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42:36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현대 모터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파일:K리그1 로고(흰색).svgK리그1
구단별 유니폼 (2025)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유니폼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유니폼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유니폼
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유니폼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유니폼
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유니폼
파일:수원 FC 로고.svg 수원 FC/유니폼
파일:FC 안양 로고.svg FC 안양/유니폼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울산 HD FC/유니폼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
파일:제주 SK FC 엠블럼.svg 제주 SK FC/유니폼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유니폼
● WK리그 구단별 유니폼 K리그2 구단별 유니폼 ▶
}}}}}}}}}}}} ||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단 기본 문서 모기업 파일:현대자동차 와이드 로고.svg 현대자동차
연고지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파일:전라북도 구 무자 휘장(1997-2009).jpg 파일:전라북도 휘장.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구단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0~2005).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6~2012).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13~2017).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N
유소년 18세 이하 파일:전주영생고등학교 휘장.jpg 전주영생고등학교15세 이하 파일: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중학교 교표.jpg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중학교12세 이하 전북 현대 모터스 U-12, 전북 현대 모터스 U-10, 전북 현대 모터스 U-8유소년 축구 교실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그린스쿨.png 그린스쿨
유니폼 역대 유니폼
주요 인물 현재 선수단구단주 정의선감독 거스 포옛대표이사 정유석단장 이도현고문 박지성테크니컬 디렉터 마이클 김주장 박진섭장내 아나운서 이정표
역대 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부주장프랜차이즈 선수영구 결번
12
매드 그린 보이즈,
20
이동국
시설 관련 문서 홈구장 1군 현재 전주월드컵경기장이전 전주종합경기장, 익산종합운동장, 월명종합경기장
2군 현재 완주공설운동장이전 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
클럽 하우스 성년 율소리 클럽하우스
유소년 율소리 유소년 클럽하우스(예정)
역사 전북 현대 모터스 이전 파일:완산푸마_복구.png 완산 푸마 시기파일:전북 버팔로 휘장.png 전북 버팔로 시기파일:전북 다이노스(1995).png 전북 다이노스 시기파일:전북 현대 다이노스(1997~1998).png 파일:전북 현대 다이노스 엠블럼(1999).svg 전북 현대 다이노스 시기
시즌별 일람 역대 시즌역대 ACL 성적
K리그1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200920112014201520172018201920202021
FA컵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20002003200520202022
슈퍼컵
파일:attachment/Korean_Super_cup_trophy.jpg
2004
AFC 챔피언스 리그
파일:ACL 트로피.svg파일:ACL 트로피.svg
20062016
현재 시즌 2025(1군)2025(2군)
팬덤 관련 문서 팬덤 규모와 인기
응원 응원가서포터즈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매드 그린 보이즈 휘장.jpg 매드 그린 보이즈
팬 커뮤니티 파일:에버그린 로고.png 에버그린전북 현대 모터스 마이너 갤러리아이러브전북사커
라이벌전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현대家 더비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공성전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전설매치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호남 더비
기록 관련 기록역대 인물역대 선수단역대 등번호
논란 사건·사고매북
기타 닥치고 공격닥공매거진초록이네날개 마니아판타스틱 포그리핀 콤비우승 기념물마스코트전북 왕조리그 5연패의 서막(171029)|왕조의 위엄(181020)|전주·울산의 기적(191201)문수의 기적(201025)|전주의 기적(211106)|전주의 비극(240629)|캐슬파크의 기적(240914) | 개매패
틀 문서
역대 시즌B팀 역대 시즌역대 감독N팀 역대 감독역대 단장역대 주장N팀 역대 주장역대 장내 아나운서영구 결번스태프임대 및 군 복무 선수등록 선수B팀 등록 선수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워드마크.svg
PROGRESSIVE PIONEER
}}}}}}}}}}}} ||


1. 개요2. 루디스
2.1. 1995년
3. 훼르자
3.1. 1996년
4. 아디다스
4.1. 1997~1998년4.2. 1999년4.3. 2000~2001년4.4. 2002~2003년
5. 엄브로
5.1. 2004년
6. 리복
6.1. 2005년6.2. 2006년
7. 험멜
7.1. 2007년7.2. 2008년7.3. 2009년7.4. 2010년7.5. 2011년7.6. 2012년7.7. 2013년7.8. 2014년7.9. 2015년7.10. 2016년7.11. 2017년7.12. 2018년7.13. 2019년7.14. 2020년7.15. 2021년
8. 아디다스
8.1. 2022년8.2. 2023년8.3. 2024년8.4. 2025년


