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0 20:24:08

울트라맨: 라이징

<colbgcolor=#ac1921><colcolor=#ffffff> NETFLIX 오리지널
울트라맨: 라이징 (2024)
ウルトラマンライジング
Ultraman: Rising
파일:울트라맨_라이징_비주얼.jpg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ac1921><colcolor=#ffffff> 장르 히어로
제작총괄 ○○
감독 섀넌 틴들
존 아오시마
각본 섀넌 틴들
마크 헤임즈
캐릭터 디자인 원안 ○○
캐릭터 디자인 ○○
총 작화감독 ○○
이펙트 총 작화감독 ○○
미술 설정 ○○
미술 감독 ○○
색채 설계 ○○
CGI 디렉터 ○○
촬영 감독 ○○
편집 ○○
배경 음악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프로듀서 톰 노트
리사 풀
애니메이션 제작 츠부라야 프로덕션
ILM
공개 시기 2024. 06. 14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2 != null
^^^^
러닝타임
시청 등급 미정 }}}}}}}}}

1. 개요2. 공개 정보
2.1. 포스터2.2. 예고편
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등장 괴수6. 평가
6.1. 장점6.2. 단점
7. 기타8. 둘러보기

1. 개요

울트라 시리즈의 네 번째 애니메이션 작품.[1] 울트라맨 USA 이후 두번째로 해외에서 제작된 작품이자[2] 넷플릭스의 두번째 울트라맨 작품이다.

2. 공개 정보

2.1. 포스터

2.2. 예고편

<colbgcolor=#ac1921><colcolor=#ffffff>
선행 공개
<colbgcolor=#ac1921><colcolor=#ffffff>
공식 티저 예고편
<colbgcolor=#ac1921><colcolor=#ffffff>
공식 예고편

3. 시놉시스

"The main character in the movie is Sato Ken, a star baseball player and a superhero Ultraman who protects the earth.

After returning to Japan to play the role of Ultraman, Ken is entrusted with the care of the baby monster, the child of his 'old enemy.'

While struggling as a new dad, Ken confronts his ego and estranged father, the rise of the radical monster defense force, and finds out what it really means to be an Ultraman."
"이 영화의 주인공은 야구계의 스타 선수이자 지구를 지키는 슈퍼히어로 울트라맨으로도 활동하는 사토 켄입니다.

울트라맨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일본으로 귀국한 켄은, '숙적'의 아이인 아기 괴수의 양육을 맡게 됩니다.

초보 아빠로 분투하면서 켄이 자신의 이기심과 소원해진 아버지, 과격한 괴수 방위군의 대두와 마주하며 울트라맨이라는 것의 진짜 의미를 찾아가는 이야기입니다."

4. 등장인물

<colbgcolor=#ac1921><colcolor=#ffffff> 파일:울트라맨 라이징 주인공 사토겐.jpg 파일:울트라맨 라이징 선행 공개 인물.jpg
선행 공개된 인물

