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유희왕 듀얼링크스/덱|유희왕 듀얼링크스/덱]]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유희왕 듀얼링크스/환경]]{{{#!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유희왕 듀얼링크스 환경 및 덱 관련 문서 | |||||||
현 환경 및 티어권 덱 | 금제 리스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min-width: 11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hite 역대 분기별 덱}}} | ||||||
DM 월드 | |||||||
2017년 1분기 | 2017년 2분기 | 2017년 3분기 | |||||
GX 월드 | |||||||
2017년 4분기 | 2018년 1분기 | 2018년 2분기 | 2018년 3분기 | ||||
5D's 월드 | |||||||
2018년 4분기 | 2019년 1분기 | 2019년 2분기 | 2019년 3분기 | ||||
DSOD 월드 | |||||||
2019년 4분기 | 2020년 1분기 | 2020년 2분기 | 2020년 3분기 | ||||
ZEXAL 월드 | |||||||
2020년 4분기 | 2021년 1분기 | 2021년 2분기 | 2021년 3분기 | ||||
ARC-V 월드 | |||||||
2021년 4분기 | 2022년 1분기 | 2022년 2분기 | 2022년 3분기 | ||||
VRAINS 월드 | |||||||
2022년 4분기 | 2023년 1분기 | 2023년 2분기 | 2023년 3분기 | ||||
SEVENS 월드 | |||||||
2023년 4분기 | 2024년 1분기 | 2024년 2분기 | 2024년 3분기 | ||||
고 러시!! 월드 | |||||||
2024년 4분기 | 2025년 1분기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
{{{#white 기타 덱}}} | |||||||
자동 듀얼 덱 파밍 덱 |
1. 개요
- 스피드 듀얼 - 시기는 SCARRED RESONANCE 발매 및 4월 금제 부터(4.7) ~
- 러시 듀얼 - 시기는 4월 금제 부터(4.7) ~
2. 환경
현재 분기의 환경에 대한 문서다.3. 스피드 듀얼 금제 및 스킬 조정
3.1. 4월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와 새 박스가 3월 26일에 출시되면서 선금제가 나왔다. 스킬 조정은 4월 7일부터 적용된다.소울버닝 링크 - 「샐러맨그레이트」 덱의 안정성을 억누르기 위해, 하향 수정합니다.
②: 「샐러맨그레이트」 카드를 포함하는 패 2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 외에서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와 「샐러맨그레이트 버닝쉘」을 1장씩 패에 넣고, 덱 외에서 「샐러맨그레이트」 링크 몬스터 2종류를 3장씩 엑스트라 덱에 추가한다. 상대 필드에만 카드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덱에서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뒷면 수비 표시로 낸다(표시 형식 변경 가능).
{{{#!folding [ 업데이트 이전 스킬 효과 ]소울버닝 링크
②: 패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 외에서 「샐러맨그레이트 오브 파이어」와 「샐러맨그레이트 버닝쉘」을 1장씩 패에 넣고, 덱 외에서 「샐러맨그레이트」 링크 몬스터 2종류를 3장씩 엑스트라 덱에 추가한다. 상대 필드에만 카드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덱에서 「샐러맨그레이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뒷면 수비 표시로 낸다(표시 형식 변경 가능). }}}
3.2. 5월
5월 7일부터 적용되는 금제와 스킬 리밸런싱을 서술한다.- 금지: 흑마도의 집행관
- 제한 1: 환상소환사, LL-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샐러맨그레이트 리큐어런스, 튜닝껌
- 제한 2: 인페르니티 건,(제재 완화),
- 제한 해제: 종말의 기사, 방황의 바람, 혼원룡 레비오니아, 융합파병, 라피도 트리거,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유니코르의 네크로즈, 시라누이의 은둔자, 다이머 신서시스, 슈팅 라이저 드래곤, 기악룡 아케티스, 침묵의 검, 환황룡의 전와, 문라이트 크림즌 폭스, 프레데터 플래닛
LL(리리컬 루스키니아)-버드 허밍 - 「LL」 덱의 안정성과 전개력을 억누르기 위해, 하향 수정합니다.
①: 자신은 「LL(리리컬 루스키니아)」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folding [ 업데이트 이전 스킬 효과 ]
①: 자신은 「LL(리리컬 루스키니아)」 몬스터 및 레벨 1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디멘션 그래스프 - 이 스킬은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강화될 것입니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제외 상태의 카드를 8장 골라 덱으로 되돌린다.
