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23:06:35

이화문


국장 (國章)
정렬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멕시코 국장.svg파일:미국 국장.svg파일:브라질 국장.svg파일:볼리비아 국장.svg파일:에콰도르 국장.svg
멕시코미국브라질볼리비아에콰도르
파일:엘살바도르 국장.svg파일:온두라스 국장(1935~).png파일:쿠바 국장.svg파일:파라과이 국장.svg 파일:파라과이 국장(뒷면).svg파일:페루 국장.svg
엘살바도르온두라스쿠바파라과이페루}}}}}}}}}{{{#!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대만 국장.svg파일:대한민국 국장.svg파일:레바논 국장.svg파일:몰디브 국장.svg파일:몽골 국장.svg
대만대한민국레바논몰디브몽골
파일:미얀마 국장.svg파일:바레인 국장.svg파일:방글라데시 국장.svg파일:부탄 국장.svg파일:북한 국장.svg
미얀마바레인방글라데시부탄북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장.svg파일:시리아 국장.svg파일:아프가니스탄 국장.svg파일:예멘 국장.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장.svg
사우디아라비아시리아아프가니스탄예멘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장.svg파일:이란 국장.svg파일:인도 국장.svg파일:인도네시아 국장.svg파일:일본 황실.svg
이라크이란인도인도네시아일본
파일:중국 국장.svg파일:카타르 국장.svg파일:캄보디아 국장.svg파일:쿠웨이트 국장.svg파일:타지키스탄 국장.svg
중국카타르캄보디아쿠웨이트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장.svg파일:파키스탄 국장.svg파일:팔레스타인 국장.svg파일:필리핀 국장.svg
투르크메니스탄파키스탄팔레스타인필리핀}}}}}}}}}{{{#!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장.svg파일:리비아 국장.svg파일:모리타니 국장.svg파일:부룬디 국장.svg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장.svg
남아프리카 공화국리비아모리타니부룬디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앙골라 국장.png파일:에리트레아 국장.svg파일:이집트 국장.svg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장.svg파일:카보베르데 국장.svg
앙골라에리트레아이집트중앙아프리카공화국카보베르데}}}}}}}}}{{{#!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뉴질랜드 국장.svg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장.svg파일:바누아투 국장.svg파일:통가 국장.svg파일:피지 국장.svg
뉴질랜드미크로네시아 연방바누아투통가피지
파일:호주 국장.svg
호주}}}}}}}}}{{{#!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0 -5px"
파일:그리스 국장.svg파일:독일 국장.svg파일:라트비아 국장.svg파일:러시아 국장.svg파일:루마니아 국장.svg
그리스독일라트비아러시아루마니아
파일:산마리노 국장.svg파일:스페인 국장.svg파일:아이슬란드 국장.svg파일:아일랜드 국장.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장.svg
산마리노스페인아이슬란드아일랜드아제르바이잔
파일:영국 국장.svg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파일:오스트리아 국장.svg파일:이탈리아 국장.svg파일:튀르키예 국장.svg파일:포르투갈 국장.svg
영국오스트리아이탈리아튀르키예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장.svg파일:프랑스 국장.svg파일:헝가리 국장.svg
폴란드프랑스헝가리}}}}}}}}}{{{#!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지위상실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일:대한제국 국장.svg파일:소련 국장.svg파일:티베트 문장.svg파일:백합 문장.svg
대한제국소련티베트플뢰르 드 리스}}}}}}}}}}}}
관련 틀: 국기 · 국가 · 국호

[[대한민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 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관련 틀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파일:전주이씨대동종약원 휘장.png
대한제국의 국장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휘장
1. 개요2. 역사3. 도안
3.1. 변형
4. 활용 예시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국장. 또한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가문인 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자두꽃(이화, 李花)[1]을 도안화한 문장이다. 자두의 순우리말인 '오얏'을 써서 '오얏꽃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

파일:석조전 박공.png
덕수궁 석조전의 이화문 부조.
개항 이후 일본 제국국화문을 본따 만들어졌으며 공식적으로 지정된 것은 대한제국 시기인 1897년의 일이다. 프랑스의 백합이나 일본의 국화처럼 원래는 왕조의 문양이지만, 군주국이기에 사실상 국장으로 쓰였다.