1. 개요

파일:jbfcjerseycollection2020.png

2025 K리그1 유니폼
<rowcolor=#ffdd00> 필드 골키퍼
파일:전북2025필드홈.jpg
파일:전북2025필드원정.jp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파일:전북2025GK홈.jpg
파일:전북2025GK원정.jpg
원정 서드 메모리얼 원정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투 유니폼
<rowcolor=#ffdd00> 필드 골키퍼
파일:전북 현대 2024-25 ACLT 홈 유니폼.jpg
파일:전북 현대 2024 원정 유니폼.jp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원정 원정
스폰서
<rowcolor=#ffdd00> 리그
패치
리그·컵
스폰서
ACLT
스폰서
서브
스폰서
용품
스폰서
파일:2021 K리그1 패치.jpg NEXO 파일:현대자동차 와이드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 와이드 로고 화이트.svg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svg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파일:금호타이어 CI.svg파일:금호타이어 CI 화이트.svg 파일:아디다스 심볼.svg파일:아디다스 심볼 화이트.svg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을 정리한 문서.

2018년을 제외한 2007년부터 2017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형광 녹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했는데, 이 때문에 필드에 11명의 골키퍼가 플레이 한다거나 상대팀의 시각을 혼란시키고 관중과 시청자들의 눈을 현혹시킨다는 우스갯 소리도 간혹 들었다. 최강희가 2005년에 전북 감독으로 취임하며 기존의 진한 녹색 유니폼이 운동장에서 눈에 잘 띄지 않자, 당시 용품 후원사 험멜 코리아에 눈에 잘 띄게 만들어달라고 의뢰해 나온 것이 형광 녹색 유니폼이라고 한다.[1]

모기업의 특성 덕분인지 스폰서 마킹이 자주 바뀐다. 웬만한 차량은 거의 다 거쳐갔다고 봐도 될듯. 쏘나타, 아반떼, 라비타, 베르나, 클릭, 그랜저, i40, 에쿠스[2], 아슬란, 코나가 거쳐갔으며, 2019 시즌에는 벨로스터를 거쳐 특정 차량이 아닌 성능 브랜드 현대 N으로 변경했다.

2. 루디스

2.1. 1995년

스폰서 마킹은 아반떼를 달았다. 이 디자인은 1998년까지 쓰였으며 일명 색종이 유니폼으로 불리운다. #

3. 훼르자

3.1. 1996년

파일:876acf26c20b6f26e560490fcd256858.jpg
파일:external/footballk.net/%EC%9D%B4%EA%B2%BD%EC%B6%98.jpg
파일:242872a27d0ad6a9213b56388b5087e3.jpg

용품 후원사가 훼르자로 바뀌었다. 디자인은 1995년과 동일하다.

4. 아디다스

4.1. 1997~1998년

파일:5115_2.jpg
원정 유니폼

1997년에는 용품 후원사가 아디다스로 바뀌었다. 제조사가 3개를 거쳐갔음에도 디자인은 바뀌지 않고 스폰서 마킹만 가끔씩 바뀌는 수준이다.

4.2. 1999년

파일:1999년 전북 다이노스.jpg

이때부터 녹색 위주로 바뀌었다.

4.3. 2000~2001년

파일:6793681.1.jpg파일:191E37404EAA5A2920.jpg
파일:external/footballk.net/%EB%B0%95%EC%84%B1%EB%B0%B0.jpg
파일:2000_김도훈_2.jpg파일:8db3fac1c72170105c6f207834a800f8.jpg
파일:external/m.kfa.or.kr/200864145553.jpg파일:200px-이광석.jpg
파일:external/image.auction.co.kr/8ea256800.jpg
파일:6852558.1.jpg파일:ELQ5WYK5V5A7VNRV6PW3ENRU74.jpg
파일:i14361627437.jpg

녹색을 더 살리는 쪽으로 디자인했다. 2년을 입었고 스폰서 마킹은 2000년에 베르나, EF 쏘나타, 2001년에는 라비타 등으로 바뀌었다. 2001년 하반기에는 자동차 브랜드 대신 모기업 계열사 현대캐피탈의 마킹이 붙었다.

