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현대 모터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 K리그1 구단별 유니폼 (2025)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 | 강원 FC/유니폼 | |
| 광주 FC/유니폼 | ||
| 김천 상무 FC/유니폼 | ||
| 대구 FC/유니폼 | ||
| 대전 하나 시티즌/유니폼 | ||
| FC 서울/유니폼 | ||
| 수원 FC/유니폼 | ||
| FC 안양/유니폼 | ||
| 울산 HD FC/유니폼 | ||
|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 | ||
| 제주 SK FC/유니폼 | ||
| 포항 스틸러스/유니폼 | ||
● WK리그 구단별 유니폼 | K리그2 구단별 유니폼 ▶ |
1. 개요
2025 K리그1 유니폼 | |||||
<rowcolor=#ffdd00> 필드 | 골키퍼 | ||||
| | | | | |
홈 | 원정 | 서드 | 메모리얼 | 홈 | 원정 |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투 유니폼 | |||||
<rowcolor=#ffdd00> 필드 | 골키퍼 | ||||
| | | | | |
홈 | 원정 | 홈 | 원정 | ||
스폰서 | |||||
<rowcolor=#ffdd00> 리그 패치 | 리그·컵 스폰서 | ACLT 스폰서 | 서브 스폰서 | 용품 스폰서 | |
| NEXO | | | | |
전북 현대 모터스의 유니폼을 정리한 문서.
2018년을 제외한 2007년부터 2017년,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형광 녹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했는데, 이 때문에 필드에 11명의 골키퍼가 플레이 한다거나 상대팀의 시각을 혼란시키고 관중과 시청자들의 눈을 현혹시킨다는 우스갯 소리도 간혹 들었다. 최강희가 2005년에 전북 감독으로 취임하며 기존의 진한 녹색 유니폼이 운동장에서 눈에 잘 띄지 않자, 당시 용품 후원사 험멜 코리아에 눈에 잘 띄게 만들어달라고 의뢰해 나온 것이 형광 녹색 유니폼이라고 한다.[1]
모기업의 특성 덕분인지 스폰서 마킹이 자주 바뀐다. 웬만한 차량은 거의 다 거쳐갔다고 봐도 될듯. 쏘나타, 아반떼, 라비타, 베르나, 클릭, 그랜저, i40,
2. 루디스
2.1. 1995년
스폰서 마킹은 아반떼를 달았다. 이 디자인은 1998년까지 쓰였으며 일명 색종이 유니폼으로 불리운다. #3. 훼르자
3.1. 1996년
용품 후원사가 훼르자로 바뀌었다. 디자인은 1995년과 동일하다.
4. 아디다스
4.1. 1997~1998년
원정 유니폼
1997년에는 용품 후원사가 아디다스로 바뀌었다. 제조사가 3개를 거쳐갔음에도 디자인은 바뀌지 않고 스폰서 마킹만 가끔씩 바뀌는 수준이다.
4.2. 1999년
이때부터 녹색 위주로 바뀌었다.
4.3. 2000~2001년
녹색을 더 살리는 쪽으로 디자인했다. 2년을 입었고 스폰서 마킹은 2000년에 베르나, EF 쏘나타, 2001년에는 라비타 등으로 바뀌었다. 2001년 하반기에는 자동차 브랜드 대신 모기업 계열사 현대캐피탈의 마킹이 붙었다.
원정 유니폼은 당시 현대자동차써비스 배구단의 유니폼과 비슷하다. 전북은 배구단처럼 원정 유니폼과 같은 템플릿에 청색을 홈 유니폼으로 하려 했으나, 1999년부터 자리잡은 녹색을 주 색상으로 계속 사용할 것을 요구한 팬들의 항의에 녹색을 홈 유니폼으로 정했다는 후문이 있다.
2023년 11월 25일, 오버 더 피치에서 이 유니폼을 모티브로 한 레트로 저지와 후드 등을 제작해 판매했다.
4.4. 2002~2003년
녹색이 좀 더 짙어졌고 스폰서 마킹은 영문으로 클릭을 달았다.
2003년에는 스폰서 마킹만 아반떼 XD로 바뀌었다.
5. 엄브로
5.1. 2004년
용품 후원사가 엄브로로 바뀌었으나 색깔이나 디자인은 큰 변화가 없다. 스폰서 마킹은 리그용은 투싼, AFC 챔피언스 리그용은 영문으로 뉴 아반떼 XD가 들어갔다.
6. 리복
6.1. 2005년
2005년에는 리복으로 용품 후원사가 바뀌었고 흰색의 세로 줄무늬를 넣은 변화가 있는데 역대 유니폼 중 예쁘다는 평을 가장 많이 듣는다. 스폰서 마킹은 쏘나타가 들어갔다.
하지만 성적은 전기 리그 내내 부진했다.
