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전북 현대 모터스 정규 시즌 | ||||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전북 현대 모터스 K리그1 2025 시즌 | |||||||||||
| 전북 현대 모터스 | ||||||||||
<rowcolor=#035445>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차 | 승점 | |||
3 | 1 | 1 | 0 | 0 | 2 | 1 | +1 | 3 |
| |
전북 현대 모터스 2025 시즌 | |
<colbgcolor=#eeeeee,#333333><colcolor=#000000,#dddddd> 구단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정의선 |
대표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정유석 |
고문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박지성 |
단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도현 |
테크니컬 디렉터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마이클 김 |
감독 | [[우루과이| ]][[틀:국기| ]][[틀:국기| ]] 거스 포옛 |
수석 코치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마우리시오 타리코 |
주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박진섭 |
부주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영빈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영재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송범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승우 |
성적 | |
| 3위 (1전 1승 0무 0패 2득점 1실점 3승점) |
| 8강 진출 (2전 2승 0무 0패 5득점 0실점) |
| 3라운드 예정 (#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
성적 | |
승률 | 100.00% 3전 3승 0무 0패 7득점 1실점 |
최다 득점 | 콤파뇨, 박진섭 (2득점) |
최다 도움 | 이승우, 박진섭, 이영재, 김태환, 전병관, 권창훈 (1도움) |
1. 개요2. 프롤로그 - Progressive Pioneer3. 선수단4. 스태프
K리그19.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투10.
코리아컵
4.1. 코칭스태프 변동
5. 유니폼 및 스폰서6. 이적 시장7. 프리 시즌8. 10.1. 16강 vs (홈/원정, : ) (월 일)
11. 수상[clearfix]
1. 개요
|
2. 프롤로그 - Progressive Pioneer
|
|
포옛 감독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전북은 다시 한 번 '왕조 부활'을 목표로, 강하고 단단한 팀으로 거듭날 준비를 마쳤다. 이번 시즌 전북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한 확고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3. 선수단
1 김정훈 · 2 김영빈 [[부주장| VC ]] · 3 최우진 · 4 박진섭 [[주장|C ]] · 6 이수빈 10 송민규 · 11 이승우 [[부주장| VC ]] · 13 강상윤 · 14 전진우 · 15 성진영 · 16 박재용 · 17 진태호 · 18 이준호 19 보아텡 28 이영재 [[부주장| VC ]] · 29 김준영 · 30 안드리고 · 31 송범근 [[부주장|VC ]] · 33 전병관 · 34 엄승민 · 36 장남웅 · 39 강현종 44 김하준 · 50 황정구 · 63 한석진 · 66 서정혁 · 70 이재준 · 71 한교원 · 72 황승준 · 73 김민재 77 김태현 · 81 전지완 · 88 윤현석 · 90 정상운 · 91 공시현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9d800>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성명 | 생년월일 | 신체 조건 | 비고 | |
1 | | GK | 김정훈 | Kim Jeong-hoon | 2001.04.20 | 188cm / 80kg | ||
2 | | DF | 김영빈 | Kim Yeong-bin | 1991.09.20 | 184cm / 79kg | 부주장 | |
3 | | DF | 최우진 | Choi Woo-jin | 2004.07.18 | 175cm / 70kg | U-22 | |
4 | | MF | 박진섭 | Park Jin-seop | 1995.10.23 | 182cm / 75kg | 주장 | |
6 | | MF | 이수빈 | Lee Soo-bin | 2000.05.07 | 180cm / 70kg | ||
7 | | FW | 에르난데스 | Hernandes Rodrigues | 1999.09.02 | 183cm / 75kg | ||
8 | | MF | 한국영 | Han Kook-young | 1990.04.19 | 183cm / 76kg | ||
9 | | FW | 티아고 | Tiago Pereira da Silva | 1993.10.28 | 190cm / 75kg | ||
10 | | FW | 송민규 | Song Min-kyu | 1999.09.12 | 179cm / 72kg | ||
11 | | FW | 이승우 | Lee Seung-woo | 1998.01.06 | 170cm / 60kg | 부주장 | |
13 | | MF | 강상윤 | Kang Sang-yoon | 2004.05.31 | 171cm / 64kg | U-22 | |
14 | | FW | 전진우 | Jeon Jin-woo | 1999.09.09 | 182cm / 70kg | ||
15 | | DF | 성진영 | Sung Jin-young | 2003.05.21 | 182cm / 80kg | U-22 | |
16 | | FW | 박재용 | Bak Jae-yong | 2000.03.13 | 193cm / 88kg | ||
17 | | DF | 진태호 | Jin Tae-ho | 2006.01. 20 | 171cm / 57kg | U-22 | |
18 | | FW | 이준호 | Lee Jun-ho | 2002.09.28 | 188cm / 86kg | ||
19 | | MF | 보아텡 | Nana Boateng | 1994.05.10 | 180cm / 76kg | ||
21 | | DF | 안현범 | Ahn Hyun-beom | 1994.12.21 | 178cm / 73kg | ||
22 | | MF | 권창훈 | Kwon Chang-hoon | 1994.06.30 | 174cm / 69kg | ||
23 | | DF | 김태환 | Kim Tae-hwan | 1989.07.24 | 177cm / 72kg | ||
24 | | DF | 박규민 | Park Kyu-min | 2001.06.08 | 182cm / 72kg | ||
25 | | DF | 최철순 | Choi Chul-soon | 1987.02.08 | 173cm / 70kg | ||
26 | | DF | 홍정호 | Hong Jeong-ho | 1989.08.12 | 187cm / 82kg | ||
28 | | MF | 이영재 | Lee Yeong-jae | 1994.09.13 | 174cm / 60kg | 부주장 | |
29 | | DF | 김준영 | Kim Jun-young | 2004.05.31 | 178cm / | U-22 | |
30 | | MF | 안드리고 | Andrigo | 1995.02.27 | 170cm / 71kg | ||