5. 등장 괴수

6.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6.1. 장점

6.2. 단점


7. 기타

8. 둘러보기

파일:ultora.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쇼와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233540,#bfd1db> 쇼와 1기
파일:logo_ultraQ.png
울트라 Q
(1966)
파일:logo_ultraman.png[A]
울트라맨
(1966)
파일:logo_seven.png
울트라 세븐
(1967)
쇼와 2기
파일:logo_r-ultraman.png[A]
돌아온 울트라맨
(1971)
파일:logo_ace.png
울트라맨 에이스
(1972)
파일:logo_taro.png
울트라맨 타로
(1973)
파일:logo_leo.png
울트라맨 레오
(1974)
쇼와 3기
파일:logo_the-ultraman.png
울트라맨
(1979)
파일:logo_80-1.png
울트라맨 80
(198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헤이세이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헤이세이 1기
(TDG)
파일:logo_tiga.png[A]
울트라맨 티가
(1996)
파일:logo_dyna.png
울트라맨 다이나
(1997)
파일:logo_gaia.png
울트라맨 가이아
(1998)
헤이세이 2기
(하이 컨셉 울트라 시리즈)
파일:logo_cosmos.png[A]
울트라맨 코스모스
(2001)
ULTRA N 프로젝트 파일:logo_max.png
울트라맨 맥스
(2005)
파일:ULTRAMAN(2004)_logo.png
ULTRAMAN
(2004)
파일:logo_nexus.png
울트라맨 넥서스
(2004)
파일:logo_mebius.png[A]
울트라맨 뫼비우스
(2006)
울트라맨 제로 시리즈
파일:logo_ultra-galaxy.png
대괴수 배틀
울트라 은하전설 THE MOVIE
(2009)
파일:Ultra_Galaxy_Legend_Gaiden_Title.jpg
울트라 은하전설 외전:
울트라맨 제로 VS 다크롭스 제로
(2010)
파일:logo_belial_galactic_empire.png
울트라맨 제로 THE MOVIE:
초결전! 베리알 은하제국
(2010)
울트라맨 제로 외전: 킬러 더 비트스타
(2011)
파일:logo_saga.png
울트라맨 사가
(2012)
파일:logo_ultrazerofight.gif
울트라 제로 파이트
(2012)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뉴 제네레이션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뉴 제네레이션 히어로즈
파일:logo_ginga.png
울트라맨 긴가
(2013)
파일:logo_ginga_s.png
울트라맨 긴가 S
(2014)
파일:logo_x.png
울트라맨 X
(2015)
파일:external/m-78.jp/logo.png[A]
울트라맨 오브
(2016)
파일:geedlogo.png
울트라맨 지드
(2017)
파일:m-78.jp/rb.png
울트라맨 R/B
(2018)
파일:taigalogo.png
울트라맨 타이가
(2019)
파일:ullv2020tv034_z_maintltle_4C.png
울트라맨 Z
(2020)
파일:triggerlogo.png[A]
울트라맨 트리거:
NEW GENERATION TIGA
(2021)
파일:데커 로고.png
울트라맨 데커
(2022)
파일:블레이저 로고 2.png
울트라맨 블레이자
(2023)
파일:울트라맨 아크 로고.png
울트라맨 아크
(2024)
파일:울트라맨 오메가 로고.png
울트라맨 오메가
(202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극장판 · 외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극장판
울트라맨 스토리
(1984)
울트라맨 티가 & 울트라맨 다이나 빛의 별의 전사들
(1998)
울트라맨 티가 & 울트라맨 다이나 & 울트라맨 가이아 초시공의 대결전
(1999)
울트라맨 티가: THE FINAL ODYSSEY
(2000)
극장판 울트라맨 코스모스: THE FIRST CONTACT
(2001)
극장판 울트라맨 코스모스 2: THE BLUE PLANET
(2002)
극장판 울트라맨 코스모스 VS 울트라맨 저스티스 THE FINAL BATTLE
(2003)
울트라맨 뫼비우스 & 울트라 형제
(2006)
대결전! 초 울트라 8형제
(2008)
극장판 울트라맨 긴가 S: 결전! 울트라 10 용사!
(2015)
극장판 울트라맨 X: 왔다! 우리들의 울트라맨!
(2016)
극장판 울트라맨 오브: 인연의 힘 빌리겠습니다!
(2017)
극장판 울트라맨 지드: 잇는다! 소망!!
(2018)
극장판 울트라맨 R/B: 셀렉트! 유대의 크리스탈!
(2019)
극장판 울트라맨 타이가: 뉴 제네레이션 클라이막스
(2020)
울트라맨 트리거: 에피소드 Z
(2022)
울트라맨 데커 최종장: 떠나는 저편으로...
(2023)
울트라맨 블레이자 THE MOVIE: 대괴수 수도 격돌
(2024)
울트라맨 아크 THE MOVIE: 초차원 대결전! 빛과 어둠의 아크
(2025)
울트라 갤럭시 파이트 시리즈
파일:logo_ultra-galaxy-fight.png
울트라 갤럭시 파이트: 뉴 제네레이션 히어로즈
