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09:49:53

유희왕 VRAINS

유희왕 바리안즈에서 넘어옴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Yu-Gi-Oh!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V판
파일:yugioh_logo_dm.png
OCG 기반
파일:yugiohlogo01.png 파일:GX_Jap_logo.png 파일:5dslogo.png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2000~200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2004~2008)
유희왕 5D's
(2008~2011)
파일:Yu-Gi-Oh!_ZEXAL_Japanese_Logo.png 파일:BigArcVLogo.png 파일:yugioh_vrains__logo.png
유희왕 ZEXAL
(2011~2014)
유희왕 ARC-V
(2014~2017)
유희왕 VRAINS
(2017~2019)
파일:RushDuelLogo.png
러시 듀얼 기반
파일:SEVENS_JP.png 파일:Yu-Gi-Oh! Go Rush!!.Iogo.png
유희왕 SEVENS
(2020~2022)
유희왕 고 러시!!
(2022~)
극장판
빛의 피라미드
(2004)
시공을 초월한 우정
(2010)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2016)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자세히 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VRAINS 포스터.jpg
관련 문서
등장인물 전적 일람 주제가 평가
}}}}}}}}} ||
유희왕 VRAINS (2017~2019)
遊☆戯☆王VRAINS
Yu-Gi-Oh! VRAINS
파일:VRAINS 포스터.jpg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카드배틀, SF
원작 타카하시 카즈키
스튜디오 다이스(スタジオ・ダイス)
감독 호소다 마사히로[1](1~13화)
아사노 카츠야[2] (14화~)
감수 사토 타츠오 (14화~)
조감독 무토 키미하루(武藤公春) (32화~)
시리즈 구성 요시다 신
듀얼 감수 히코쿠보 마사히로
캐릭터 디자인 하라 켄이치
몬스터 디자인 나가모리 요시히로(長森佳容)
우시로 유키(宇代祐規) (103화~)
컨셉 디자인 한다 세이지(反田誠二)
설정 스기모토 카즈마사(杉本一将)
미술 감독 사카키에다 토시유키(榊枝利行) (1~102화)
타니구치 준키(谷口純基) (103화~)
색채 설계 미노와 아야미(箕輪綾美)
촬영 감독 코마치 테츠(小町 哲)
오노 타케시(小野剛史)
CG 프로듀스 카와시마 히데노리(川島英憲) (1~76화)
나가타 후토시(永田 太)
CG 디렉션 카미죠 요시유키(上條嘉之)
편집 카지노 마사후미(楫野允史)
음향 감독 마츠오카 히로키(松岡裕紀)
음악 미츠무네 신키치(光宗信吉)[3]
애니메이션 총괄 스기야마 유타카(杉山 豊)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미즈타 켄지(水田賢治)
사토 요시토(佐藤義人)
프로듀서 카즈노 코스케(数野高輔)
지츠마츠 테루아키(実松照晃)
애니메이션 제작 갤럽
제작 TV 도쿄
NAS
방영 기간 2017. 05. 10.[4] ~ 2019. 09. 2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수) 18: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방송 계열(애니원, 애니박스, 챔프TV)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0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줄거리3. 스토리4. PV5. 등장인물6. 설정7. 주제가8. 국내 방영
8.1. 번역 오류
9. 평가10.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yugioh_vrains__logo.png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여섯번째 작품.

제목인 VRAINS는 브레인즈로 읽는다. 제목에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이 들어가는 만큼, 본작의 듀얼 방식은 VR 공간에서 변신 후 특수 보드에 탑승한 채 데이터의 바람을 타며 듀얼하는 VR 듀얼이다. 룰은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도 사용된 스피드 듀얼이며, 마스터 듀얼도 등장한다.

주인공은 후지키 유사쿠로, '유사쿠가 듀얼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면서 한 걸음 내딛고 도전한다'는 내용이라고 소개되었으나, 실제 스토리 라인을 보면 이러한 설명과는 굉장히 동떨어진 '인공지능의 반란'과 이에 맞서는 인간들의 투쟁이라는 이야기로 전개된다.[5]

링크 소환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이 추가되며, 엑스트라 덱과 관련된 룰이 대격변 수준으로 변경되었다. 듀얼은 가상공간에 접속해 듀얼하는 형태며, 듀얼 디스크는 20주년 극장판에서 카이바 세토가 썼던 것과 유사하게 VR 공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상 카드를 끌어다가 쓰는 신형이 대부분이고, 유사쿠와 아이의 것은 유희왕 ARC-V의 듀얼 디스크과 유사한 광선형 듀얼 디스크이며 실물 덱을 장착하는 구형이다.