6.2. 2006년
세로 줄무늬가 없어지고 다시 단색으로 돌아왔는데 그 이유는 당시 감독 최강희가 운동장에서 잘 안보여서라고 한다. 색감도 적절하고 2006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유니폼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어 인기가 높은 유니폼으로 특히 22번의 김형범과 15번의 제칼로 유니폼이 인기가 높다. 리그용은 영문으로 투싼이, ACL용으로는 현대자동차가 들어갔다.
7. 험멜
7.1. 2007년
용품 후원사가 험멜 코리아(대원이노스)로 바뀌었는데 공개되자마자 팬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었다. 밝은 형광 녹색으로 바뀐 이유는 최강희가 운동장에서 녹색 유니폼 입은 선수들이 잘 안보여서라고 한다.그러나 팬들에게 하도 욕을 먹어 하반기부터는 바지를 검은색으로 바꿨다. 스폰서 마킹은 그랜저.
7.2. 2008년
또 다시 형광으로 나오자 전북 구단 홈페이지와 험멜 코리아 홈페이지에는 이를 성토하는 팬들의 글로 도배되었다.디자인면에서는 전년의 비대칭 디자인을 대칭 디자인으로 바꾸고 번호 폰트를 바꾸는 등 좀 더 무난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장점은 저렴한 가격으로 2006년 리복 유니폼은 6만원이었고 다른 팀의 아디다스 유니폼은 기본 8만원인 것에 비해 험멜 유니폼은 단돈 5만원이다.
19번 조재진 유니폼이 인기가 높았다. 스폰서 마킹은 2년 연속으로 그랜저.
7.3. 2009년
2008년 유니폼과 아주 조금 차이가 있다. 2009년 K리그 첫 우승으로 인기가 높은 유니폼. 스폰서 마킹은 3년 연속 그랜저.
7.4. 2010년
3년 동안 별로 바꾼게 없어서 그랬는지 비대칭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스폰서 마킹은 리그용은 쏘나타, ACL용은 현대자동차가 들어갔다.
7.5. 2011년
큰 변화로 검은색의 세로 줄무늬가 들어갔는데 다들 수박이라고 부른다. 사진이 공개되자마자 난리가 났으나 K리그 우승을 차지해 그럭저럭 가치가 올라갔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스폰서 마킹은 리그용은 쏘나타, ACL용은 현대자동차가 들어갔다.
7.6. 2012년
왼쪽부터 GK 홈, 원정, 홈, GK 원정
수박스러운 줄무늬가 사라진 대신 가슴팍에 줄무늬가 들어갔다.
7.7. 2013년
그라데이션 효과가 들어가 호평을 받았다. 첫 공개 당시의 스폰서 마킹은 TRUE PRESTIGE EQUUS였으나 이후 SONATA the brilliant로 바뀌었다. 팬들 사이에서는 역대급 유니폼으로 평가받는다.
7.8. 2014년
20주년 유니폼으로 구단 역사를 반영했는지 유니폼 색도 기존 형광 녹색보다 더 어둡게 나왔다. 엠블럼도 황금색으로 바꾸고 그라데이션 효과도 들어가는 등 곳곳에 전북을 상징하는 요소를 배치하여 디자인 면에서 호평받았다. 또한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검은색으로 나온 원정 유니폼도 더불어 호평을 받았다.[3] 이 유니폼을 입고 K리그 클래식에 우승했다.
스폰서 마킹은 AVANTE로 엠블럼과 마찬가지로 황금색이다. ACL용은 현대자동차.
7.9. 2015년
팬들 사이에서는 심플함 때문에 호불호가 갈렸으며, 원정 유니폼은 2년 만에 흰색으로 돌아갔다.
스폰서 마킹은 첫 공개 때는 PREMIUM COMFORT ASLAN이었으나 AVANTE로 바뀌었다. ACL은 현대자동차.
7.10. 2016년
2015 시즌 마지막 홈경기를 4일 앞둔 11월 17일부터 하루에 한 장씩 예고 사진을 공개했다.
2015 시즌 홈 마지막 경기인 성남전에 입은 선수들.
UAE 전지훈련 기간에 원정 유니폼을 공개했다.
리그는 승부조작으로 승점이 삭감되어 준우승으로 끝났으나 10년 만에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한 유니폼이 되었다.
7.11. 2017년
| |
주제는 승리의 여명(The Dawn of Victory)이라고 하며, 팀 컬러인 녹색 바탕에 현대자동차의 파란색 컬러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었다. 유니폼 디자이너는 Heich es Heich의 대표 한상혁으로, 현대자동차그룹에서 산하 스포츠단의 디자인을 통일시켜 후면에 'V' 디자인이 KIA 타이거즈 등 다른 산하 팀들에도 들어갔다. 또한 번호 폰트도 동일하다.