{{{#!folding [ 업데이트 이전 스킬 효과 ]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제외 상태의 카드를 무작위로 8장을 골라 덱으로 되돌린다.}}}
크로노다이버 크로스비트 - 「크로노다이버」 덱을 사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강화합니다.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엑스트라 덱에 「크로노다이버 리단」을 1장 추가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의 턴 동안, 자신은 「크로노다이버」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사이킥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패에서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기계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folding [ 업데이트 이전 스킬 효과 ]
①: 듀얼 개시시에 발동한다. 엑스트라 덱에 「크로노다이버 리단」을 1장 추가한다. 이 듀얼 중에, 자신은 「크로노다이버」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사이킥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패에서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기계족의 「크로노다이버」 몬스터 1장 또는 「크로노다이버 스타트업」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상대 필드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추가로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흑마도의 집행관은 어둠을 베는 힘 스킬을 기반으로 한 턴킬형 번덱의 파츠로 쓰였기에 바로 금지를 받았다. 통상적인 버스터 블레이더형 블랙 매지션 덱은 이 카드를 넣을 이유가 없으므로 타격을 받지 않았다.
환상소환사, 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 크리스탈 벨, 아틀란타르와 랭크 3 넘버즈를 통한 틴당글 번뎀 턴킬 덱이 활약했었다. 이를 막고자 환상소환사와 인디펜던트가 동시에 제한 1을 받았다. 따라서 스킬과 자체적인 파츠들은 아직 멀쩡하다.
LL은 부적으로 써먹는 게 아니라면 어차피 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을 넣지 않았으므로 금제에 한해서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스킬이 너프당하면서 치명적인 타격을 받았다. 기존에 터쿼이즈 와블러와 베릴 카나리의 소재용 몬스터 소생 역할을 금화고양이가 같이 담당했는데, 금화고양이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너프받으면서 안정성이 완전히 박살났다.
프레데터 플랜츠도 역시 상황이 좋지 않은 편. 1제의 수 자체는 변하지 않았지만, 강력한 에이스 몬스터였던 드라고 스타페리아가 제한 1을 받고 대신 플래닛이 풀려났다. 따라서 드로소필룸 히드라와 스타페리아 중 하나가 빠져야 하는 상황.
레드 데몬은 기존 코나미의 관행[6]과 달리 이례적으로 굉장히 빠르게 제재가 들어갔다. 2번째 퍼미션 담당이던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과 대상 보호 카드인 튜닝껌이 동시에 제한 1을 받았다. 이미 어비스가 제한 1을 받고 있는 상황인만큼 셋 중 둘이나 빠져야 하는 상황.
샐러맨그레이트는 이번에 리큐어런스가 제한 1이 되었다. 이미 가젤이 제한 1 자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리큐어런스와 리큐어런스 서치 담당이던 페넥도 같이 빠질 것으로 보인다.
크로노다이버는 기존 스킬의 선공 디메리트가 사라졌으며, 상대 턴에 한정해서 크로노다이버 외 카드들도 소환할 수 있게끔 상향받았다. 며칠 전부터 어영지사를 원시생명체 니비루를 서치하는 용도[7]로 쓰라고 이벤트로 풀었던 것을 보면 크로노다이버 덱에서 니비루를 채용할 수 있도록[8][9] 상향한 것으로 보인다.
크로노다이버는 기존 스킬의 선공 디메리트가 사라졌으며, 상대 턴에 한정해서 크로노다이버 외 카드들도 소환할 수 있게끔 상향받았다. 며칠 전부터 어영지사를 원시생명체 니비루를 서치하는 용도[7]로 쓰라고 이벤트로 풀었던 것을 보면 크로노다이버 덱에서 니비루를 채용할 수 있도록[8][9] 상향한 것으로 보인다.
인페르니티는 건이 제한 2로 풀렸다.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건의 총 장수는 3장으로 늘어났다.
그 외에도 선금제를 적용했던 카드들과 기존에 누적되어 왔던 수많은 금제 카드들이 풀려났다.
{{{#!folding [ 선금제 해제 목록 ]
{{{#!folding [ 선금제 해제 목록 ]
* DD는 제한 1을 받고 있던 노도대왕이 풀려났다.
* 네크로즈는 제한 3을 받고 있던 유니코르가 풀려났다.
