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중화권 | 아프가니스탄 | ||||
파키스탄 | 인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카자흐스탄 | ||||
타지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이라크 | 예멘 | ||||
바레인 | 레바논 | 카타르 | 팔레스타인 | 이스라엘 | ||||
쿠웨이트 | 쿠르드 | 리비아 | 이집트 | |||||
유럽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독일 | 스위스 | 영국 | 프랑스 | 벨기에 | ||||
그리스 | 튀르키예 | 스웨덴 | 덴마크 | |||||
아메리카 | ||||||||
미국 | 쿠바 | 베네수엘라 | 아르헨티나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다자관계 | ||||||||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 이란·이라크·시리아 | 튀르키예·이란·아랍권 |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아프리카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이스라엘 | 이란 | |||||
이라크 | 레바논 | 아랍에미리트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
요르단 | 팔레스타인 | 이집트 | 리비아 | ||||||
유럽 · 아메리카 | |||||||||
러시아 | 프랑스 | 튀르키예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
미국 | 쿠바 | 베네수엘라 | |||||||
다자관계 | |||||||||
이라크·시리아·쿠르드 |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 이란·이라크·시리아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 |
이란 | 시리아 |
1. 개요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이후 훼손된 이란 지도자, 시리아 지도자 및 헤즈볼라 지도자 초상들. 왼쪽부터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알리 하메네이 이란 라흐바르, 하페즈 알아사드 전 시리아 대통령, 하산 나스랄라 헤즈볼라 지도자.
이란와 시리아의 관계. 양국은 시리아가 바트당 시절까지만 해도 정권이 시아파 정권[1]이라는 점, 이스라엘과 철전지 원수이며, 미국의 경제제재를 받는 반미 · 친러 국가라는 공통점도 있었다. 그렇기에 바트당 정권 붕괴 전까지는 관계가 좋은 편에 속했었다.
2. 역사적 관계
서기 4~6세기 사산조 페르시아가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 과정에서 종종 시리아 속주 일대를 침공하고 주민들을 노예로 잡아갔다.2.1. 20세기
원래 서로 소 닭보듯 하던 사이였으나[2] 이란이 이란 혁명 이후 강경 반미, 반이스라엘 국가가 되면서 협력하기 시작했다.2.2. 21세기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시리아가 세속적 종교 정책을 취하면서 한때 이란은 시리아와 갈등이 있었지만, 같이 이스라엘에 이를 갈고 튀르키예를 견제한다는 점으로 뜻이 맞고 시아파의 성지가 꽤 많은 시리아에 이란 관광객이 많이 오는 점 때문에 2013년 시리아 반정부 사태에 시리아 정부를 지원하고 있다.또한, 시리아를 지원하면서 군대도 파견했으며 미국이 영국, 프랑스와 함께 시리아를 공습하자 시리아의 알아사드 대통령과 이란의 로하니 대통령이 전화를 하면서 시리아 공격을 맹비난했다.# 그리고 대항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이 이란을 방문했는데 내전이 터진 후 알아사드의 외국 방문은 러시아 이후 두 번째다. 해당 방문에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와 회담하였고 특히 하메네이와 면담할 때는 서로 포옹하는 장면까지 추가로 공개됐다. 지금까지 하메네이가 외국 정상을 면담하는 장면은 비슷한 각도의 사진밖에 공개하지 않았던걸 감안하면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그만큼 시리아를 특별대우 해준다는 의미이다.
2015년에는 러시아가 시리아와 이란편에서 군사 개입을 선언했으며, 이로써 시리아 내전에서 ISIL은 소멸했으며 정부군의 영토는 65%가량 회복한다.
2020년 5월 5일 이란이 시리아에 파견한 군 병력을 줄이며 철수시키고 있다고 이스라엘 언론이 보도했다.#
2022년 5월 8일 아사드 대통령이 이란을 방문했다.#
2023년 1월 15일, 이란이 경제난으로 인해 시리아로 공급하던 원유 가격을 2배로 올렸다.#
2024년 10월 5일, 이란 외무장관이 시리아를 방문했다.#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결과 12월 8일에 아사드 정권이 패망하면서 이란의 대외 정책은 심각한 타격을 맞았다. 다마스쿠스가 함락되던 상황에서 주시리아 러시아 대사관은 멀쩡했는데, 이란 대사관은 약탈을 당했다.# 반군 입장으로도 비록 러시아가 공습 등 아사드 정권을 비호해줬어도 미국과 서방이 수교 등 밀착해주지 않으면 일단 뒷배가 필요한데다가 괜스레 러시아 대사관을 공격했다가는 러시아가 이를 빌미로 아사드를 옹위하여 군대를 보낼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리아 채권 회수도 불가능해서 이란 내 여론이 안 좋게 돌아가고 있다.#
3. 문화 교류
바트당 정권 시절 양국은 시아파 정권이었기 때문에 종파에서 공통점이 존재해 왔다. 다만, 전술했다시피 이란은 12이맘파에 속하고 시리아는 알라위파라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이란측에선 알라위파를 시아파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란인 관광객들이 시리아로 자주 오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2024년 12월 8일 알 아사드 정권의 붕괴를 통해 수니파를 주축으로 한 과도정부가 출범하면서 이러한 문화적인 교류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본격적인 두 종파 간의 대립으로 인한 파행으로 치닫고 말았다.4. 군사 교류
양국간의 군사교류가 활발하다. 이란과 시리아는 미국, EU와는 갈등이 존재하고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아랍권 국가들과도 갈등이 있다보니 군사적으로 협력이 활발하다.1997년에 이란이 시리아와 군사첩보 분야의 협력을 모색했다.#
2018년 8월 26일에 이란의 국방장관이 시리아를 방문했고 군사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7월 8일에 이란군은 시리아와 시리아의 대공방어망을 증강하는 데 이란이 지원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상술했듯 2024년 12월 8일 이후로 이러한 군사적 교류는 사실상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5. 대사관
다마스쿠스에 주 시리아 이란 대사관, 테헤란에 주 이란 시리아 대사관이 존재한다.6. 관련 문서
- 이란/외교
- 시리아/외교
- 이슬람 협력기구
- 이란/역사
- 시리아/역사
- 이란/경제
- 시리아/경제
- 시리아인 / 이란인
-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슬람교 / 시아파 / 알라위파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1] 다만 같은 12이맘파에서 갈라졌다곤 허나 시리아는 알라위파이고 이란은 자파리파이다.[2] 12이맘파 자파리파의 대학자 셰이크 투시는 시리아의 알라위파를 이슬람의 일파가 아닌 아예 다른 종교로 분류한 바 있었다.(순니파 한발리파의 이븐 타이미야가 알라위파를 보는 관점과도 대동소이했다.) 이란에서 알라위파를 이슬람의 한 종파로 인정하게 된 것은 1970년대이며 그것도 신학적인 이유보다는 정치외교적 이유에서로 비롯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