팬들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좋지 않은데, 특히나 서포터즈 매드 그린 보이즈는 팀의 전통적인 대표 색상인 녹색을 상징을 훼손시키려 한다는 이유로 불매 선언까지 했을 정도.
전주종합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하는 기념으로 1999년 유니폼 복각판을 제작해 4월 23일 포항전에서 입었는데, 포항 유니폼 역시 1998~1999년 복각이라 레트로 경기가 됐다. #
7.12. 2018년
| |
연두색을 버리고 진한 녹색으로 돌아갔다. 다만 첫 공개일인 2017년 최종전엔 전용 마킹은 따로 만들지 않았기에 선수 번호가 안 보인다는 지적이 있었다.
ACL 홈
ACL 원정
7.13. 2019년
| |
| |
2018년 12월 2일 경남 FC와의 K리그1 최종전에 처음 선보였다. 1시즌만에 진녹색에서 형광녹색으로 돌아갔다.
원정은 흰색, 서드(밀리터리)는 진녹색이다.
7.14. 2020년
| |
| |
| |
2019년 12월 1일 강원 FC와의 K리그1 최종전에 처음 선보였다.
홈, 원정, 서드 모두 작년과 색상이 같다. 또한 다른 현대차그룹 스포츠단과는 달리 뒷면에 브이가 없어졌다.
7월 1일, 전북이 아디다스의 후원 제안을 거절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계약 기간 기본 5년에 전북이 원한다면 5년 추가 가능, 한국 최대 규모의 금액 지원, 아디다스라는 브랜드의 가치, 당초 아디다스가 제시한 조건에 추가로 몇가지를 더 이끌어냈음에도 반년을 질질 끌더니 끝내 알 수 없는 이유로 거절했다는 것이다.
이에 팬들은 유스 지원 문제 때문으로 추측했는데, 전북 측에서는 거절이 아닌 유보라고 밝혔다. 기사
7.15. 2021년
| |
| |
| |
2월 8일에 공개했으며, 구단은 유니폼에 대해 "팀 고유의 색인 형광녹색을 바탕으로 심플하고 모던함을 포인트로 현대자동차의 고성능차량 브랜드인 N을 삽입해 절제되면서 강인함을 표현했다"고 밝혔다. #
리그 우승 패치가 왼쪽 소매에 부착됐고 FA컵 우승 패치가 상의 가운데에 부착되었다.
| |
8. 아디다스
2021 시즌을 끝으로 15년간 동행한 험멜 코리아와 작별하고 2022년 1월 5일 오전 9시경 아디다스와의 계약을 공식 발표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5년까지 4년이다.
8.1. 2022년
| |
| |
홈 유니폼은 1월 5일에 아디다스 계약 오피셜과 동시에 발표했다. 험멜 시절 호불호가 크게 갈린 형광녹색에서 벗어나 과거의 다크 그린으로 복귀했으며 골키퍼 유니폼은 울산 현대와 동일한 2020년에 생산한 아디프로 저지를 사용했다.
이번에 아디다스와 계약한 전북과 울산 모두 마이아디다스라는 아디다스에서 운영하는 커스텀 제작 사이트에서 유니폼 디자인을 선택하고 대량 발주해 공급받는 방식이다. 해당 사이트에서 똑같이 제작이 가능하며 유니폼의 넥라인 안쪽을 보면 miadidas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해당 사이트에서 제작했다는 것을 뜻한다.
전북 역시 울산과 동일하게 초기 매물이 빠르게 팔려나가 역시 아디다스라는 위용을 보이는듯 했으나 초기 매물이 품절된 뒤에도 재입고 소식이 전혀 들리지 않아 의문을 표하던 중 아디다스측으로부터 코로나 등의 이유로 추가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 |
8.2. 2023년
홈, 원정 모두 라임색이 들어가며 템플릿은 울산과 동일한 mi License 22다.
아디다스의 후원을 받는 전북이나 울산 모두 홍보 자료에 전세계 58개 구단 한정을 강조하며 마치 희소성이 높은 유니폼인 것처럼 홍보하나, 58개 팀이 쓴다는 것부터 희소성 제로에 템플릿 또한 아디다스에서 티어가 낮은 팀들에게 보급하는 템플릿이다. 그리고 전북 티저 영상에는 Top tier in Asia라는 문구가 들어가는데 # 전북은 아시아 탑 티어 팀이 아닐 뿐더러 아시아에서 아디다스의 후원을 받는 클럽팀들 중 신형 템플릿을 받은 팀은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뿐이다. 고로 아시아 탑 티어는 요코하마지 전북이 아니다.
6월 3일에는 형광녹색을 모티브로 한 라임색의 서드 유니폼을 발표했다.
8.3. 2024년
| | | <nopad> | | | |
홈 | 원정 | 30주년 | 메모리얼 | N 에디션 | GK 홈 | GK 원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