31 | | GK | 송범근 | Song Bum-keun | 1997.10.15 | 196cm / 90kg | 부주장 | |
33 | | FW | 전병관 | Jeon Byeong-gwan | 2002.11.10 | 178cm / 72kg | ||
34 | | FW | 엄승민 | Eom Seung-min | 2003.05.02 | 181cm / 78kg | ||
36 | | MF | 장남웅 | Jang Nam-woong | 2004.02.09 | 184cm / 79kg | ||
39 | | FW | 강현종 | Kang Hyun-jong | 2004.01.13 | 185cm / kg | ||
44 | | DF | 김하준 | Kim Ha-jun | 2002.07.17 | 188cm / 78kg | ||
50 | | DF | 황정구 | Hwang Jung-goo | 2005.07.22 | 188cm / kg | ||
63 | | DF | 한석진 | Han Seok-jin | 2007. 12. 19 | 174cm / 70kg | U-22 | |
66 | | DF | 서정혁 | Seo Jeong-hyuk | 2006.03.09 | 177cm / 70kg | U-22 | |
70 | | FW | 이재준 | Lee Jae-jun | 2006.10.23 | 178cm / kg | U-22 | |
71 | | FW | 한교원 | Han Kyo-won | 1990.06.15 | 182cm / 73kg | ||
72 | | DF | 황승준 | Hwang Seung-jun | 2005.08.03 | 179cm / 69kg | U-22 | |
73 | | MF | 김민재 | Kim Min-jae | 2004.06.07 | 179cm / kg | U-22 | |
77 | | DF | 김태현 | Kim Tae-hyun | 1996.12.19 | 175cm / 71kg | ||
81 | | GK | 전지완 | Jeon Ji-wan | 2004.05.14 | 190cm / 80kg | U-22 | |
88 | | MF | 윤현석 | Yoon Hyun-seok | 2003.11.08 | 178cm / kg | U-22 | |
90 | | FW | 정상운 | Jeong Sang-woon | 2003.04.03 | 190cm / 78kg | ||
91 | | GK | 공시현 | Gong Si-hyeon | 2005.02.23 | 190cm / 78kg | U-22 | |
94 | | DF | 연제운 | Yeon Je-woon | 1994.08.28 | 185cm / 78kg | ||
96 | | FW | 콤파뇨 | Andrea Compagno | 1996.04.22 | 195cm / 84kg | ||
97 | | MF | 김진규 | Kim Jin-gyu | 1997.02.24 | 177cm / 68kg | ||
99 | | FW | 김창훈 | Kim Chang-hun | 2004.10.23 | 173cm / 69kg | U-22 | |
[[전북 현대 모터스/2025년|{{{#034f36 2025 시즌}}}]] 구단 기본 정보 | ||||||||
구단주: 정의선 {{{#ffffff /}}} 대표이사: 정유석 {{{#ffffff /}}} 단장: 이도현 {{{#ffffff /}}} 고문: 박지성 {{{#ffffff /}}} 테크니컬 디렉터: 마이클 김 {{{#ffffff /}}} 감독: 거스 포옛 홈구장: 전주월드컵경기장 |
3.1. 주장단
주장단 | ||||
4 박진섭 (C) | 2 김영빈 (VC) | 28 이영재 (3C) | 11 이승우 (4C) | 31 송범근 (5C) |
3.2. 외국인 및 U-22 쿼터 현황
외국인 쿼터 | |||||
| | | | | |
7 에르난데스 (Hernandes) | 9 티아고 (Tiago Orobó) | 19 보아텡 (Nana Boateng) | 30 안드리고 (Andrigo) | 96 콤파뇨 (Andrea Compagno) | |
K리그1 : 국적과 상관없이 최대 6명 등록 4명 동시출장이 가능 |
3.3. 포지션별 소화 가능 선수 명단
3.3.1. 전반기
- 여름 이적 시장 이전
감독: 거스 포옛 | |||||||||||
ST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콤파뇨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티아고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박재용 | |||||||||||
LW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에르난데스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전진우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전병관 | SS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송민규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승우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진태호[U-22] | RW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권창훈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안드리고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한석진[U-22] | |||||||||
CDM [[가나| ]][[틀:국기| ]][[틀:국기| ]] 보아텡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한국영 | CM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진규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영재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강상윤[U-22]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수빈 | ||||||||||
LB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태현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최우진[U-22]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준영[U-22] | LCB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영빈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연제운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하준 | RCB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박진섭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홍정호 | RB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안현범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태환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최철순 | ||||||||
GK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송범근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정훈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공시현[U-22] |
포지션별 소화 가능 선수 명단 | |||||||||||
포지션 | 소화 가능 선수 명단[7] | ||||||||||
스트라이커 | 콤파뇨, 티아고, 박재용, 송민규, 에르난데스 | ||||||||||