(Ultra Galaxy Fight: New Generation Heroes)
(2019)
파일:logo_ugac.png
울트라 갤럭시 파이트: 거대한 음모
(Ultra Galaxy Fight: The Absolute Conspiracy)
(2020)
파일:logo_ugdc.png
울트라 갤럭시 파이트: 운명의 충돌
(Ultra Galaxy Fight: The Destined Crossroad)
(2022)
울트라맨 레굴로스
(Ultraman Regulos)
(2023)
울트라 파이트 시리즈
파일:logo_ultrafight.png
울트라 파이트
(1970~1971)
파일:logo_ultrazerofight.gif
울트라 제로 파이트
(2012)
파일:logo_ultrafightvictory.png
울트라 파이트 빅토리
(2015)
파일:logo_ultrafightorb.jpg
울트라 파이트 오브
(2017)
외전
울트라맨 뫼비우스 외전 아머드 다크니스
(2009)
울트라맨 뫼비우스 외전 고스트 리버스
(2009)
울트라맨 뫼비우스 외전 히카리 사가
(2009)
울트라맨 오브 THE ORIGIN SAGA
(2016)
울트라맨 레굴로스: 퍼스트 미션
(Ultraman Regulos: First Mission)
(202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그 외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해외 시리즈 파일:10_-_Ultraman_USA.png
울트라맨 USA
(1987)
파일:그레이트 로고.png
울트라맨 그레이트
(1990)
파일:파워드 로고.png
울트라맨 파워드
(1993)
헤이세이 울트라 세븐 시리즈 헤이세이 울트라 세븐
(1994~2002)
파일:ultra seven x.png
울트라 세븐 X
(2007)
기타 작품 파일:네오스 로고.png
울트라맨 네오스
(1995)
파일:logo_ultramanzearth.webp[A]
울트라맨 제아스
(1996)
울트라맨 제아스 2 초인대전: 빚과 그림자
(1997)
파일:logo_ultramannice.webp
울트라맨 나이스
(1999)
울트라 Q 다크 판타지
(2004)
네오 울트라 Q
(2013)
대괴수 배틀 시리즈 파일:logo_daikaijyubattle.webp
울트라 갤럭시 대괴수 배틀
(2007)
파일:logo_daikaijyuneo.webp
울트라 갤럭시 대괴수 배틀 NEO
(2008)
파일:logo_ultra-galaxy.png
대괴수 배틀
울트라 은하전설 THE MOVIE
(2009)
크로스오버 울트라맨 VS 가면라이더
(1993)
리메이크 신 울트라맨
(2022)
미분류 하누만과 7인의 울트라맨
(1974)
울트라 존
(2013)
ULTRAMAN n/a
(201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재방송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울트라맨 보이의 우루코로
(2003)
울트라맨 열전
(2011)
신 울트라맨 열전
(2013)
크로니클 시리즈
울트라맨 제로 THE CHRONICLE
(2017)
울트라맨 오브 THE CHRONICLE
(2018)
울트라맨 뉴 제네레이션 크로니클
(2019)
울트라맨 크로니클 제로 & 지드
(2020)
울트라맨 크로니클 Z 히어로즈 오디세이
(2021)
울트라맨 크로니클 D
(2022)
울트라맨 뉴 제네레이션 스타즈
(2023)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미디어 믹스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만화
더 울트라맨
(1975)
울트라맨 초투사격전
(1993)
울트라맨 STORY 0
(2005)
ULTRAMAN
(2011)
THE RISE OF ULTRAMAN
(2020)
DARKNESS HEELS -Lili-
(2021)
ULTRAMAN: ANOTHER GENE
(2022)
애니메이션
파일:logo_the-ultraman.png
울트라맨
(1979)
울트라맨 키즈의 속담 이야기
(1986)
파일:10_-_Ultraman_USA.png
울트라맨 USA
(1987)
울트라맨 키즈 엄마 찾아 3000만 광년
(1991)
괴수 걸즈 ~울트라 괴수 의인화 계획~
(2016)
괴수 걸즈 (블랙) ~울트라 괴수 의인화 계획~
(2018)
ULTRAMAN
(2019)
울트라맨: 라이징
(2024)
소설
The Spirits of TSUBURAYA PRODUCTION WORLD Another Genesis
(2011)
울트라맨 시스터즈
(2012)
울트라맨 F
(2015)
울트라맨 듀얼
(2016)
무대
DARKNESS HEELS
(2018)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애니버서리 히어로즈
울트라맨: 초대작
돌아온 울트라맨: 5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티가 & 제아스: 30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코스모스: 35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뫼비우스: 40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오브: 50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트리거: 55주년 기념작
}}}}}}}}} ||
}}}}}}}}} ||