원정 유니폼은 당시 현대자동차써비스 배구단의 유니폼과 비슷하다. 전북은 배구단처럼 원정 유니폼과 같은 템플릿에 청색을 홈 유니폼으로 하려 했으나, 1999년부터 자리잡은 녹색을 주 색상으로 계속 사용할 것을 요구한 팬들의 항의에 녹색을 홈 유니폼으로 정했다는 후문이 있다.

2023년 11월 25일, 오버 더 피치에서 이 유니폼을 모티브로 한 레트로 저지와 후드 등을 제작해 판매했다.

4.4. 2002~2003년

파일:89c00a1b4723bee1ff58e1320d49b94d.jpg파일:8437888.jpg
파일:002f68791c6a544c6937d9031eb8b8a7.jpg파일:i15641537481.jpg

녹색이 좀 더 짙어졌고 스폰서 마킹은 영문으로 클릭을 달았다.

파일:external/www.hyundai-motorsfc.com/0000001632_c.jpg파일:115300_1129_0637.jpg
2003년에는 스폰서 마킹만 아반떼 XD로 바뀌었다.

5. 엄브로

5.1. 2004년

파일:external/image.auction.co.kr/3004145a3.jpg파일:04Ȩ2_1-astralblade.jpg

용품 후원사가 엄브로로 바뀌었으나 색깔이나 디자인은 큰 변화가 없다. 스폰서 마킹은 리그용은 투싼, AFC 챔피언스 리그용은 영문으로 뉴 아반떼 XD가 들어갔다.

6. 리복

6.1. 2005년

파일:보띠2_1-astralblade.jpg파일:20051210210209615.jpg

2005년에는 리복으로 용품 후원사가 바뀌었고 흰색의 세로 줄무늬를 넣은 변화가 있는데 역대 유니폼 중 예쁘다는 평을 가장 많이 듣는다. 스폰서 마킹은 쏘나타가 들어갔다.

하지만 성적은 전기 리그 내내 부진했다.

6.2. 2006년

파일:external/m.kfa.or.kr/200612611532.jpg파일:3994776.jpg
파일:news1162386187_48071_1_m.jpg

세로 줄무늬가 없어지고 다시 단색으로 돌아왔는데 그 이유는 당시 감독 최강희가 운동장에서 잘 안보여서라고 한다. 색감도 적절하고 2006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유니폼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어 인기가 높은 유니폼으로 특히 22번의 김형범과 15번의 제칼로 유니폼이 인기가 높다. 리그용은 영문으로 투싼이, ACL용으로는 현대자동차가 들어갔다.

7. 험멜

7.1. 2007년

용품 후원사가 험멜 코리아(대원이노스)로 바뀌었는데 공개되자마자 팬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었다. 밝은 형광 녹색으로 바뀐 이유는 최강희가 운동장에서 녹색 유니폼 입은 선수들이 잘 안보여서라고 한다.

그러나 팬들에게 하도 욕을 먹어 하반기부터는 바지를 검은색으로 바꿨다. 스폰서 마킹은 그랜저.

7.2. 2008년

또 다시 형광으로 나오자 전북 구단 홈페이지와 험멜 코리아 홈페이지에는 이를 성토하는 팬들의 글로 도배되었다.

디자인면에서는 전년의 비대칭 디자인을 대칭 디자인으로 바꾸고 번호 폰트를 바꾸는 등 좀 더 무난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장점은 저렴한 가격으로 2006년 리복 유니폼은 6만원이었고 다른 팀의 아디다스 유니폼은 기본 8만원인 것에 비해 험멜 유니폼은 단돈 5만원이다.

19번 조재진 유니폼이 인기가 높았다. 스폰서 마킹은 2년 연속으로 그랜저.

7.3. 2009년

파일:h_uniform2009_01.jpg파일:h_uniform2009_02.jpg

2008년 유니폼과 아주 조금 차이가 있다. 2009년 K리그 첫 우승으로 인기가 높은 유니폼. 스폰서 마킹은 3년 연속 그랜저.

7.4. 2010년

파일:h_uniform2010_01.jpg파일:h_uniform2010_02.jpg

3년 동안 별로 바꾼게 없어서 그랬는지 비대칭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스폰서 마킹은 리그용은 쏘나타, ACL용은 현대자동차가 들어갔다.