레프트윙 | 송민규, 전진우, 에르난데스, 전병관, 안드리고 | ||||||||||
라이트윙 | 전병관, 안드리고, 전진우, | ||||||||||
중앙 미드필더 | 이승우, 이영재, 강상윤[U-22], 권창훈, 김진규, 진태호[U-22], 이수빈 | ||||||||||
수비형 미드필더 | 보아텡, 한국영, 박진섭, 이수빈 | ||||||||||
레프트백 | 김태현, 최우진[U-22], 최철순 | ||||||||||
센터백 | 김영빈, 박진섭, 홍정호, 연제운, 김하준 | ||||||||||
라이트백 | 김태환, 안현범, 최철순, 김태현 | ||||||||||
골키퍼 | 송범근, 김정훈, 공시현[U-22] |
3.3.2. 후반기
- 여름 이적 시장 이후
3.4. 임대 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9d800> 임대 구단 | 국적 | 포지션 | 성명 | 복귀 일자 | |
김천 상무 FC | | FW | 이동준 | Lee Dong-jun | 2025년 10월 26일 전역 | |
| MF | 맹성웅 | Maeng Seong-ung |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 | | DF | 정태욱 | Jeong Tae-wook | 2025년 7월 31일 만료 | |
김천 상무 FC | | FW | 전병관 | Jeon Byung-kwan | 2026년 월 일 전역 | |
| MF | 이수빈 | Lee Soo-bin | |||
화성 FC | | FW | 박주영 | Park Ju-yeong | 2025년 12월 31일 만료 |
3.4.1. 임대 복귀
임대 복귀 선수 명단 | ||||
<rowcolor=#035445> 전 소속 구단 | 국적 | 이름 | 포지션 | 복귀 날짜 |
FC 류큐 | | 전지완 | GK | 2025년 1월 1일 |
수원 FC | | 강상윤 | MF | |
부산 아이파크 | | 이준호 | FW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이규동 | FW | |
천안 시티 FC | | 이지훈 | FW | |
수원 FC | | 한교원 | FW | |
제주 유나이티드 FC | | 박주영 | FW |
3.5. 부상자 현황
<rowcolor=#f9d800> 부상자 현황 | ||||
<rowcolor=#035445> 이름 | 부상 부위 | 예상 복귀일 | 부상 일수 | 결장 경기 수 |
4. 스태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9d800> 사무국 직원 | ||||||
<rowcolor=#035445> 직책 | 성명 | 국적 | 생년월일 | ||||
대표이사 | 정유석 (Chung Yoo-suk) | | 1965년 9월 | ||||
단장 | 이도현 (Lee Do-hyun) | | 1974년 3월 26일 | ||||
고문 | 박지성 (Park Ji-sung) | | 1981년 3월 30일 | ||||
테크니컬 디렉터 | 마이클 김 (Michael Kim) | | 1973년 6월 10일 | ||||
<rowcolor=#f9d800> 코칭스태프 | |||||||
<rowcolor=#035445> 직책 | 성명 | 국적 | 생년월일 | ||||
감독 | 거스 포옛 (Gus Poyet) | | 1967년 11월 15일 | ||||
수석 코치 | 마우리시오 타리코 (Mauricio Taricco) | | 1973년 3월 10일 | ||||
피지컬 코치 | 불가리스 파나요티스 (Panagiotis Voulgaris) | | 1985년 10월 28일 | ||||
분석 코치 | 디에고 포옛 (Diego Poyet) | | 1995년 4월 8일 | ||||
코치 | 정조국 (Jung Jo-gook) | | 1984년 4월 23일 | ||||
골키퍼 코치 | 황희훈 (Hwang Hee-hoon) | | 1979년 9월 20일 | ||||
<rowcolor=#f9d800> 지원 스태프 | |||||||
<rowcolor=#035445> 직책 | 성명 | 국적 | 생년월일 | ||||
주치의 | 송하헌 (Song Ha-heon) | | 1988년 5월 6일 | ||||
물리 치료사 | 지우반 올리베이라 (Gilvan Oliveira) | | 1981년 8월 26일 | ||||
의무 담당관 | 김병선 (Kim Byeong-seon) | | 1988년 5월 6일 | ||||
이규열 (Lee Gyu-yeol) | | 미상 | |||||
노상근 (Noh Sang-keun) | | 미상 | |||||
분석관 | 이선구 (Lee Sun-gu) | | 1984년 9월 20일 | ||||
장비 담당관 | 최재혁 (Choi Jae-hyeok) | | 미상 | ||||
통역사 | 김민서 (Kim James Min-seo) | | 1986년 6월 8일 | ||||
표석환 (Pyo Seok-hwan) | | 미상 | |||||
<rowcolor=#f9d800> N팀 코칭스태프 | |||||||
<rowcolor=#035445> 직책 | 성명 | 국적 | 생년월일 | ||||
감독 | 안대현 (Ahn Dae-hyun) | | 1977년 8월 20일 | ||||
코치 | 김광석 (Kim Kwang-suk) | | 1983년 2월 12일 | ||||
골키퍼 코치 | 정부선 (Jung Boo-sun) | | 1983년 6월 11일 | ||||
피지컬 코치 | 우정하 (Woo Jeong-ha) | | 1980년 4월 2일 | ||||
트레이너 | 박정훈 (Park Jeong-hun) | | 1993년 5월 27일 | ||||
분석관 | 박준완 (Park Jun-wan) | | 2000년 2월 24일 |
4.1. 코칭스태프 변동
입단 스태프 | |||||
<rowcolor=#035445> 전 소속 구단 | 국적 | 이름 | 직책 | ||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 [[우루과이| ]][[틀:국기| ]][[틀:국기| ]] | 거스 포옛 | 감독 |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마우리시오 타리코 | 수석코치 | |||
[[우루과이| ]][[틀:국기| ]][[틀:국기| ]] | 디에고 포옛 | 분석 코치 | |||
[[그리스| ]][[틀:국기| ]][[틀:국기| ]] | 불가리스 파나요티스 | 피지컬 코치 | |||
한국프로축구연맹 TSG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정조국 | 코치 | ||
대한민국 U-16 축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황희훈 | 골키퍼 코치 | ||
인천 유나이티드 FC 2군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김광석 | N팀 코치 | ||
대한민국 U-16 축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우정하 | N팀 트레이너 |
퇴단 스태프 | |||||
<rowcolor=#035445> 현 소속 구단 | 국적 | 이름 | 직책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김두현 | 감독 | |||
대구 FC B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박원재 | 코치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조성환 | 코치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최은성 | 골기퍼 코치 | |||
서울 이랜드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안성남 | 코치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박근영 | 피지컬 코치 | |||
인천 유나이티드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정혁 | B팀 코치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김재오 | 트레이너 |
