남창방향은 굴화주공아파트)를 경유하는 반면 이 노선은 성광여고, 옥현주공아파트, 범서읍행정복지센터, 천상을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