* 그 외에 선금제로 제한 3을 받고 있던 종말의 기사, 방황의 바람, 융합파병, 다이머 신서시스가 풀려났다.}}}
{{{#!folding [ 기존 카드 금제 해제 목록 ]* 네크로즈는 제한 3을 받고 있던 유니코르가 풀려났다.
* 그 외에 선금제로 제한 3을 받고 있던 종말의 기사, 방황의 바람, 융합파병, 다이머 신서시스가 풀려났다.}}}
* 바렛은 제한 3을 받고 있던 라피도 트리거가 풀려났다.
* 시라누이는 제한 3을 받고 있던 은둔자가 풀려났다.
* 사일런트 스워드맨은 제한 2였던 침묵의 검이 풀려났다.
* 문라이트는 제한 2를 받고 있던 크림즌 폭스가 풀려났다.
* 환황룡은 제한 2를 받고 있던 전와가 풀려났다.
* 혼원룡 레비오니아가 제한 3에서 풀려났다.
* 기악룡 아케티스, 슈팅 라이저 드래곤,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도 제한 1에서 풀려났다.}}}
* 시라누이는 제한 3을 받고 있던 은둔자가 풀려났다.
* 사일런트 스워드맨은 제한 2였던 침묵의 검이 풀려났다.
* 문라이트는 제한 2를 받고 있던 크림즌 폭스가 풀려났다.
* 환황룡은 제한 2를 받고 있던 전와가 풀려났다.
* 혼원룡 레비오니아가 제한 3에서 풀려났다.
* 기악룡 아케티스, 슈팅 라이저 드래곤,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도 제한 1에서 풀려났다.}}}
3.2.1. 금제 후
4. 러시 듀얼 금제 및 스킬 조정
4.1. 4월
5. 스피드 듀얼 덱 목록
5.1.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 덱 Ver.2
- 주요 스킬:
천지명동의 힘
- 주요 몬스터: 레조네이터 몬스터, 본 데몬,
튜닝껌, 범용 패 트랩 몬스터 - 주요 EX 몬스터: 레드 데몬 싱크로 몬스터[10][L1], 레드 라이징 드래곤,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 파계만룡-버스터 드래곤 - 주요 마법 카드: 콜 레조네이터, 크림즌 헬가이아, 크림즌 헬 시큐어[12][L3], 금지된 일적 등 범용 마법 카드
- 주요 함정 카드: 데먼즈 골렘, 데먼즈 체인, 스카레드 레인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으면서 압도적 1티어로 치고 올라온 덱. 선금제로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가 제한 1, 크림즌 헬가이아가 제한 3을 받았다.
기존에 비해서 선공에 매우 강한 빌드를 꾸릴 수 있게 됐으며, 후공 또한 충분한 수준의 돌파력을 가지고 있다. 오프라인의 지원을 다 받지 않았음에도, 마스터 듀얼 아시아 대표였던 한 유저는 여지껏 자신이 본 레드 데몬 중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했을 정도.#
선공에 소울 레조네이터 원핸드로 스카레드 노바, 어비스, 헬가이앜 데먼즈 체인, 골렘의 3퍼미션이, 크림즌 1.5핸드로는 여기에 연옥룡까지 추가되어 4퍼미션 빌드가 뜬다. 이는 아무리 기존 후공 돌파 능력이 강했던 덱들이라도 상대하기 상당히 까다로운 수준. 빌드만 해도 강력한데 레조네이터가 묻은 튜닝껌, 소울 레조네이터는 각각 대상내성과 효과 파괴 내성을 부여해주어 트로이메어 피닉스 등 돌파 수단조차 무력화시킨다.