5. 유니폼 및 스폰서
유니폼 | |||||
<rowcolor=#ffdd00> 필드 | 골키퍼 | ||||
| | | | | |
홈 | 원정 | 홈 | 원정 | ||
스폰서 | |||||
<rowcolor=#ffdd00> 리그 패치 | 컵 패치 | 리그·컵 스폰서 | ACLT 스폰서 | 키트 스폰서 | |
| | NEXO | | | |
6. 이적 시장
6.1. 겨울 이적 시장
6.1.1. 재계약
| |
권창훈 · 한국영 |
FA 명단 | ||||
<rowcolor=#035445> 이름 | 국적 | 포지션 | 상태 | 비고 |
구자룡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DF | 계약 만료 | |
문선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FW | 재계약 실패 | |
권창훈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MF | 재계약 완료 | 연장 옵션 |
정우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DF | 계약 만료 | |
한국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MF | 재계약 완료 |
6.1.2. 영입설
6.1.2.1. 골키퍼
- 송범근 - 영입 확정 / 김준홍의 DC 유나이티드 이적이 유력해지면서 전북은 쇼난 벨마레에서 주전 경쟁에서 밀린 전북 출신 송범근의 영입을 노리고 있다. 송범근은 유럽 이적을 우선시하고 있지만 K리그로 복귀한다면 전북 외에는 고려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12월 27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축구계 소식통은 “송범근이 전북으로 향한다. 선수와 구단 간 큰 틀의 합의가 이미 이뤄졌고 메디컬 테스트 등 세부 절차만 남았다. 사실상 구단의 공식 발표만 남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
12월 31일, 전북은 송범근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6.1.2.2. 수비수
- 이명재 - 루머 종료 / 전북이 김진수와 계약을 해지한 뒤, 울산과 국가대표팀의 주전 레프트백인 이명재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는 루머가 나오고 있다. 이명재는 12월 14일 울산과의 재계약이 결렬되면서 FA 신분이 되었고, 리그 내에서 귀한 왼발잡이 풀백이라는 점에서 김진수의 대체자로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지만, 전북 팬들 사이에서 이명재가 과거 사살락 인종 차별 사건에 연루되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영입 반대 여론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 보강 측면에서 이명재 영입을 지지하는 목소리도 일부 있다.
한편, 이명재는 국내보다는 일본, 중동, 중국 등 해외 진출을 희망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현재까지는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서호정 기자에 따르면, 전북의 거스 포옛 신임 감독이 왼발잡이 레프트백 영입을 구단에 요청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자연스레 이명재가 전북의 가장 유력한 영입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12] 결국 전북은 1월 26일 레프트백 최우선 순위였던 최우진을 영입한데 이어 이명재 역시 2월 1일 백승호가 뛰고 있는 버밍엄 시티 FC로 이적한다는 단독 보도가 나오면서 루머 종료.
- 김영빈- 영입 확정 / 전북은 센터백 보강을 위해 강원 FC의 부주장이자 핵심 센터백 자원인 김영빈을 노리고 있다는 루머가 있다.
1월 1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작년 여름에도 김영빈 영입을 시도했으나 리그 2위를 달리고 있던 강원 입장에서 보낼수 없다고 하면서 영입에 실패했고, 시즌 종료 후 다시 한 번 김영빈 영입을 시도했고 강원 신임 감독 정경호 감독이 잔류를 원했으나 이미 전북이 제시한 거액 연봉에 흔들렸던 김영빈의 마음을 잡는 데는 실패하였고 결국 강원 역시 그간 헌신한 김영빈의 공로를 인정해 쿨한 결단을 내렸다고 한다. #
1월 2일, 전북은 김영빈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 최우진 - 영입 확정 / 전북은 레프트백 영입을 위해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최우진을 영입한다는 루머가 있다. 다만 최우진이 유럽 진출을 최우선 목표로 잡고 있고, 인천 역시 윤정환 감독 선임으로 1년 만에 승격을 노리겠다는 입장이라 쉽게 팔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이미 울산이 최우진에게 이적 제안을 했으나, 인천이 이를 거절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졌다.[13]
1월 26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K리그 이적시장에 정통한 관계자는 "전북이 인천의 왼쪽 풀백 최우진 영입에 합의했다. 세부 사항을 마무리한 뒤 곧바로 전북 훈련 캠프에 합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2월1일, 전북은 최우진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이상민 - 루머 종료 / 전북은 최우진 영입이 어려울 경우,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의 2004년생 정발 레프트백 이상민을 2순위 대안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결국 전북이 최우진을 영입하면서 자연스레 루머 종료.
6.1.2.3. 미드필더
- 정호연 - 영입 무산 / 전북 현대가 정호연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루머가 있으며, 수비형 미드필더 보강이 시급한 울산도 그를 노리고 있다는 루머가 있다. 그러나 12월 18일 기준, 정호연의 은사인 이정효 감독이 전북 감독으로 낙점되고 계약이 임박한 상황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정호연 역시 이정효 감독과 함께 전북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하지만 12월 24일, 전북이 이정효 감독 대신 거스 포옛 감독을 선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결국 정호연은 이정효 감독과 함께 광주에 잔류하기로 결정했으나, 1월 7일, 미국 MLS 팀이 이적료 15억 원을 제안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후 1월 20일, 정상빈이 소속된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로 이적한다는 단독 보도가 나오면서 정호연의 행선지가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 김동현 - 영입 무산 / 지난 시즌 강원 FC의 준우승을 이끈 김동현 역시 전북에서 관심을 갖는 중이라는 루머가 있다. 하지만 2025년 강원 주장으로 임명되어 영입은 어렵게 되었다.
