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8:23:05

인터넷 커뮤니티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1. 개요2. 역사3. 특징
3.1. 혐오3.2. 인식
4. 운영 방식5.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국가/언어별 커뮤니티 목록6. 비판7. 사건 사고8. 관련 이슈
8.1. 커뮤니티 운영비
9. 관련 문서

1. 개요

인터넷 커뮤니티란 공통의 관심사나 환경을 가진 이들이 소통하는 웹사이트다. 언론 기사에서는 주로 온라인 커뮤니티라는 명칭이 쓰인다.

서양에서는 이러한 웹사이트를 보통 인터넷 포럼이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한국 커뮤니티에 존재하는 게시판 중심의 커뮤니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했다.

2. 역사

대한민국 인터넷 커뮤니티의 기원은 PC통신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통신에 설립된 동호회, 소모임이 인터넷 커뮤니티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에서 영향력 있는 주요 커뮤니티는 2000년대에 주로 형성되었다.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다수가 모이는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들의 영향력이 커지자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많아졌다고 한다.가짜뉴스·음모론·호소문까지…총선글 가득한 커뮤니티 게시판 유동 인구(트래픽)가 많은 커뮤니티들이 주로 목표가 된다.

대한민국에서는 대개 커뮤니티라고 하면 2000년대까지는 디시인사이드, 루리웹, 오늘의유머[1], 웃긴대학 같은 개인 홈페이지가 성장한 형태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10년대 이후에는 의미가 확장되어 파우더룸, 도탁스, 이종격투기, 중세게임 마이너 갤러리, 붕괴3rd 채널네이버 카페, 다음 카페, 디시인사이드/마이너 갤러리, 아카라이브/채널 같은 기업의 산하 서비스에 속한 커뮤니티도 인터넷 커뮤니티라고 하고 있다.

2020년대 들어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의 소셜 미디어로 인해 20대 이하 세대의 유입이 적어지면서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대부분의 한국 커뮤니티는 일본5ch와 다를 바 없는 연령 분포를 보이고 있다.#

3. 특징

대한민국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드나드는 웹사이트 중 게시물, 댓글, 쪽지 등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가능할 때 '커뮤니티'로 부른다. 인터넷의 커뮤니티는 주로 공통된 관심사가 이들의 구심점이다. 본래 유머나 다양한 것들을 주제로 삼는 커뮤니티는 정치적 의견이 한쪽에 쏠리지 않아야 하는 게 정상이지만 한국에서는 안 좋게 변질되어 각 사이트마다 특정한 정치사상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정치계의 무언가가 바뀌거나 개편되면 인터넷 커뮤니티들에도 영향을 끼친다.[2]

뻘글이나 유머, 잡담 같은 가벼운 이야기부터 전문적이고 진지한 주제를 갖고 이루어지는 경우까지 상당히 스펙트럼이 넓은 덕분에 분명한 목적을 갖고 활용한다면 꽤 괜찮은 정보를 얻어낼 수도 있다. 말 그대로 공통된 관심사라는 기준이 명확하기 때문에 침묵의 나선 이론이 크게 형성된다.[3]

타인에 대한 얘기를 하는 것도 좋아하는데 주로 연예인, 정치인, 운동선수, 프로게이머 등 그중에서도 여러 다양한 주제와 이슈를 다룬다. 애초에 커뮤니티에 빠져 사는 사람들은 본인들의 인생이 따분하고 별 볼일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타인의 인생에 집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여기서 제일 접하기 쉬운 타인이 위의 직업들이다. 실제로 한때 커뮤니티에 빠져 살다 뒤늦게 커뮤니티 중독에서 벗어난 사람들은 '내가 이런 걸 대체 왜 했지'라며 후회하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한번 중독에서 제대로 벗어나게 되면 다시 커뮤니티를 하라고 시켜도 본인이 싫어서 안 하게 된다.