7.5. 2011년

파일:external/dimg.donga.com/42154905.2.jpg
파일:h_uniform2011_01.jpg파일:h_uniform2011_02.jpg

큰 변화로 검은색의 세로 줄무늬가 들어갔는데 다들 수박이라고 부른다. 사진이 공개되자마자 난리가 났으나 K리그 우승을 차지해 그럭저럭 가치가 올라갔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스폰서 마킹은 리그용은 쏘나타, ACL용은 현대자동차가 들어갔다.

7.6. 2012년

파일:h_uniform2012_01.jpg파일:h_uniform2012_02.jpg
파일:external/31.media.tumblr.com/tumblr_inline_mznntc3Pon1sxhgz2.jpg
왼쪽부터 GK 홈, 원정, 홈, GK 원정

파일:external/www.seoulutd.com/58700f8c51012fa7a477a751da693875.jpg

수박스러운 줄무늬가 사라진 대신 가슴팍에 줄무늬가 들어갔다.

7.7. 2013년

파일:external/dimg.donga.com/57995373.4.jpg
파일:h_uniform2013_01.jpg파일:h_uniform2013_02.jpg

그라데이션 효과가 들어가 호평을 받았다. 첫 공개 당시의 스폰서 마킹은 TRUE PRESTIGE EQUUS였으나 이후 SONATA the brilliant로 바뀌었다. 팬들 사이에서는 역대급 유니폼으로 평가받는다.

7.8. 2014년

파일:external/www.hummelmall.co.kr/1396419480.jpg
파일:external/img.tf.co.kr/20147146140758929200.jpg
파일:external/m.xportsnews.com/1416465891107.jpg
파일:external/tmtj1.tvcps.com/l_2014040601000284000016441.jpg
파일:h_uniform2014_01.jpg파일:h_uniform2014_02.jpg

20주년 유니폼으로 구단 역사를 반영했는지 유니폼 색도 기존 형광 녹색보다 더 어둡게 나왔다. 엠블럼도 황금색으로 바꾸고 그라데이션 효과도 들어가는 등 곳곳에 전북을 상징하는 요소를 배치하여 디자인 면에서 호평받았다. 또한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검은색으로 나온 원정 유니폼도 더불어 호평을 받았다.[3] 이 유니폼을 입고 K리그 클래식에 우승했다.
스폰서 마킹은 AVANTE로 엠블럼과 마찬가지로 황금색이다. ACL용은 현대자동차.

7.9. 2015년

파일:external/pbs.twimg.com/B3qjzU7CIAARfOX.jpg
파일:external/m.xportsnews.com/1439423202595.jpg
파일:external/img.tf.co.kr/201531781432646446.jpg
파일:h_uniform2015_01.jpg파일:h_uniform2015_02.jpg

팬들 사이에서는 심플함 때문에 호불호가 갈렸으며, 원정 유니폼은 2년 만에 흰색으로 돌아갔다.
스폰서 마킹은 첫 공개 때는 PREMIUM COMFORT ASLAN이었으나 AVANTE로 바뀌었다. ACL은 현대자동차.

7.10. 2016년

파일:h_uniform2016_01.jpg파일:h_uniform2016_02.png

2015 시즌 마지막 홈경기를 4일 앞둔 11월 17일부터 하루에 한 장씩 예고 사진을 공개했다.

파일:external/sccdn.chosun.com/2015111701001938300127391.jpg
파일:external/fbcdn-sphotos-e-a.akamaihd.net/12244698_724518020983408_3453893565844481673_o.jpg
파일:external/scontent.xx.fbcdn.net/12244691_724920107609866_3162873242639966982_o.jpg
파일:external/fbcdn-sphotos-e-a.akamaihd.net/12239415_725403697561507_997909491698333611_o.jpg

파일:external/img.sportalkorea.com/SK004_20151121_130201_1448092684.jpg
2015 시즌 홈 마지막 경기인 성남전에 입은 선수들.

파일:2016 JBFC Away Uniform.jpg
UAE 전지훈련 기간에 원정 유니폼을 공개했다.

파일:external/image3.inews24.com/145348357144_1_072412.jpg

리그는 승부조작으로 승점이 삭감되어 준우승으로 끝났으나 10년 만에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한 유니폼이 되었다.

7.11. 2017년

파일:external/www.hyundai-motorsfc.com/1(262).jpg
파일:h_uniform2017_01.jpg 파일:h_uniform2017_02.jpg

주제는 승리의 여명(The Dawn of Victory)이라고 하며, 팀 컬러인 녹색 바탕에 현대자동차의 파란색 컬러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었다. 유니폼 디자이너는 Heich es Heich의 대표 한상혁으로, 현대자동차그룹에서 산하 스포츠단의 디자인을 통일시켜 후면에 'V' 디자인이 KIA 타이거즈 등 다른 산하 팀들에도 들어갔다. 또한 번호 폰트도 동일하다.