- 세르조 우이카 - 루머 종료 / 1월 19일, 니콜로 시라 기자는 세르조 우이카가 알바니아 프로 1부 리그 팀인 KF 에그나티아에서 전북으로 이적하는 건이 마지막 단계에 있다는 루머를 보도했다.# 하지만 전북은 이미 톱자원인 안드레아 콤파뇨 영입이 근접한 가운데, 마지막 퍼즐로 외국인 윙어를 영입한다고 기사에 나왔기 때문에 루머는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
6.1.2.4. 공격수
- 아사니 - 루머 종료 / 광주 FC는 리그 FFP를 준수하기 위해 아사니를 매각해야 한다. 아사니에게 관심이 있는 구단은 전북 외에 비셀 고베, 요코하마 F. 마리노스다. 아사니를 영입하기 위해서는 15억 원이 필요하다. # 12월 11일, 페네르바흐체 SK와 알 아흘리 SFC도 아사니에 대해 문의했다. # 다만 아직까지도 이적 사가에 대해 정확하게 나온 소식이 없는 것을 보면 광주 잔류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 제이손 레메세이로- 영입 무산 / 전북이 역대급 외국인 윙어에 대한 관심이 있다는 커뮤니티발 루머가 나왔고 그 대상이 과거 발렌시아 CF에서 이강인과 함께 뛰었던 제이손 레메세이로라는 대상으로 좁혀졌다. 이후 그 루머 작성자가 최종적으로 결렬되었다는 루머가 또 뜨면서 상황이 종료되었다.
- 스마일 프레블랴크 - 루머 종료 / 볼만찬 기자들의 루머에 따르면 전북은 티아고의 이적 유력에 따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독일쪽에서 톱자원을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커뮤니티발 루머에 따르면 보스니아 국가대표 출신의 공격수가 영입 리스트에 있다 전해졌고 그 대상이 헤르타 베를린에서 뛰고 있는 스마일 프레블랴크라는 루머도 나왔다. 하지만 전북이 콤파뇨 영입을 앞두고 있기에 루머는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
- 안드레아 콤파뇨 - 영입 확정 / 1월 23일, 니콜로 스키라는 "안드레아 콤파뇨가 FA로 전북에 가까워지고 있다. 2025년 12월까지 계약한다"라고 보도했다. #
1월 24일, K리그 이적시장에 정통한 한 축구계 관계자는 "전북 현대가 이탈리아 국적의 최전방 공격수인 안드레아 콤파뇨를 영입한다. 콤파뇨는 24일 한국으로 들어온 뒤 메디컬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최종 서명만을 남겨둔 상황"이라고 전했다. # 결국엔 전북 현대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영입 확정을 밝혔다. # 엑스포츠뉴스 권등환 기자의 보도에 따르면, 계약기간은 1년이라한다. #
2월 7일, 전북현대모터스는 콤파뇨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정상빈 - 루머 종료 / 전북은 군 입대를 고려해 국내 복귀를 고려 중이라는 정상빈을 영입한다는 루머가 돌았다. 당초 울산 HD FC에서 정상빈 영입을 노렸으나, 이적료 차이로 인해 현재까지도 협상이 안되고 있다고 하며 이에 전북이 울산보다 더 높은 이적료를 부르며 전북과 협상한다는 루머가 돌았으나 볼만찬, 서호정 기자의 루머에 따르면 전북과 정상빈의 협상은 사실무근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6.1.3. 임대/이적설
- 김준홍 - 이적 완료 / 12월 10일, K리그 복수의 소식통은 10일 “김준홍이 최근 DC 유나이티드로부터 영입 관련 레터가 왔고 구단 간의 이적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막바지 단계”라고 전했다. 정확한 조건은 파악되지 않았으나 이적료 100만 달러(약 14억 원) 선에서 딜이 이뤄지고 있는 정황이 포착됐다. 김준홍은 8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서울 이랜드 FC와의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PO) 2차전이 끝난 뒤 전북 선수단에 작별 인사를 전했다.#
2025년 1월 10일 D.C. 유나이티드는 김준홍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김진수 - 이적 완료 / 12월 19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이적 시장 관계자는 19일 "서울이 김진수 영입을 앞뒀다. 김진수는 지난 18일 전북과 계약을 해지한 뒤 서울로 향했다. 금일 메디컬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12월 30일 서울은 김진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정우재 - 이적 완료 / 12월 20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축구계 사정에 밝은 관계자는 20일 "정우재의 대구 복귀가 확정됐다"며 "빠르면 다음 주 중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이재익 - 이적 완료 / 이재익은 시즌 중부터 이적을 고려하며 J리그의 관심을 받았으나, 거스 포옛 감독 부임으로 전북 잔류 가능성도 열어두었다. 수원 삼성은 이재익 영입에 나섰고, 울산 HD는 이적료 지불 의사를 밝히며 영입 경쟁에 가세했다.