작중에서 나온 링크 소환 대사는 다음과 같다.
"애로우 헤드 확인! 소환 조건은 (???) 몬스터 a장! 나는 ???, ???, ... b장을 링크 마커에 세트! 서킷 콤바인! 링크 소환! 나와라! 링크 c, (몬스터 이름)!"

다만 이건 1기 한정이며 2기 이후부터는 대부분 간략화되어서 그냥 소환 조건과 "링크 소환! 나와라, (몬스터 이름)!"까지만 나온다.[6] 유희왕 ARC-V에서 엑시즈 소환 / 싱크로 소환 / 융합 소환 / 의식 소환 시 랭크 또는 레벨을 선언하는 것과 같이, 링크 소환 시에도 링크 마커 수를 링크 소환과 몬스터 이름 사이에 선언한다.

2020년부터 유희왕 애니메이션 20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시리즈를 준비중이라고 했으며 2019년 9월 25일 120화를 끝으로 종영하여 시리즈 사상 두 번째로 짧은 화수로 끝난 유희왕 애니메이션이 되었다.[7] 후지키 유사쿠의 성우인 이시게 쇼야가 트윗에 3년 동안[8] 잘 부탁드린다라는 트윗을 올렸었는데 사정에 의해 조기종영된 건지는 알 수 없다.

2. 줄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이 발달한 도시. Den City(덴 시티).

거기에선 대기업 "SOL 테크놀로지"가 만든 고도의 네트워크 기술에 의한 링크 브레인즈(LINK VRAINS)로 불리는 VR 공간이 구축되어 사람들은 그 VR 공간에서의 새로운 듀얼 체험에 열광한다.

링크 브레인즈에 듀얼을 통해 해킹을 하는 수수께끼의 해커 집단 『하노이의 기사』가 나타난다. 그들의 목적은 네트워크 어딘가에 존재한다는『AI들의 세계=사이버스』를 멸망시키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런 링크 브레인즈의 위협에 맞서는 한 듀얼리스트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Playmaker".
압도적인 듀얼로 『하노이의 기사』를 쓰러트리고, 아무 말 없이 떠나는 그의 이름은 네트워크 세계에서 일약 유명해진다.

그 "Playmaker"의 정체인 고등학생 후지키 유사쿠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링크 브레인즈에 출몰하는 『하노이의 기사』와 싸우고 있었다.
그 싸움에서, 유사쿠는 "SOL 테크놀로지"와 "하노이의 기사"가 추구하는 수수께끼의 AI 프로그램의 포획에 성공하고, 이를 계기로 운명의 수레바퀴는 크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수수께끼의 AI의 정체.
링크 브레인즈를 노리는 "하노이의 기사"의 진의.
그리고 유사쿠의 과거에 숨겨진 진실은-
모든 답은, 링크 브레인즈 속에 있다!

3. 스토리

공식 인터뷰 기사, 또는 VOD 서비스 등을 통해 1기는 하노이의 기사 편(ハノイの騎士編) / 2기는 이그니스 편(イグニス編)[9] / 3기는 Ai 편(Ai編)[10]으로 정리된다.

4. PV

"진화한 듀얼 월드 LINK VRAINS."
"그곳을 습격한 것은 수수께끼의 AI 프로그램을 노리는 해커 집단 『하노이의 기사』. "
"난 단지 지나가던 AI일 뿐이라구ㅠ"
"넌 인질이 되어줘야겠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 나는 『하노이의 기사』 와 싸우겠다."
"바람을 붙잡아, Playmaker!"
"유희왕 VRAINS. 5월 10일 수요일 저녁 6시 25분 방송 스타트."
"Into the VRAINS!"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VRAINS/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

6.1. 전적 일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VRAINS/전적 일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주제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VRAINS/주제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국내 방영

2017년 9월 29일, 대원방송과 셀바이뮤직이 협업해 주제가 보컬 및 작곡가를 모집하는 이벤트를 개최했다. 기간은 2017년 9월 29일부터 10월 25일까지였으며, 본편 더빙판은 2017년 11월 중으로 방영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챔프에서는 2017년 11월 20일부터 매주 월요일 오전 7시마다, 애니박스에서는 2017년 11월 23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5시마다, 애니원에서는 2017년 11월 25일부터 매주 토요일 오전 7시부터 방영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2017년 11월 13일, 애니박스 공식 트위터에서 성우진이 공개되었다. 김명준, 서반석, 이동훈, 안효민, 이창민, 박성영, 문유정, 장민혁, 한신, 박요한 성우가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 외부 성우 중 김명준과 한신은 투니버스 성우이고 장민혁은 KBS 성우이다.