팬들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좋지 않은데, 특히나 서포터즈 매드 그린 보이즈는 팀의 전통적인 대표 색상인 녹색을 상징을 훼손시키려 한다는 이유로 불매 선언까지 했을 정도.

파일:20170424060208632.jpg
전주종합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하는 기념으로 1999년 유니폼 복각판을 제작해 4월 23일 포항전에서 입었는데, 포항 유니폼 역시 1998~1999년 복각이라 레트로 경기가 됐다. #

7.12. 2018년

파일:external/www.hyundai-motorsfc.com/uploadFile/data/%BD%C5%B1%D4%20%C0%AF%B4%CF%C6%FB[1](0).jpg
파일:h_uniform2018_01.jpg 파일:h_uniform2018_02.jpg

연두색을 버리고 진한 녹색으로 돌아갔다. 다만 첫 공개일인 2017년 최종전엔 전용 마킹은 따로 만들지 않았기에 선수 번호가 안 보인다는 지적이 있었다.

파일:홈킷.jpg
ACL 홈

파일:20180220111_20180220231240483.jpg
ACL 원정

7.13. 2019년

파일:h_uniform2019_01.jpg 파일:h_uniform2019_02.jpg
파일:전북 2019홈.jpg 파일:전북 2019홈2.jpg

2018년 12월 2일 경남 FC와의 K리그1 최종전에 처음 선보였다. 1시즌만에 진녹색에서 형광녹색으로 돌아갔다.

원정은 흰색, 서드(밀리터리)는 진녹색이다.

7.14. 2020년

파일:전북현대 2020년 홈 유니폼.jpg 파일:전북현대 2020년 어웨이 유니폼.jpg
파일:전북현대 2020년 GK 홈 유니폼.jpg 파일:전북현대 2020년 GK 어웨이 유니폼.jpg
파일:h_uniform2020_01.jpg 파일:h_uniform2020_02.jpg

2019년 12월 1일 강원 FC와의 K리그1 최종전에 처음 선보였다.

홈, 원정, 서드 모두 작년과 색상이 같다. 또한 다른 현대차그룹 스포츠단과는 달리 뒷면에 브이가 없어졌다.

7월 1일, 전북이 아디다스의 후원 제안을 거절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계약 기간 기본 5년에 전북이 원한다면 5년 추가 가능, 한국 최대 규모의 금액 지원, 아디다스라는 브랜드의 가치, 당초 아디다스가 제시한 조건에 추가로 몇가지를 더 이끌어냈음에도 반년을 질질 끌더니 끝내 알 수 없는 이유로 거절했다는 것이다.

이에 팬들은 유스 지원 문제 때문으로 추측했는데, 전북 측에서는 거절이 아닌 유보라고 밝혔다. 기사

7.15. 2021년

파일:146862463_3282186225216562_5859449624340189802_o.jpg 파일:147163411_3282186218549896_1615362056077324155_o.jpg
파일:147488699_3282186228549895_5478648823239932751_o.jpg 파일:146458278_3282186221883229_7052151005124886316_o.jpg
파일:h_uniform2021_01.jpg 파일:h_uniform2021_02.jpg



2월 8일에 공개했으며, 구단은 유니폼에 대해 "팀 고유의 색인 형광녹색을 바탕으로 심플하고 모던함을 포인트로 현대자동차의 고성능차량 브랜드인 N을 삽입해 절제되면서 강인함을 표현했다"고 밝혔다. #

리그 우승 패치가 왼쪽 소매에 부착됐고 FA컵 우승 패치가 상의 가운데에 부착되었다.
파일:242212618_382775719892239_2257623217543465640_n.jpg 파일:242207143_394736728914573_6942502597726130738_n.jpg
2021년 9월 17일에는 코로나19로 고생하는 의료진에 감사한 마음을 표현한다는 뜻의 '의료진 덕분에' 헌정 유니폼을 선보였다. 상·하의 모두 의료진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담은 글귀들을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넣었으며, 9월 18일과 25일 두 차례 홈 경기에 선수들이 착용하고 경기에 나섰다.