1월 13일, 서호정 기자에 따르면, 이재익은 울산과의 이적료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개인 협상은 이미 연말에 완료되었다. 볼만찬 기자에 따르면, 울산과의 이적 절차가 확정되어 곧 계약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1월 14일, K리그 이적시장에 정통한 관계자는 "울산이 전북의 센터백 이재익 영입에 합의했다. 조만간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현재 기초군사훈련 중인 이재익은 16일 퇴소 후 곧바로 메디컬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재익은 바로 울산이 훈련 중인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로 합류한다. #
- 문선민 - 이적 완료 / 12월 30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K리그 복수의 소식통은 29일 “전북 현대 문선민이 서울로 향한다. 세부 조율은 마무리됐고 메디컬 테스트 등 마지막 절차만 남겨뒀다.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이적이 성사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은 전북의 제안보다 좋은 조건으로 선수 마음을 잡았다. #
- 이민혁 - 이적 완료 / 1월 6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이민혁 영입을 공식 발표하였다.#
- 유제호 - 이적 완료 / 서호정 기자에 따르면, 유제호가 이적료가 발생하는 완전 이적 형태로 광주 FC로 합류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광주는 전북이 수원에서 유제호를 영입할 때 지불한 이적료와 동일한 금액을 지불한다.
1월 13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축구계 관계자는 13일 '풋볼리스트'를 통해 "유제호가 전북을 떠나 광주에 합류한다. 메디컬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14일 전지훈련지로 떠난다"라고 전했다. #
1월 28일 광주는 유제호의 영입을 공식발표했다. - 진시우 - 임대 이적 완료 / 서호정 기자에 따르면, 전북은 지난 시즌 1군에도 경험치를 쌓았던 진시우를 키우겠다는 입장이며 재계약 후 1년간 광주로 임대 이적시키기로 했다.
1월 13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13일 축구계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광주FC가 전북 센터백 진시우를 임대 영입해 수비를 보강한다. # 1월 31일, 광주 FC는 진시우의 임대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티아고 - 잔류 / 서호정 기자에 따르면, 티아고는 J리그로 이적 가능성이 높다 전해졌고 협상이 시작되었으며 대상 팀은 감바 오사카가 유력하다 전했다. 다만 안드레아 콤파뇨 영입 루머를 알렸던 볼만찬 기자들의 루머로는 감바 오사카행이 무산되었으며 팀에 잔류할 것이라는 루머도 돌고 있다. 이후 볼만찬 기자들의 라이브 방송에서 티아고의 이적은 무산되었다는 소식을 전했다.#
6.1.4. 입단
겨울 이적 시장 입단 | |||||
<rowcolor=#035445> 전 소속 구단 | 국적 | 이름 | 포지션 | 이적 방식 | 이적료 |
쇼난 벨마레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송범근 | GK | 자유 계약 | - |
강원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김영빈 | DF | 완전 이적 | 3.5억 |
톈진 진먼후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안드레아 콤파뇨 | FW | 자유 계약 | - |
인천 유나이티드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최우진 | DF | 완전 이적 | 10억 |
종합 이적료(추정) | 약 13.5억 원 |
6.1.5. 퇴단
겨울 이적 시장 퇴단 | |||||
<rowcolor=#035445> 현 소속 구단 | 국적 | 이름 | 포지션 | 이적 방식 | 이적료 |
강원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이유현 | MF | 완전 이적 | 2.5억 원 |
제주 유나이티드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오재혁 | MF | 트레이드[14] | - |
FC 서울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김진수 | DF | 계약 해지 | - |
FC 서울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문선민 | MF | 계약 만료 |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구자룡 | DF | 계약 만료 | - | |
대구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정우재 | DF | 계약 만료 | - |
부산 아이파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박창우 | DF | 계약 만료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이민혁 | MF | 완전 이적 | |
DC 유나이티드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김준홍 | GK | 완전 이적 | 14억 원[15] |
천안 시티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이지훈 | FW | 완전 이적 | |
울산 HD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이재익 | DF | 완전 이적 | 5억(추정) |
광주 FC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유제호 | MF | 완전 이적 | |
종합 이적료(추정) | 약 억 원 |
6.1.6. 총평
스쿼드 분석 |
6.1.6.1. 시즌 시작 전
지난 시즌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까지 간 탓에 시즌이 늦게 끝났고, 이후 가장 급한 김두현 전 감독 후임 선임 과정까지 거치면서 타 구단보다 늦은 전력 보강에 나서고 말았다. 그 과정에서 김진수와 상호 계약 해지를 하면서 전력에 큰 누수가 생긴 가운데 이적 시장을 시작하였다.2024년 말에 가장 핫했던 전북 감독 선임 결과 외국인 지도자 거스 포옛을 새 사령탑으로 맞이했다. 이후 거스 포옛 사단이 합류하였으며 정조국, 황희훈 코치가 새로 합류하였다. 이 과정에서 박원재, 조성환, 최은성 등 기존 전북 선수 출신 코칭스탭을 모두 보내며 대규모 개혁 의지를 선언하였다.
골키퍼 포지션에는 김준홍이 미국 DC 유나이티드로 이적한 공백을 송범근을 재영입하였다. 지난 시즌 송범근이 쇼난 벨마레에서 주전 경쟁에서 밀린 데다가 다시 국가대표 복귀에 대한 의지가 강했기 때문에 전북으로 리턴하기로 결정한 것.