[1]울트라맨 조니어스울트라맨 USAULTRAMAN (※ 컨셉이 다른 키즈 시리즈 애니메이션은 제외한 카운트다)[2] 헛갈릴 수 있는데 울트라맨 리부트는 단독 작품이 아니라 말레이시아의 어린이 프로그램 《우핀 & 이핀(Upin & Ipin)》 속 캐릭터이기 때문에 카운트 하지 않는다.[3] 본명:사토 켄지[4] 해적전대 고카이저에서 조 깁켄 / 고카이 블루 역을 맡았다.[5]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서 세이버레지엘, 바하트 / 가면라이더 펄션을, 리바이스전한울 / 가면라이더 데몬즈를, 기츠이로운 / 가면라이더 타이쿤을 맡았고,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에서 모모이 진을, 해적전대 텐 고카이저에서 배들리 / 유상훈을 맡았다.[6] 프로 야구선수는 아니지만 사회인 야구를 하며 울트라맨으로 변신하는 주인공인 미나토 카츠미와도 유사하다.[7] 초반에 소바 먹을 땐 왼손, 이후 돈까스를 먹을 땐 오른손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평소에 야구를 할 때에는 좌타를 위주로 치지만, 자이언츠 첫 경기시 괴수와 싸웠던 것의 여파로 왼쪽 어깨 상태가 좋지 않자 우타자로 포지션을 바꾼다.[출처] #[9] 켄의 친모와 성우도 동일한데, 작중에서도 육아에 관한 부분 등은 실제 친모의 데이터를 많이 주입했다고 하며 켄의 건강을 챙기는 장면에서는 켄에게 엄마처럼 잔소리할꺼냐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10] 가면라이더 고스트에서 그레이트 아이 / 그레이트 아이저를, 파워레인저 애니멀포스에서 세라 / 샤크 레인저를 맡았다.[11] 가면라이더, 슈퍼전대를 비롯해 수많은 특촬물에 출연한 경력이 있다. 문단 참조.[12] 젊었던 시절에는 켄의 울트라맨보다 체형이 울트라맨과 거의 동일하지만, 노년의 아버지인 사토 교수가 변신하는 울트라맨 또한 최종장에 등장하는데, 본인의 젊은 시절이나 켄의 울트라맨 형태와는 달리 노년의 특징이 가미된 변신체이며 신장 또한 작게 그려졌다. 울트라의 아버지와 헷갈릴 수 있어서인지 공식적인 명칭은 "Ultradad" 울트라 아빠 정도로 명시되었다. 다만 감독과 각본가들의 인터뷰에 따르면 아버지의 모티브 자체는 모로보시 단에서 따온 부분이 많다. 은퇴한 이후 다리를 다쳤다는 것이라던가, 쓰는 안경이 울트라 아이와 굉장히 유사한 것, 타는 자동차의 번호판은 대놓고 M78-U7이다.[13] 이 때문에 가족보다 괴수들을 아낀다며 켄과 갈등이 있었다.[14] 다만 엔딩 크레딧이 나오기 전 쿠키 영상에서 켄에게 전화가 걸려오는데 실제로는 살아있었다. 발신위치는 다름 아닌 M78 성운.[15]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서 각종 나레이션, 변신 아이템 음성들을 맡았다.[16] 가면라이더 덴오에서 데네브를, 파워레인저 갤럭시포스에서 닉 스워드 / 피닉스 솔저를 맡았다.[17] 기간트론의 부활로 자신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자 대원들을 대피시키고 비행선을 디스트로이어로 변형시켜 기간트론 모녀, 울트라맨 부자와 마지막 결전을 벌인다.[18] 울트라맨 오브에서 저글러스 저글러를 맡은 배우.[19] 가면라이더 위자드에서 왕지만, 비스트 키마이라를,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에서 불의 마왕 호무라스 역을 맡았다.[20] 거인에 걸맞은 활약이라는 말을 들었을때 켄이 흠칫 놀라는 걸 보면 시청자들에게는 진짜 울트라맨의 자격을 갖췄다고 해석해도 되는 이중적 언어유희.