8. 아디다스

파일:전북현대 2022년 유니폼 아디다스.jpg


2021 시즌을 끝으로 15년간 동행한 험멜 코리아와 작별하고 2022년 1월 5일 오전 9시경 아디다스와의 계약을 공식 발표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5년까지 4년이다.

8.1. 2022년

파일:전북현대 2022년 홈 유니폼.jpg 파일:전북현대 2022년 원정 유니폼.jpg
파일:h_uniform2022_01.jpg 파일:h_uniform2022_02.jpg

홈 유니폼은 1월 5일에 아디다스 계약 오피셜과 동시에 발표했다. 험멜 시절 호불호가 크게 갈린 형광녹색에서 벗어나 과거의 다크 그린으로 복귀했으며 골키퍼 유니폼은 울산 현대와 동일한 2020년에 생산한 아디프로 저지를 사용했다.

이번에 아디다스와 계약한 전북과 울산 모두 마이아디다스라는 아디다스에서 운영하는 커스텀 제작 사이트에서 유니폼 디자인을 선택하고 대량 발주해 공급받는 방식이다. 해당 사이트에서 똑같이 제작이 가능하며 유니폼의 넥라인 안쪽을 보면 miadidas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해당 사이트에서 제작했다는 것을 뜻한다.

전북 역시 울산과 동일하게 초기 매물이 빠르게 팔려나가 역시 아디다스라는 위용을 보이는듯 했으나 초기 매물이 품절된 뒤에도 재입고 소식이 전혀 들리지 않아 의문을 표하던 중 아디다스측으로부터 코로나 등의 이유로 추가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파일:Jeonbuk_Memorial.jpg 파일:Jeonbuk_Memorial_GK.jpg
광복의 의미를 새기고 독립운동가들을 기리기 위한 메모리얼 유니폼을 공개하였다. 오리지널 디자인이 아닌 2년 전에 발매한 콘디보 20 검은색 기본 킷과, 마찬가지로 2년 전에 발매한 아디프로 노란색 기본 킷에 패치만 붙인 유니폼이다. 2022년 8월 29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 입었으며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8.2. 2023년

파일:330969838_194412273183594_3586428539508990416_n.jpg파일:330998375_3277744ㅇ419206324_1410907475679497185_n.jpg파일:전북현대 2023 서드 유니폼.jpg파일:331542837_736346084765615_8035695086951650456_n.jpg



홈, 원정 모두 라임색이 들어가며 템플릿은 울산과 동일한 mi License 22다.

아디다스의 후원을 받는 전북이나 울산 모두 홍보 자료에 전세계 58개 구단 한정을 강조하며 마치 희소성이 높은 유니폼인 것처럼 홍보하나, 58개 팀이 쓴다는 것부터 희소성 제로에 템플릿 또한 아디다스에서 티어가 낮은 팀들에게 보급하는 템플릿이다. 그리고 전북 티저 영상에는 Top tier in Asia라는 문구가 들어가는데 # 전북은 아시아 탑 티어 팀이 아닐 뿐더러 아시아에서 아디다스의 후원을 받는 클럽팀들 중 신형 템플릿을 받은 팀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뿐이다. 고로 아시아 탑 티어는 요코하마지 전북이 아니다.

6월 3일에는 형광녹색을 모티브로 한 라임색의 서드 유니폼을 발표했다.

8.3. 2024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2024 시즌 홈 유니폼2.jp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2024 시즌 원정 유니폼2.jp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30주년 유니폼.png <nopad>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2024 시즌 메모리얼 유니폼.png 파일:전북 현대 2024 N 에디션 유니폼.jp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2024 시즌 GK홈 유니폼.jp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2024 시즌 GK원정 유니폼.jpg
원정 30주년 메모리얼 N 에디션 GK 홈 GK 원정

8.4. 2025년





[1] 세리에 A는 진한 녹색 유니폼을 리그 차원에서 원정 유니폼으로 못 쓰도록 제한을 걸었다.[2] 2013 시즌 초반에 잠깐 들어갔고, 이후 쏘나타로 바뀌었다.[3] 당시 K리그 클래식 팀 중 밝은 색상을 홈으로 하는 팀이 전남 드래곤즈 단 한 팀이라 전남 원정에서 홈 유니폼을 입었다. 4월 6일 서울전과 9월 10일 부산전에 딱 두 번 입었다. 하늘색을 사용한 대구와 노란색을 사용한 광주는 당시 2부 리그 챌린지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