수비 부분에서는 김진수가 떠난 레프트백 자리에는 전지훈련 막판 최우진이라는 어리고 유망한 레프트백 보강에 성공하였다. U-22 쿼터를 채워줄 수 있으며 거스 포옛 감독이 원했던 정발 레프트백이라는 점에서 많은 기대를 갖고 있는 편. 지난 시즌 주전 레프트백인 김태현과 번갈아 뛸 전망이다. 이전 이적시장 초반에 센터백 자원으로는 강원 FC의 핵심 수비수이자 K리그 탑급 왼발 센터백 김영빈 영입에 성공하였다. 물론 수비 쪽에 방출도 꽤 많았는데 이유현은 강원 FC로 완전 이적을, 앞서 언급한 김진수에 이어 FA 자원인 정우재, 박창우, 구자룡과는 재계약을 포기했다. 이어 이재익은 라이벌 울산 HD FC로 이적했고 진시우는 광주 FC로 임대 영입이 되었다. [16]
중앙 미드필더는 한국영과 재계약에 성공한 가운데 강상윤이 임대 복귀하였다. 특히 강상윤은 내년 시즌까지 U-22 쿼터를 채울 수 있는 큰 메리트가 있는 데다가 거스 포옛 감독 역시 인터뷰마다 강상윤에 대해서 NFS를 선언하는 등 올 시즌 팀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지난 시즌 준프로 계약을 맺은 뒤 B팀 경기와 AFC 챔피언스 리그 투에서 인상적인 모습을 남긴 진태호와 프로 계약을 맺었다. 물론 이수빈이 4월에 군입대를 해야 하는 공백이 있지만 이 외에 김진규, 이영재, 보아텡 등이 있기에 3선 문제는 큰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 그나마 약점이라면 한국영과 보아텡을 제외하고는 모두 공격쪽에 강점이 있는 중앙 미드필더라는 점인데 여차하면 박진섭을 수비형 미드필더로 올리는 방안도 있다.
2선은 문선민이 재계약 결렬 후 FC 서울로 이적했고 전병관이 4월 군입대 예정인지라 윙어 포지션에 대한 보강이 필수적이다. 구단은 외국인 윙어 보강으로 이적시장을 마무리할 계획이지만 아직까지는 별다른 소식이 없는 상황. 물론 권창훈과 재계약에 성공한데 이어 이승우, 송민규라는 굵직한 자원이 있고 지난 시즌 전북을 강등 위기에서 구해낸 주역인 전진우까지 있는 가운데 한교원도 잔류를 선택했으며, 에르난데스가 건강한 모습으로 복귀해준다면 2선도 풍족한 편이다. 다만 경기의 흐름을 바꿔 줄 수 있는 크랙형 윙어의 부재는 아쉬운 부분이다.
최전방에는 티아고가 결국 잔류하게 되었으며 이탈리아 출신의 195cm 장신 공격수 콤파뇨 영입까지 성공하면서 더욱 강력한 공격진을 갖추는데 성공하였다. 관건은 콤파뇨의 K리그 적응 속도에 따라 달려있다.
전체적인 이적시장을 놓고 보면, 지난 두 시즌간 무지성으로 많은 영입을 하면서 비대해졌던 선수단의 규모를 줄이는 대신 필요한 포지션에만 딱 보강을 하는 방향으로 정리되었다. 이적시장 과정에서 별다른 영입 소식이 없었던 점에서 팬들의 우려를 안았으나, 거스 포옛 감독 선임 과정에서부터 어떠한 루머 하나 없이 선수 영입에 성공하면서 이도현의 입단속이라는 별명까지 붙이며 조용하게, 하지만 강력하게 일처리를 성공한 이도현 단장에 대한 칭찬이 많은 편이다.
6.1.6.2. 전반기 종료 후
6.2. 여름 이적 시장
6.2.1. 재계약
6.2.2. 영입설
6.2.2.1. 골키퍼
6.2.2.2. 수비수
6.2.2.3. 미드필더
6.2.2.4. 공격수
6.2.3. 임대/이적설
6.2.4. 입단
여름 이적 시장 입단 | |||||
<rowcolor=#035445> 전 소속 구단 | 국적 | 이름 | 포지션 | 이적 방식 | 이적료 |
[[틀:국기| ]][[틀:국기| ]][[틀:국기| ]] | ? | ? | ?억 원 | ||
종합 이적료(추정) | 약 ?억 원 |
6.2.5. 퇴단
여름 이적 시장 퇴단 | |||||
<rowcolor=#035445> 현 소속 구단 | 국적 | 이름 | 포지션 | 이적 방식 | 이적료 |
[[틀:국기| ]][[틀:국기| ]][[틀:국기| ]] | ? | ? | ? | ||
종합 이적료(추정) | 약 ?억 원 |
6.2.6. 총평
6.2.6.1. 후반기 시작 전
6.2.6.2. 시즌 종료 후
7. 프리 시즌
7.1. 동계 전지훈련
동계 전지훈련 | |||
<rowcolor=#035445> 국가 | 지역 | 시작 | 종료 |
[[태국| ]][[틀:국기| ]][[틀:국기| ]] 태국 | 후아힌 | 1월 2일 | 1월 22일 |
방콕 | 1월 23일 | 2월 4일 |
그간 국내 동계 전지훈련만 진행했던 B팀도 올해는 A팀과 같은 태국으로 전지훈련을 떠난다. 오는 15일부터 2월3일까지 A팀 훈련지 인근에 별도 캠프를 차려 A팀 선수 콜업 훈련, A-B팀 간 코칭스태프 소통 등이 가능해 선수단 운영에 유기적인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
| |||||||||||
포지션별 동계 전지훈련 선수 명단 | |||||||||||
포지션 | 동계 전지훈련 선수 명단 | ||||||||||
FW | 티아고[17], 송민규[18] ,이승우, 박재용, 전진우, 전병관, 한석진, 에르난데스[19] | ||||||||||
MF | 이수빈, 이영재, 안드리고, 보아텡[20], 진태호, 권창훈, 유제호, 한국영, 김진규, 강상윤 | ||||||||||
DF | 박진섭, 안현범, 최철순, 홍정호, 김태환, 김하준, 김태현, 연제운, 김영빈 | ||||||||||
GK | 송범근, 김정훈, 공시현 |
1월 23일부터는 방콕으로 2차 전지훈련을 떠나 전술 훈련 및 연습 경기 일정을 계획 중이었으나 방콕 훈련장 이슈가 생기며 우려를 안고 있다.