때문에 대한제국 시기의 국가/황실의 성격이 부여된 곳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데, 공문서나 궁궐 건물들은 물론이고, 내/외부 장식, 가구, 심지어 가정용품에도 이화문이 그려진 문화재가 종종 확인된다.

또한 근대엔 군의 개인화기 가늠쇠 밑에 국장이나 왕실 문장을 새겨 넣는 것이 유행이라, 당시 수입된 화기엔 항상 이화문을 새겨넣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이화문 장식을 직접 보고 싶다면 덕수궁 석조전에 마련된 황실 복원관을 견학해 보면 좋다. 또한 창경궁 대온실의 이화문 장식, 운현궁 이로당 툇마루에 앉아 있으면 양관(덕성여대 평생교육원) 건물이 보이는데, 그 양관 지붕에도 금속으로 된 이화문 투각을 볼 수 있다.
파일:prunus_seal_taiwan.png
파일:일본 황실.svg
중화민국(대만)의 매화 문장. 일본의 국화 문장.
비슷한 문장으로는 중화민국의 매화문과 일본의 국화문이 있다. 셋 중에서는 최소 13세기부터 쓰인 일본의 국화 문장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이화문의 제작 동기도 일본 황실 문장일 것으로 보인다.

중화민국매화 문장과는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다. 구분법은 이화문은 한 변당 꽃술이 3개이고 매화문은 작은 꽃술 2개가 큰 꽃술 사이에 껴 있는 형식이다. 일본국화 문장과의 형태의 유사점은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무늬라는 것 외에는 없다. 국화문보다는 차라리 일본 경시청이나 육상자위대 등에서 쓰이는 벚꽃 문양이 더 유사하다.

3. 도안

단청과 수묵으로 대표되는 고전적인 미술에서 탈피해 일본식 가문 문장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잉크와 인쇄기라는 장비를 통해 소도구와 비품 등에 적용하였다.

변형도 다양해서, 꽃술이 없는 것에서부터 3개, 5개까지 있는 문양도 있고 겹꽃잎이 추가된 문양도 있으며, 여타 서양 문장들이 겉에 월계수를 두듯 오얏 가지를 두르거나 황금으로 만든 원이 장식된 문양도 있다. 색은 노랑색(금색) 혹은 빨강색이며, 전주 이씨 종친회의 경우 꽃술 안쪽에 '종(宗)' 자를 새겨넣기도 한다. 만약 대한제국의 황실이 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면 일본 황실 미야케들의 문장처럼 변형된 이화문들이 다양했을 가능성도 있다.

3.1. 변형

파일:운현궁 이화문.svg 파일:Sadonggung_Ihwamun.png 파일:deoksugung_ihwamun.jpg
운현궁의 이화문. 사동궁의 겹꽃잎 이화문. 덕수궁 석조전 내실의 이화문.

4. 활용 예시

뜬금없이 해방 후 미군정 시기의 수입인지에도 이화문이 들어갔다. 해방후 과도기 동안은 일제강점기시절 쓰다가 해방과 함께 재고로 남은 일본제국의 인지에 대충 조선정부라는 국명만 덧인쇄해 쓰다가[3] 정국이 어느정도 안정되고 새 인지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도안으로 참고할 만한 일제 이전 조선의 정부 상징은 대한제국의 이화문 밖에 없으니 일제 이전 대한제국을 계승한다는 뉘앙스도 포함해 겸사겸사 대한제국의 문장을 넣은 것으로 보인다. 모양새는 사동궁의 겹꽃잎 이화문과 유사해 보인다.

[1] '花'(이화학당,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가 이것)가 아님에 유의. 이화문의 이화는 배꽃이 아닌 자두(오얏)꽃이다.[2] 당시 대한제국은 무기를 스스로 생산할 수 없었기에 서구로부터 많은 무기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이게 좀 대중 없이 섞였던지라 거의 무기 전시장급이었다고. 그만큼 훈련 난도는 더 높아졌을 듯. (후에 일본의 30년식 소총 생산설비를 들여와 용산에서 자체생산하긴 한다.)[3] 심지어 우표를 붙이는 사례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