약간의 의역이나 각색을 거치던 OCG 용어들이 거의 그대로 사용된 것이 특징. 대표적으로 '생존 점수', 유희왕 ARC-V에선 '생명력'이라 번역되었던 것을 라이프 포인트라고 그대로 호칭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 유희왕 애니메이션 한국어판에서 라이프 포인트라는 단어를 그대로 언급한 것은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이후 처음이다.

2기는 애니원 트위터를 통해 2018년 하반기부터 방영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관련 트윗 초기에는 같은 해 10월 중으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방송사 사정으로 방영이 연기되었고, 이후 챔프에서 2018년 12월 3일 오전 7시부터 2기가 첫 방영되었다. 애니원에서는 2018년 12월 5일 오후 1시부터, 애니박스에서는 12월 6일 오전 7시부터 방영.[12] 2기는 원판의 46화까지 방영되었다.

2019년 9월에 애니원에서 3기 방송을 예정 중이라고 밝혔다. 이후 애니박스와 애니원에서 각각 2019년 9월 16일 오전 7시, 2시부터 방영되었으며, 챔프에서는 9월 18일 오전 7시부터 방영되었다. 원판의 75화까지가 3기로서 방영되었으며, 기존 출연진을 제외한 신캐릭터 모두 성우 돌려쓰기와 대원 8, 9기 전속으로 채웠다.

2020년 5월 4기 방영이 발표되었다. 애니원에서 2020년 5월 18일 오후 2시, 챔프에서는 5월 20일 오전 7시부터 방영되며, 원판의 120화, 즉 완결까지 다룬다.

연출은 1~2기(1기)는 황태훈 PD가 담당하였지만, 3기(2기 초중반)는 황태훈 PD 퇴사로 인해서 김세중 PD, 4기(2기 중후반 ~ 3기(마지막))는 영상 PD인 김도윤 PD로 교체됐다.[13][14]

4기부터 번역가가 바뀌면서 대사에 신조어[15]가 많이 들어가는데, 캐릭터성을 생각하지않고 대사를 넣는다던가 과하게 사용해서 어색해지는 경우가 많다. 안그래도 개그였던 다크 나이트 소환씬에선 로봇삐가 "형님! 일절만 해요!"라고 초월번역까지 하고...

4기 한국어 더빙판 방영은 2020년 8월에 마무리 되었다. 이로써 유희왕 5D's를 이어 두 번째로 완결까지 한국어로 더빙된 유희왕 시리즈가 되었다.[16] 유희왕 시리즈의 더빙판을 선호하는 팬들에겐 분명 더할 나위 없이 기쁜 사실이다. 현지화 명칭도 좀 무리수를 둔 것 같다는 후속작의 현지화명보다 낫다는 평이 많으며[17][18] 더빙 자체에 대해서도 호평이 자자하다.

8.1. 번역 오류

자잘한 번역 오류가 많은 편인데, 주로 블루엔젤이 마법과 함정을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다.

10화에서는 링크 3 몬스터인 인코드 토커를 링크 1이라고 잘못 말한 방송사고를 냈다. 링크 소재로 사용되며 몬스터 1장으로 취급된 것을 번역자가 착각한 모양.

82화에서는 블루 메이든이 플레이메이커의 엑시즈 소환을 보고 링크 소환이 아니야!라고 하는걸 링크 소환이잖아!라고 하거나 플레이메이커가 자신이 소환한 파이어월 X 드래곤을 두고 링크 4 라고 하는 둥 갖가지 오류를 냈다. 랭크와 헷갈린 듯.