후공에는 데먼즈 체인을 스킬로 깔아서 상대의 견제 카드 하나를 무력화하고, 공격권과 스킬, 튜닝껌 및 본 데몬을 활용해 상대 필드를 무너뜨리는 편. 선공 빌드를 세우고 레조네이터를 상대하는 측 입장에선 스킬로 깔린 스카레드 데몬을 방해해야 하는데 코스트로 튜닝껌을 묻어 버리면 이를 처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지고 돌파를 허용하게 된다. 튜닝껌이 없더라도 본 데몬, 일적 등을 사용해 상대의 견제를 밟아갈 수 있다는 점이 까다로운 요소. 메인 몬스터들로 처리할 수 없는 LL 등 대상 내성과 효과 파괴 내성을 가진 몬스터들은 헬가이아로 뒤집고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파괴 효과로 처리한다.[14]
약점은 전개시 맞는 원시생명체 니비루와 이펙트 뵐러.[15] 이 때문에 상대에게 뵐러가 있다는 체인을 읽고 싱클론 레조네이터를 서치하여 저점을 세우는 플레이를 하거나, 아예 고성대 사우라비스를 채용하는 유저도 간혹 보인다. 니비루는 쓸 수 있는 덱에서만 쓰는 카드이기 때문에 조심하는 편이지만, 보통 레조네이터에서 니비루는 거의 케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느낌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발매 직후인 4월 KC 컵에서 압도적인 성능을 뽐내, 레조네이터의 카운터 덱으로서 서브테러 등이 유행하는 와중에도 끝까지 파워를 잃지 않고 최다 금은장[16]을 배출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 때문에 4월 금제에서 곧바로 튜닝껌과 연옥룡이 나란히 제한1이 되는 큰 너프를 당했으며, 금제 후는 연옥룡 대신 파계만룡을 세워 종족 락을 거는 플레이를 연구하고 있다.
5.2. 서브테러 덱 Ver. 2
- 주요 스킬:
액재를 쫓는 자
- 주요 몬스터: 서브테러의 요마, 도사, 서브테러마리스 리그리어드, 원시생명체 니비루, 서브테러의 전사, 서브테러마리스 바래스애시, 천옥의 왕
- 주요 EX 몬스터: 서브테러마리스의 요마, 기타 범용 링크 몬스터[하지만]
- 주요 마법 카드: 지중계 샴발라[L3], 초융합,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
- 주요 함정 카드: 서브테러의 결전, 이세상 너머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과 스킬을 받으면서 치고 올라오기 시작한 덱. 선금제로 샴발라에 제한3이 적용되었다.
처음에는 얇은 메인 기믹과 맞물려 파워가 저평가됐지만, 레조네이터의 부상 이후로 이 덱이 초융합과 원시생명체 니비루를 쓸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아 티어가 크게 올랐다. 4월 KC 컵 2~3일차는 서브테러와 레조네이터 그들만의 리그였을 정도. 심지어 연구가 거듭된 후에는 이 카드들이 없어도 레조네이터의 선 빌드를 어찌저찌 상대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 후열용 함정 카드들을 거의 다 빼고 함정은 이세상 너머 1장과 결전 3장만 채용, 빈자리에 니비루, 뵐러를 챙겨가는 구축이 상당히 유행했다.
단 니비루 없이는 상성상 샐러맨그레이트에게 불리하며, 후열 견제가 쉬운 듀얼 상대로도 불리하다. 히어로 또한 에어맨의 압박 때문에 까다로운 부분이 존재. 그래도 레조네이터 상대로 강하다는 강점 덕분에 4월 KC 컵에서 금장 2위와 4위를 배출하는 등 크게 활약했다. 4월 금제로 아무런 피해도 받지 않은 덕분에 향후가 기대되는 덱.
5.3. 공룡 덱
- 주요 스킬 :
공룡 각성
- 주요 몬스터: 궁극의 전도 티라노, 영혼을 먹는 오비랍토르, 환창의 미세라사우루스, 주옥수-아르고사우르스, 자이언트 렉스, 베이비 케라사우루스, 오버텍스 고아틀루스, 원시생명체 니비루
- 주요 EX 몬스터: 에볼카이저 라기어, 심연에 숨은 자, 링크리보, 펜테스태그, 범용 링크 몬스터들 다수.
- 주요 마법: 화석조사, 궁극진화약, 스몰 월드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고, SELECTION BOX Super Mini Vol.4에서 화석조사[19]를 받고, 새로운 스킬을 받으면서 치고 올라오기 시작한 덱.
공룡 덱 특유의 빠른 순환, 궁극의 전도 티라노라는 초강력 에이스, 깜짝 킬각을 보는 자이언트 렉스, 미세라사우루스의 내성, 퍼미션 담당의 에볼카이저 라기어와 묘지 자원을 막는 심연에 숨은 자까지 상당히 강력한 덱. 단점이라면 스킬의 2번 효과를 위해서는 공룡족이 아닌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야 하다 보니, 주옥수-링크리보 콤보 외에는 아드에서 손해를 봐야 할 수도 있다. 또한, OCG보다는 덜하지만 패 말림이 은근 있는 편이고, 후열 견제 능력은 트로이메어 피닉스에게 맡겨야 한다는 것.