인터넷 사용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커뮤니티들이 여론에 미치는 파급력도 무시하지 못할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2021년에는 QAnon이 극단적인 국제적 극우 인터넷 테러조직으로 급부상하여 전세계의 인터넷 커뮤니티를 장악하려고 총기까지 동원하면서 전망이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인[4] 익명성도 빼놓을 수 없는데 익명이 보장되기에 더더욱 빠지기 쉽고, 현실에선 할 수 없거나 눈치보이는 말들을 커뮤니티라는 가상세계에 가까운 '공간'과 익명성이라는 '무기'를 빌려 더욱 거칠고 당당하게 말하게 되며, "현실에서 힘들게 일하다가 이런 데서 스트레스 좀 풀겠다는데 니들이 뭔데"라는 심리로 비판에 대한 눈길이나 뒷감당에 대한 걱정은 귓등으로도 두지 않는다. 따분하고 재미없는 현실에서 이에 자극적인 맛을 느껴 중독으로 빠지는 경우도 많다. 여기서 더해지면 아예 현실세상과 인터넷 세상을 구분하며 마치 두 얼굴을 가진 지킬 박사와 하이드처럼 살아가게 되는데 이는 바람직한 삶을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좋지 않다. 인터넷에선 망나니, 현실에선 정상인[5]

인터넷 커뮤니티의 여론은 현실 여론과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도 있다. # 게이오대학교 교수 다나카 타츠오는 인터넷 게시글, 댓글 등의 50%를 전체 이용자의 0.23%에 해당하는 헤비 유저가 점유한다고 주장했고, JTBC 조사에서는 0.1%도 안되는 인간이 전체 댓글의 4분의 1를 양산하고 있다고 보도했으며#, 중앙일보는 네이버 기준 헤비 댓글러 123명이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SBS는 포털의 0.03%가 30%를 차지하고 있다고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미국 연구진의 조사에 따르면 커뮤니티의 1%에서 74%의 갈등이 시작되고, 그 중에서도 0.1%의 유저가 분탕 글, 댓글의 38%를 차지하고 있었다. # 이렇듯 소수의 헤비 유저에 의해 휩쓸리기 쉬운 게 커뮤니티의 특성이기 때문에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마음만 먹으면 여론 조작도 충분히 가능하다. 익명성이 인터넷 커뮤니티의 가장 큰 속성이기에 처음 그 여론이 대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를 찾아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며, 헤비 유저라 불리는 이들 입장에서도 또 문제가 되면 언제든 탈퇴해 버리고 개인정보를 삭제했다가 다시 가입해 버리면 세탁이 쉽게 되기에 처음의 여론 왜곡을 주도한 이들의 실체를 알아내기도 쉽지 않다. 인터넷에서는 자신이 말해 놓고도 입 다물고 시치미 뚝 떼고 있으면 그만이고, 그런 만큼 실체를 알 수 없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의심만 커지게 된다.

속 편한 건 커뮤니티에서 꼭 필요한 정보만 얻고 나가는 것이고, 제일 나은 건 아예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요즘 세상에 필요한 정보는 어디서든 쉽게 얻을 수 있다.[6] 커뮤니티 특성상 자극적인 중독성이 강해 한번 접하게 되면 커뮤니티 중독으로 이어져 현생에 지장을 줄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기 때문에 인터넷 세상에 발 담그지 않고 본인의 현생에만 몰두하며 사는 게 가장 바람직한 길이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오면 글(정보)만 보고 댓글은 보지 마라라는 말도 괜히 있는 게 아니다. 물론 현생에만 몰두하며 살기에 현생이 결코 만만하지 않다는 것도 현실이지만.

3.1. 혐오

현대 자본주의 경제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사회적으로 도태되고 소외된 많은 사람들이 파시즘으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이는 사회적 불평등이 오늘날처럼 극에 달했던 마지막 시대인 1930년대와 다르지 않다. 그들 중 많은 부분은 인터넷 커뮤니티(Chans)에 연관되어 있다.
{{{#!folding [ 독일어 원문 펼치기 · 접기 ]
Wie in den 1930ern – das letzte Mal, als die soziale Ungleichheit derartige Extreme erreicht hatte wie heute – begann eine große Anzahl sozial herabgestufter Leute, die durch abrupte Veränderungen in der modernen kapitalistischen Wirtschaft an den Rand der Gesellschaft gedrängt wurden, sich dem Faschismus zuzuwenden. Viele von ihnen über die Chans.}}}