9.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VRAINS/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1] 유희왕 시리즈에는 듀얼몬스터즈에 배틀 시티 편부터 도마 편까지 총 콘티 및 연출로 참여한 적이 있으며, 토에이판에서도 콘티와 연출을 담당한 바 있다.[2] 러브 라이브 선샤인 애니메이션의 연출, 콘티, 원화 등을 맡은 인물로, 본작이 감독 데뷔작이다.[3] DM의 음악도 담당했었다. 모두가 아는 그 유명한 BGM들이 이 작곡가의 작품.[4] 원래는 4월 5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사정상 한 달 동안 "유희왕 LABO" 특별 방송으로 대체되어 5월 10일로 미루어졌다.[5] 원래는 이런 캐치프라이즈로 방영을 알렸고 첫 발을 내딛는다는 성장형 주인공처럼 만들었다고 추측되지만 방영시기가 미뤄져서 유사쿠를 성장형 주인공 컨셉에서 듀얼 실력면에서 완성형 주인공으로 바꾼거라고 추측하기도 한다.[6] Playmaker가 최종화에서 액세스코드 토커를 링크 소환할 때 저 대사를 말한다.[7] 후속작 SEVENS가 가장 짧은 화수인 92화로 종영했다.[8] 140화 예상.[9] 나무위키의 분류와는 달리 VOD 서비스에서는 유통사를 가리지 않고 103화까지를 2기로 취급한다.[10] 기사나 일본어 위키피디아 등 Ai의 반란 편(Aiの反乱編)으로 표기한 곳도 있으나, 인터넷 VOD 서비스는 대부분 Ai 편으로 제공된다.[11] 본작에서 새로 등장한 특수 소환법이다.[12] 첫 홍보에서 줄거리를 일본 기준 2기(47화~)를 그대로 긁어온 방송 사고를 내버렸다.[13] 김도윤 PD의 특징으로 성우진 표기 방식이 평소처럼 예고편이 아닌 본편 마지막에 배치되어있다.[14] 그런데, 김도윤 PD는 성우진을 표기할 때, 실수인건지, 배역을 매화마다 일일이 다르게 표기하는 것이 귀찮아서 일부러 그런건지, 108화는 분명 하유미(하야미)가 나오는 화이면서도, 로봇삐가 이전화 장면 포함해서 안나오는 화임에도 불구하고, '하유미 강은애'가 아닌 '로봇삐 강은애'라고 표기하는 오류를 저질렀다. 참고로 이 PD는 브레인즈를 연출하기 전 연출작인 블랙 클로버 2기에서도 성우진을 표기할 때, 배역 표기 오류를 저지른 적이 있다.[15] "실화냐?!", "후덜덜", "초짜", "샘님" 등.[16] DMGX는 마지막 시즌(DM은 전체 224화 중 184화까지 방영, GX는 전체 180화 중에서 154화까지 방영)를 방영 하지 않았고 ZEXAL는 전체 6기(148화) 중에서 4기(98화)까지만 방영되었고 ARC-V는 전체 6기(148화) 중에서 3기(75화)까지만 더빙이 되었고 4기(76화 이후)부터는 자막으로 방영했다.[17] 특히 전통이라면 전통이 된 유희왕 한국판 특유의 무국적화 번안도 없이 거의 다 한국식 이름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다. 홍수인은 아예 최초로 한국식 이름으로 로컬라이징 된 라이벌이 되었다.[18] 지금까지의 라이벌은 카이바, 만죠메, 잭 아틀러스, , 레오→레이→레이지로 전부 무국적화였다.[19] 틴당글 하운드는 아키라를, 틴당글 엔젤은 아오이를 상징했다. 그리고 이 의미를 상대였던 후지키 유사쿠 역시 존중하여, 승리를 거머쥐기 전에 파이어월 드래곤의 효과로 아키라 묘지의 두 몬스터를 패로 되돌려주었다.[20] 당장 듀얼 몬스터즈~5D's의 경우는 주인공들에게 에이스 카드들에 엄청난 의미가 있었고, ZEXAL과 ARC-V에서도, 제작진을 교체한 후속작 SEVENS도 에이스 카드들은 좋든 나쁘든 주인공하곤 커다란 의미가 있었다. 그런데 당장 브레인즈 주인공 유사쿠부터 그런 묘사는 찾아보기가 힘들고 다른 이들도 마찬가지다.[21] 그래서 OCG에서는 '유희왕 브레인즈 오피셜 카드게임'이 아닌, 초창기에 사용했었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듀얼몬스터즈'로 완전히 부활되었다.[22] 타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사이트인 Laftel 또한 한동안 더빙판을 공개하고 있었으나 넷플릭스와 비슷한 시기에 판권만료를 이유로 유희왕 SEVENS를 제외한 유희왕 시리즈가 내려갔다.[23] 하필이면 원작자 사후 며칠 되지 않은 시점이었기에 해당 정보가 있는 트윗은 당일 삭제되었다.[24] 엄밀히 말하면 드래곤 링크 자체는 리볼버의 주력인 바렛 뿐만 아니라 온갖 드래곤 굿스터프들을 모아놓았기에 리볼버의 덱이라 보기엔 애매한 측면은 있다. 그러나 리볼버의 몬스터들이 많이 쓰인 것은 또 틀림없는 사실이어서 완전히 아니라고 보기도 어렵다.[25] 그 밖에 BF와 인페르니티를 보유한 5D's가 애니 테마로서는 두번째로 많은 수의 우승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의외로 DM의 푸른 눈 역시 2016년 당시 우승을 차지하며 우승 덱 리스트로 당당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반면 GX와 제알, 아크파이브에선 우승덱을 배출하지 못했다.[26] 발표 당시 코나미 관계자에 따르면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의 챔피언과 AI가 듀얼하거나, 대학교 등지에서 자체 개발한 AI끼리 대결하는 대항전 등 다양한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