밑에 적혀 있듯이 공룡의 각성 외에도 플뢰르 스킬을 채용해서 싱크로 몬스터들도 넣는 케이스도 있다.
5.3.1. 플뢰르 공룡 덱
5.4. 싱크론 덱 Ver.4
- 주요 스킬:
스타더스트 액설러레이션
- 주요 몬스터: 싱크론 몬스터[20], 정크 컨버터
- 주요 EX 몬스터: 스타더스트 드래곤,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슈팅 퀘이사 드래곤,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 그 외 조건[21]에 맞는 싱크로 몬스터
- 주요 마법: 라이딩 듀얼! 액셀러레이션!, 싱크로 오버테이크, 조율
- 주요 함정: 범용 함정
SCARRED RESONANCE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고, SELECTION BOX Super Mini Vol.4에서 라이딩 듀얼! 액셀러레이션과 새로운 스킬을 받은 덱.
기존의 유성의 3가지 스킬들[22]과 달리, 메인 덱에는 어떠한 제약도 없는 게 특징. 엑스트라 덱도 미래를 밝히는 유대 다음으로 넓은 편에 속한다. 덕분에 스피드로이드나 아스카톨을 섞는 덱들도 있다. 천룡설옥 같은 카드[23]도 투입 가능.
5.5. 틴당글 덱
- 주요 스킬:
아큐트 매스 블레이즈
- 주요 몬스터: 틴당글 몬스터, 하급 리버스 몬스터(진공 족제비(락축), 가드 도그(락축), 환상소환사(FTK축), 섀도르 드래곤 등)
- 주요 엑스트라 덱 몬스터: 틴당글 아큐트 케로베로스, 서브테러마리스의 요마, 범용 링크 몬스터, FTK용 EX 몬스터(FTK축), 고스트릭의 타천사 등 고스트릭 엑시즈 몬스터(고스트릭 소스)
- 주요 마법 카드: 나겔의 수호천, 싸이클론 등 후열 파괴 카드, 개기일식의 서[L3], 달의 서 등 리버스 관련 마법 카드
- 주요 함정 카드: 틴당글 들로네, 고스트릭 패닉(고스트릭 소스), 레섀도르 인카네이션(섀도르 소스)
SCARRED RESONANCE에서 발매된 덱.
OCG/마스터 듀얼하고는 덱의 모양새가 꽤 다른 편. 틴당글 엔젤이 없으므로 틴당글이 아닌 최상급 리버스 몬스터는 덱에 투입되지 않으며 용병 투입 시에는 하급 리버스 몬스터만 들어가게 된다.
틴당글은 FTK 구축과 락 구축으로 나뉜다. 어느쪽이든 스킬을 통해서 메일의 계단을 필드 위에 직접 깔고, 스킬로 틴당글 아포스톨+지레루스+인트루더+ 들로네를 묘지로 보내서 링크 소환용 자원을 마련하는 것은 공유한다. 어느 쪽이든 방해받지 않으면 킬각이 매우 높지만, 난이도와 피로도, 그리고 전승규 이벤트를 놓친 유저들은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사용률은 그렇게까지 높지 않은 편.
- FTK 구축은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과 No.34 전산기야수 테라바이트, No.51 괴완의 피니시 홀드 이외의 랭크 3 No. 엑시즈 몬스터[25]와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 LL-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 WW-크리스탈 벨, 링크리보/그라비티 컨트롤러를 투입한다. 선공 한정으로, 위의 스킬 발동 후에 패에 인트루더와 돌스가 아닌 다른 틴당글 카드(편의상 틴당글 A)가 있다는 가정 하에 진행한다.
- 여기서 아포스톨과 인트루더로 인트루더, 돌스, 패에 있는 틴당글 A와는 다른 이름을 가진 틴당글 카드(편의상 틴당글 B)를 서치, 지레루스로 환상소환사를 서치.
- 아포스톨과 지레루스로 랭크 3 넘버즈를 엑시즈 소환, 환상소환사를 일소권을 써서 세트.
- 인트루더를 버리고 환상소환사를 리버스, 환상소환사의 효과로 그 넘버즈를 릴리스하고 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을 소환.
- 나이팅게일의 효과로 250 데미지를 주고(상대 라이프가 4000 초과일 때는 필수.), 나이팅게일로 링크리보나 그라비티 컨트롤러를 링크 소환.
- 메일의 계단의 효과로 돌스를 버려서 환상소환사를 다시 세트. 돌스의 효과로 묘지에 있던 인트루더를 소생.
