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배기역 | |||||
장암 방면상 도 ← 0.9 km | 7호선 (740) | 석남 방면신대방삼거리 1.2 km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경전철 서부선| 서부선 ]] | ||||
G08정거장 방면노량진 ← -.- km | 서부선 계획 중 | 관악산 방면113정거장 -.- km → |
역명 표기 | ||
7호선 | 장승배기 Jangseungbaegi 长丞拜基 / チャンスンベギ | |
주소 |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188 (상도동 26-20) | ||
소속 영업사업소 | ||
7호선 | 보라매영업사업소 장승배기역 | |
운영 기관 | ||
7호선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
7호선 | 2000년 8월 1일 |
역사 구조 | ||
지하 3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40번.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지하188 (상도동 26-20)에 위치한 역이다.2. 역 정보
역 안내도 |
장승배기라는 지명은 예전에 이곳에 두 고을의 경계를 가리키던 장승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과거에 이곳이 옛 시흥군과 옛 과천군의 경계 지역이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당시 장승은 5번 출구 일대에 있었으나 나중에 사라졌고, 1991년에 동작구에서 공식적으로 6번 출구 앞 동작도서관 가는 길에 복원했다. # 장승 앞에는 조선시대 정조가 수원에 있는 사도세자의 묘소로 참배하러 가는 길에 세운 것이 기원이라는 안내문이 있으나, 영조 재위기인 1760년대 기록에도 이 장승을 암시하는 내용이 등장하기에 정조 관련 이야기는 전설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5, 6번 출구 앞의 가로등을 장승 장식으로 꾸며놓은 것도 볼 수 있으며 1990년대 초반부터 10월마다 이 장승 앞에서 장승제를 지낸다.
장송배기라는 지명은 장승백이라고도 쓰며, 대략 1990년대 이전까지는 장승백이라는 표기가 더 많았다. 그러나 1990년대 동작구에서 장승을 복원하면서 여기에 '장승배기'라는 이름을 붙였고, 2000년에 개통한 7호선 역 이름에도 '장승백이'가 아닌 '장승배기'가 반영되었다. 7호선이 개통되기 전 상도동 주민들은 이곳의 지명을 '장승백이'라고 썼지만 역이 생긴 후 '장승배기'와 혼용하기 시작했다.
'장승'의 원말은 한자어 장생(長栍)이지만, 단어가 토착화되어 순우리말 아닌 순우리말로 변해버렸기에 한자표기가 없다. 마찬가지로 역명의 정식 한자표기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 갈 수 없는 구조이므로, 역무원을 호출한 경우 비상문을 통해서 건너 갈 수 있다.
서울 경전철 서부선과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3. 역 주변 정보
서울특별시교육청동작도서관, 동작문화원,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1], 동작구보건소 등이 인접해 있다. 남쪽으로는 장승중학교, 북쪽으로는 동작구청과 노량진초등학교, 노량진역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인근에 행정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영도시장, 성대시장과 같은 전통시장이 인접하여 있고 아파트 단지도 하나둘씩 늘어나는 추세이다 보니[2] 노량진과 더불어 동작구에서 그나마 상권이 흥한 지역이다.동작구에서는 장승배기역 부근에 종합행정타운을 건설하여 현재 노량진에 있는 동작구청을 비롯한 몇몇 행정기관을 이전하려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그리고 노량진뉴타운도 추진하고 있다.
서부선이 완성되면 신대방삼거리역과 숭실대입구역이 맡고 있는 관악-동작 간의 종축 교통기능을 상당히 뺏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3.1. 출구 정보
장승배기역 출구 정보 | |
1 | 동작문화복지센터 동작구보건소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장승중학교 영도시장 |
2 | 상도2치안센터 서울신상도초등학교 상도아이파크아파트 상도동더샵아파트 |
3 | 상도4동주민센터 상도4치안센터 서울상도초등학교 |
4 | 상도지구대 동작종합사회복지관 영등포중학교 서울영화초등학교 |
5 | 노량진2동주민센터 노량진지구대 동작구청·동작구의회 신노량진시장 장성교회 |
6 | 상도2동주민센터 서울노량진초등학교 동작도서관 청화병원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47f00><bgcolor=#747f00> 연도 || ||<bgcolor=#747f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5,594명 | [3] | ||
2001년 | 19,258명 | ||||
2002년 | 20,499명 | 비고 | |||
2003년 | 22,057명 | ||||
2004년 | 22,868명 | ||||
2005년 | 22,662명 | ||||
2006년 | 22,745명 | ||||
2007년 | 22,370명 | ||||
2008년 | 22,705명 | ||||
2009년 | 22,067명 | }}}}}}}}} | |||
2010년 | 21,202명 | ||||
2011년 | 21,072명 | ||||
2012년 | 20,544명 | ||||
2013년 | 21,342명 | ||||
2014년 | 21,614명 | ||||
2015년 | 21,328명 | ||||
2016년 | 21,420명 | ||||
2017년 | 22,045명 | ||||
2018년 | 22,039명 | ||||
2019년 | 21,826명 | ||||
2020년 | 16,282명 | ||||
2021년 | 15,754명 | ||||
2022년 | 16,129명 | ||||
2023년 | 17,237명 | ||||
2024년 | 17,542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하루 평균 이용객 17,542명(2024년 기준)으로 7호선 역 중에서는 수요가 조금 저조한 편이다. 위치에 비하면 2만 명 초반대의 수치가 결코 나쁜 편은 아닌데, 불과 900m 북쪽에 1호선, 9호선 노량진역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사이는 정말 짧은 구간에도 버스노선이 매우 많은 병목구간인데, 장승배기 사거리를 지나는 시내버스 노선은 무척이나 많지만 753번 단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전부 노량진으로 향해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장승배기역 사거리를 횡축으로 왕복 경유하는 노선은 아예 753번이 유일하다. 이 코스를 편도로나마 운행하는 노선도 고작 마을버스 동작02번, 동작11번 뿐이다.[4]
7호선을 이용하면 서울 원도심으로 바로 가지 못하고 갈아타서 한참을 돌아가기 때문에 사대문안, 영등포, 여의도 방면 승객들이 대부분 버스로 이탈함에도 하루 2만 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으니, 장승배기역은 그럭저럭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이 일대가 온통 언덕배기에다[5] 교통이 정말 불편한 곳이 많아서 지하철을 이용하는 고정 수요가 꾸준히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북쪽으로는 노량진역 및 너머로 여의도와 신촌, 남쪽으로는 서울대입구역을 잇는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개통하면 저 버스들의 남북방향 연결 수요[6]가 대거 서부선으로 흡수되어 이 역의 승하차객 수가 폭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5. 승강장
7호선 승강장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상도 ↑ | |||
하 | ㅣ | ㅣ | 상 |
↓ 신대방삼거리 |
상 | 서울 지하철 7호선 | 이수·강남구청·상봉·장암 방면 |
하 | 보라매·대림·온수·석남 방면 |
6.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자양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서울 경전철 서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666> | ''' G08정거장 - 화정 - G06정거장 - G05정거장 - G04정거장 - 창릉 - G02정거장 - G01정거장 - ''' |
''' 새절 - 102정거장 - 103정거장 - 104정거장 - 105정거장 - 106정거장 - 광흥창 - 108정거장 - 109정거장 - 110정거장 - 장승배기 - 113정거장 - 114정거장 - 115정거장 - 서울대입구 -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