[21] 원작 울트라맨에 등장한 후지 아키코 역의 배우.[22] 가면라이더 세이버에서 소피아를 맡았다.[23] 켄과 직접 아는 사이는 아니고, 선대 울트라맨이었던 사토 교수의 활약과 책임감을 그리워하며 요즘 울트라맨은 건물을 부수고 시민의 안전을 제대로 책임지지 않는다는 인터뷰를 했고, 울트라맨 상태의 켄에게 한 소리를 한 적도 있다.[24] 2대 울트라맨이 아닌 초대 울트라맨으로 추정되기에 KDF에게 잡히지는 않고 도시에서 쫓아내는 식으로 퇴치를 했을 듯.[25] 초반에는 오직 울트라맨 상태의 켄만을 알아보고, 인간으로 돌아오면 낯설어하는데, 어떻게든 인식시켜 주려고 켄이 울트라맨으로 변신하고 해제하고를 여러번 반복하는 개그씬이 있다.[26] 42분 가량[27] 사실은 생체 개조가 아닌 겉에다가 갑옷만 입혀놓은 것이라 나중에 정신이 돌아왔을 땐 갑옷을 벗고 초반 모습으로 돌아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28] 사토 교수가 고모라와 싸운 전투에서 처음으로 컬러 타이머가 점멸하지 않았다거나 켄이 뿔이 거대한 녀석이라는 식으로 중반에 언급한다.[29] 고모라가 제거됨이라고 적혀 있는 칸에 바로 옆이 에레킹이다.[30] 초인으로 진화하면서 생식력을 잃었으며 유전공학으로 인간과 울트라맨의 혼혈 수정란을 만드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점, 전통적으로 외계인인 울트라맨과 지구인인 주인공이 일심동체가 되어 활약한다는 점 등.[31] 게다가 주인공이 변신 도구 없이 쉽게 변신을 하거나 쿨타임 제약이 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한 영화 내내 없이 진행된다. 차후 감독의 인터뷰 내용, 설정에 대해 궁금했던 시청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글에서 사실 주인공은 울트라맨인 아버지와 지구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이라는 짤막한 이야기만 있었다.[32]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로써, 미국 정부나 경찰의 공권력 남용같은 부분에 대한 풍자적인 묘사로써 보여진다고 느끼는 해외 대중들도 존재하고 있다.[33] 물론 작중에서 괴수라는 존재가 명백한 악의 축으로만 설명되지는 않았고, 일종의 야생 맹수처럼 묘사된 부분들도 있기에, 자연을 지키겠다고 무조건적으로 이런 야생동물들을 죽여버린다면 그것대로 또 문제가 생길 것이다. 선대 울트라맨인 사토 교수가 직접 언급하듯이, 울트라맨이란 인간과 괴수 사이에서 일종의 밸런스를 지켜주는 존재라는 설명을 하기도 하는데, 기존 울트라 시리즈나 히어로물과 차이점을 둔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다.[34] 그도 그럴 게 국내에서 울트라 시리즈는 토에이에서 제작하는 가면라이더 시리즈슈퍼전대 시리즈와 달리 인기도 비교적 저조하고 인기가 낮으니 완구 판매량도 낮은게 당연지사, 이로 인해서 더빙판 제작도 안 그래도 뉴 제네레이션 히어로즈 이전 까진 띄엄띄엄 더빙이 되어있었다. 그나마 뉴제네는 긴가 1기를 제외하면 루브까지 쭈욱 더빙되고 있었는데 결국 멈춰버렸다.[35] 비슷한 입장인 울트라맨 리부트의 경우 구체적인 디자인과 소품에서부터 초대나 잭과 큰 차이가 돋보인다.[36] 파일:joneus vs tartarus.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