- 패에 있던 틴당글 A 또는 B를 버려서 환상소환사를 다시 리버스. 링크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WW-크리스탈 벨을 소환.
- 남아 있는 A 또는 B를 버리고 인트루더를 리버스. 인트루더 2장으로 아틀란타르를 엑시즈 소환.(후공일 경우에는 스킬을 발동해서 패 코스트를 안 써도 가능.)
- 아틀란타르의 효과로 묘지에 있는 넘버즈를 장착, 장착 중인 넘버즈를 묘지롤 보내고 상대의 라이프를 절반으로 한다.
- 크리스탈 벨의 효과로 묘지의 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의 효과를 복사. 복사한 효과로 2000 데미지를 준다.
이 경우, 상대의 라이프 포인트는 절반+2125의 데미지[26]를 받는다. 물론 상대가 "레이즈" 계열 스킬등을 써서 라이프가 4250 이상이라면 선턴킬이 불가능하지만, 링크 다크레이즈[27] 외에 라이프를 늘리는 스킬의 채용률은 높지 않은 편에 속한다. 별의 용자는 채용률이 높은 편에 속하지만 틴당글 쪽이 선공을 잡으면 라이프를 늘리지 못한다. 게다가 이걸 다 하고 나서도 패가 2장(선공 기준) 또는 4장(후공 기준)이 남는다.
- 락 구축은 반대로 진공 족제비나 가드 도그 등의 락 계열 효과를 가진 카드를 리버스시켜서 상대가 턴을 넘기면 나겔의 수호천의 효과로 폭딜을 넣어서 상대를 턴킬낸다.
6. 러시 듀얼 덱 목록
[선금제] 출시하기 전부터 미리 금제를 적용시킨 경우[선금제] [선금제] [선금제] [선금제] [6] 티어 덱이 된 지 얼마 안 된 덱은 제재를 심하게 가하지 않는다.[7] "그러고보니,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가능한 릴리스해버리는 그 몬스터도 암석족이었던 것 같은데..."라고 이벤트 설명에 대놓고 적혀 있다.[8] 크로노다이버는 상대의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가져오는 효과들은 있지만, 상대의 몬스터를 자신의 필드 위에 부르는 류의 효과는 없다.[9] 어영지사는 랭크 4이므로 크로노다이버 덱에서 손쉽게 부를 수 있다. 또한 니비루는 자신의 몬스터도 싹 다 릴리스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리단은 자신의 효과로 필드 위에서 벗어났다가 엔드 페이즈에 돌아올 수 있으므로 니비루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다.[10]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가 제한 1[L1] [12] 크림즌 헬가이아가 제한 3[L3] [14] 상대 필드에 로빈과 나이팅게일이 있을 경우 로빈에 공격 선언, 헬가이아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모두 뒤집은 다음 전투를 처리한다. 로빈은 전투로 파괴되지 않고 남지만 뒷면 수비 표시가 된 나이팅게일은 아무런 내성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효과로 쓸려나간다.[15] D.D. 크로우는 소울 1핸드만 방어할 수 있기 때문에 크림즌 전개에서는 0.5인분도 못하는 카드로 전락한다.[16] 금장 4명에 은장 36명.[하지만] 사실상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L3] [19] 원래는 용만의 레벨업 보상으로 딱 1장만 얻을 수 있었다. 무료 카드는 상점 카드로 안 푼다는 금기를 처음 깬 케이스.[20] 정크 싱크론, 제트 싱크론은 필수.[21] 정크, 싱크론, 워리어, 또는 빛/바람 싱크로 몬스터[22] 슈팅 스타 로드, 미래를 밝히는 유대, 슈팅 스타 로드 TG-EX[23] 효과 특성상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내 필드에 특수 소환하기에 메인 덱 쪽 몬스터에 소환 제약이 걸려 있으면 발동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다수다.[L3] [25] No.17 레비아단 드래곤, No.47 나이트메어 샤크, No.20 기가 브릴리언트, No.48 섀도우 리치,No.49 비조 포츈츈 중 아무거나 하나. 레비아단/나이트메어 샤크/기가 브릴리언트는 듀얼 보상, 섀도우 리치는 DARKNESS GIMMICK에서 R 등급, 비조 포츈츈은 데스가이드 이벤트 보상 등으로 준다.[26] 250+(x-250)*1/2+2000=x/2+2125[27] 사용률 30~40위 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