- 반문화 연구가 데일 베란(Dale Beran)의 2019년 사설 "엄마 집 지하실에서의 테러(Der Terror aus Mamas Keller)". <Der Freitag> 지에서 인용한 것을 발췌 번역함.
중요한 것은 정치적 '뉴커머(Newcomer)'들이 모두 우익 극단주의자인 것은 결코 아니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극단주의 세력은 새로운 기회와 기존 미디어의 게이트키퍼 기능 약화를 매우 성공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7]. 극단적인 발언은 디지털 세계의 관심 경제(Aufmerksamkeitsökonomie)에서 반복적이고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8]. 이러한 경향은 사람들 사이의 불균등한 온라인 사용량으로 인해 더욱 악화된다. 평균적으로, 극단적이거나 급진적인 정치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전체 인구에 비해서 온라인에서 더욱 활발하게 활동한다. 이런 식으로 그들은 자신의 게시물, 댓글, 공유 및 좋아요를 사용하여 사회에서는 소수만 공유하는 입장에 훨씬 더 많은 이들이 동의한다는 인상을 심어준다. 반면에 온건한 입장은 종종 이러한 급진적이고 극단적인 목소리에 의해 디지털 담론 공간에서 밀려난다.[9].
{{{#!folding [ 독일어 원문 펼치기 · 접기 ]
Es ist wichtig zu betonen, dass längst nicht alle der politischen „Newcomer“ (rechts-)extrem sind. Dennoch scheinen besonders extreme Kräfte die neuen Möglichkeiten und die geschwächte Gatekeeper-Position etablierter Medien sehr erfolgreich für sich zu nutzen (Jungherr, Rivero und Gayo-Avello 2020; Miller-Idriss 2020). Extreme Äußerungen erzeugen in der digitalen Aufmerksamkeitsökonomie immer wieder eine hohe Reichweite (Jungherr, Schroeder und Stier 2019). Dieser Effekt wird durch die ungleiche Online-Nutzung innerhalb der Bevölkerung verstärkt: Menschen mit radikaler oder extremer politischer Einstellung sind online durchschnittlich deutlich aktiver als die Gesamtbevölkerung. Hierdurch können sie mit ihren Beiträgen, Kommentaren, Shares und Likes den Eindruck einer breiten Zustimmung zu Positionen signalisieren, die gesellschaftlich nur von einer Minderheit geteilt werden. Moderate Positionen werden dagegen oft von solchen radikalen und extremen Stimmen aus digitalen Diskursräumen herausgedrängt (Bail 2021).}}}

온라인상의 우익극단주의 선동가들은 다음과 같은 위기상황에서 이득을 얻는다. 2015년과 16년의 난민 위기, 또는 상술한 코로나 판데믹 등. 이런 위기 순간에는 불확실한 정보, 역동적인 상황전개, 그리고 실시간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이 한데 모인다. 위기 상황에서 발생하는 불안과 두려움은 단순한 설명을 제공하며, 외집단을 "희생양"으로 규정하는 우익 극단주의 이데올로기의 번식지로 작용한다. 최근 몇 년간 주요 사회적 위기는 우익 극단주의적 반체제 세력의 성장할 자양분을 제공했으며 그들의 내러티브가 확산되고 정당화되는 데 기여했다[10].
{{{#!folding [ 독일어 원문 펼치기 · 접기 ]
Rechtsextreme Online-Agitator*innen profitieren von Krisensituationen wie beispielsweise der sogenannten Link hat Vorschau-PopupInterner Link:Flüchtlingskrise 2015/2016 oder der bereits aufgeführten Corona-Pandemie. In solchen Krisenmomenten treffen unklare Informationslagen, dynamische Entwicklungen und digitale Echtzeit-Kommunikationsmöglichkeiten aufeinander. Unsicherheiten und Ängste, die in Krisensituationen entstehen, schaffen einen Nährboden für rechtsextreme Ideologien, die einfache Erklärungen anbieten und Outgroups zu „Sündenböcken“ erklären. Immer wieder haben große gesellschaftliche Krisenmomente in den letzten Jahren Möglichkeiten für wachsende rechtsextreme Gegenöffentlichkeiten geboten und zur Verbreitung und Normalisierung ihrer Narrative beigetragen (Virchow und Häusler 2018).}}}

- 라이프니츠 미디어 연구소의 얀 라우(Jan Rau), 사설 "우익극단주의의 성공신화로서의 인터넷?(Das Internet als rechtsextreme Erfolgsgeschichte?)"에서

2010년대부터 디시인사이드에서 일베, 메갈리아가 파생되고 메갈리아에서는 워마드가 나왔으며 일베가 망한 이후 다른 남초 커뮤니티에서 유저들이 도로 유입되고 메갈리아와 워마드가 망한 후 다른 여초 커뮤니티에서 유저들이 도로 유입되면서 혐오의 선봉부대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이로 인해 인터넷 커뮤니티의 인식이 크게 나빠졌다. 특히 특정 집단이나 특정 인물에 대한 사이버 불링이 방치되거나 조장되는 면이 심해서 관련 법적 분쟁이 발생한다.

이는 커뮤니티 특유의 닫힌 사회 현상과 함께 비슷하게 동반되는 집단사고, 확증편향, 진영논리 등의 인지적 오류 현상들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폐쇄성이 높은 커뮤니티일수록 더 강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의 혐오 현상은 특정 집단/인물이 금전적/정신적 피해를 입거나, 심지어 극단적 선택을 하게 만들 수도 있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하다고 볼 수 있지만 해당 혐오 현상으로 인한 폐해에 따른 반성이나 자정 작용 같은 캠페인 등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게 현실이다.

3.2. 인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커뮤니티/인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운영 방식

5.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국가/언어별 커뮤니티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대한민국의 커뮤니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나라별 커뮤니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비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커뮤니티별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이슈

8.1. 커뮤니티 운영비

관리자 인건비, 서버 유지비 등의 커뮤니티 운영비가 어디에서 솟아나지는 않기 때문에 핫딜 바이럴 중개, 지면 광고, 구매대행 등의 수수료를 통해 운영비를 충당하곤 한다. 하지만 신생 사이트라서 아직 광고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거나, 소유주의 신념으로 해당 방식을 선택하지 않는 커뮤니티는 나무위키가 초창기에 그랬듯이 가상화폐 등으로 운영비를 기부받거나 디시인사이드, 나무위키처럼 자원봉사 관리자를 구하기도 한다. 네이버 카페 등 플랫폼에 기대는 방식의 커뮤니티는 서버비를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극복한 대형 커뮤니티의 소유주는 금전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물론 여느 사업이 그렇듯이 실패하면 이라도 남기지 않는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하므로 커뮤니티를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선 이상으로 키우는 데 성공하면 엑싯하여 목돈을 모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것을 선택하기도 한다.

9. 관련 문서



[1] 초창기에는 메일링 서비스였다.[2] 디시인사이드같은 경우는 보통 우파 계열 사이트로 알려져 있지만 규모가 워낙 거대하다 보니 갤러리마다 정치 성향이 천차만별이다. 물론 좌냐 우냐로 따지자면 우파에 가깝게 분류되기는 한다.[3] 쉽게 말해 만장일치를 원하는 다수에 의해 다른 의견을 갖는 소수의 사람들이 고립과 배척을 두려워해 침묵하는 현상이 일어난다.[4] 인터넷 커뮤니티의 문제점이라 불리는 현상들은 사실상 이 '익명성'에 기인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5] 혹자는 "애초에 이런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현실에서도 잘 살아갈 수가 없기 때문에 절대 정상인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사회에 나와서 외부에 대해 보이는 모습과 혼자 있을 때의 모습이 엄청나게 다른 경우는 인간들 사이에 널렸다. '영업용 얼굴'이라는 말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6] 사실 정보도 현실에서 관련자등이 아주 폐쇄적이라 특정 커뮤니티에서만 접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면 가지 마라. 보통 커뮤니티 사람들은 현생의 수준과 상관없이 눈만큼은 높다. 예를 들자면 입시만 보면 수만휘를 제외한 입시 커뮤니티는 다들 오르비 수준의 눈높이를 갖고 있는데 이들 중 오르비에서도 명문대라 불리는 대학응 가는 사람은 극히 일부다. 취업 관련 커뮤니티도 전문직 자격증을 얻지 못하거나 좋은 기업에 가지 못해 일반적인 테크를 타는 사람들은 인생 패배자처럼 묘사하며 자신만 겨우 거기서 살아남았다는 비틱질을 하는 사람으로 널려있다.(정말 그런 식으로 일반인들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것을 매도하는 사람들의 글 레파토리는 90% 이상이 비슷하다. 그 진로로 가면 인생 망한다->왜 인생이 망할 지 그럭저럭 이유를 든다->하지만 글쓴이 본인은 그 답 없는 상황에서도 혼자 이겨내고 살아남았다->하지만 그건 글쓴이 본인이 특별해서 가능했던 거고 이걸 읽는 너는 남들과 똑같이 인생 망할 것이다. 대부분이 이 4단계 구조로 쓴다.)[7] Jungherr, Rivero und Gayo-Avello 2020; Miller-Idriss 2020[8] Jungherr, Schroeder and Stier 2019[9] Bail 2021[10] Virchow und Häusler 2018[11] 이는 남초 커뮤니티에 비해 여초 커뮤니티가 워낙 테러를 많이 받기 때문이다.[12] 해당 직종에 실제로 종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증이 필요한 곳이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