7.1.1. 친선 경기
친선 경기 결과 | ||||
<rowcolor=#034f36> 일자 | 상대 | 결과 | 득점 - 도움 | |
1월 11일 | 연세대학교 축구부 | 1:1 무 | 전진우 11' | |
1월 18일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U-22 | 4:1 승 | 송민규 3', 박재용 55', 안드리고 76', 안현범 90', |
7.2. 오픈 트레이닝/출정식
|
전북은 오는 8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오픈 트레이닝 겸 팀 자체 연습경기를 치른다. 예년보다 빠르게 출발하는 시즌인 만큼, 여전히 추위를 피하기 힘든 게 사실. 전북은 '새 시즌 시작에 앞서 가장 먼저 팬들에게 선을 보이기 위해 이번 오픈 트레이닝을 준비했다'며 '이날 자체 연습경기는 경기 결과의 중요성보다는 선수단의 시즌 전 경기장 및 잔디 적응을 비롯해 팀과 선수 개별의 최종 컨디션 점검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자체 연습경기는 오후 3시 10분 킥오프 예정이며, 전주월드컵경기장 서 1,2 게이트에 한해 오후 2시부터 오픈한다. 최대한 공식 경기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선수단 워밍업을 시작으로 선수단 소개와 입장, 베스트11 사진 촬영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1, 2쿼터 각 45분씩, 3쿼터 30분 등 총 3쿼터로 치른다. 1쿼터와 2쿼터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전광판 이벤트를 실시해 경기 외적인 부분에서도 팬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연습 경기 종료 후 날씨와 일몰 등 현장 상황을 고려해 선수들의 퇴근길 운영도 계획 중이다.
다만 인근 지역에 내주 눈 예보가 있는 상황이라 강설로 취소될 수 있으며 결정 시 팬들에게 즉시 알릴 예정이라 밝혔다.
하지만 이어진 강설로 인해 그라운드 상태가 악화되어 잔디 보호 및 선수단 부상 관리 필요가 대두되는 것에 더해 주말 한파 예보까지 겹치면서 팬들의 불편함도 예상되는 바 오픈 트레이닝을 취소하기로 결정되었다.#
8.
K리그1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8.1. 정규 리그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 2025 하나원큐 K리그1 정규 리그 |
라운드 | 일시 | 홈/원정 | 상대 구단 | 점수 | 득점자 |
1 | 2월 16일 16:30 | 홈 | 김천 상무 FC | 2 - 1 | 박진섭(45+5'), 전진우(80') |
2 | 2월 23일 16:30 | 홈 | 광주 FC | 0 - 0 | |
3 | 3월 1일 14:00 | 원정 | 울산 HD FC | 0 - 0 | |
4 | 3월 9일 16:30 | 홈 | 강원 FC | 0 - 0 | |
5 | 3월 16일 16:30 | 홈 | 포항 스틸러스 | 0 - 0 | |
6 | 3월 30일 16:30 | 원정 | FC 안양 | 0 - 0 | |
7 | 4월 5일 16:30 | 원정 | 대전 하나 시티즌 | 0 - 0 | |
8 | 4월 13일 16:30 | 홈 | 제주 SK FC | 0 - 0 | |
9 | 4월 20일 16:30 | 홈 | 대구 FC | 0 - 0 | |
10 | 4월 26일 14:00 | 원정 | 수원 FC | 0 - 0 | |
11 | 5월 3일 19:00 | 원정 | FC 서울 | 0 - 0 | |
12 | 5월 6일 16:30 | 홈 | 대전 하나 시티즌 | 0 - 0 | |
13 | 5월 11일 19:00 | 원정 | 광주 FC | 0 - 0 | |
14 | 5월 17일 16:30 | 홈 | FC 안양 | 0 - 0 | |
15 | 5월 23일 19:30 | 원정 | 제주 SK FC | 0 - 0 | |
16 | 5월 27일 19:30 | 원정 | 대구 FC | 0 - 0 | |
17 | 5월 31일 19:00 | 홈 | 울산 HD FC | 0 - 0 | |
18 | 6월 13일 19:30 | 원정 | 강원 FC | 0 - 0 | |
19 | 6월 17일 19:30 | 홈 | 수원 FC | 0 - 0 | |
20 | 6월 21일 19:00 | 홈 | FC 서울 | 0 - 0 | |
21 | 6월 27일 19:30 | 원정 | 김천 상무 FC | 0 - 0 | |
22 | 7월 19일 19:00 | 원정 | 포항 스틸러스 | 0 - 0 | |
23 | 7월 23일 19:30 | 홈 | 강원 FC | 0 - 0 | |
24 | 7월 26일 19:00 | 원정 | 광주 FC | 0 - 0 | |
25 | 8월 8일 19:30 | 홈 | FC 안양 | 0 - 0 | |
26 | 8월 16일 19:00 | 홈 | 대구 FC | 0 - 0 | |
27 | 8월 24일 19:00 | 원정 | 포항 스틸러스 | 0 - 0 | |
28 | 8월 30일 19:00 | 원정 | 울산 HD FC | 0 - 0 | |
29 | 9월 13일 19:00 | 홈 | 대전 하나 시티즌 | 0 - 0 | |
30 | 9월 20일 16:30 | 홈 | 김천 상무 fc | 0 - 0 | |
31 | 9월 27일 19:00 | 원정 | FC 서울 | 0 - 0 | |
32 | 10월 3일 14:00 | 원정 | 제주 SK FC | 0 - 0 | |
33 | 10월 18일 14:00 | 홈 | 수원 FC | 0 - 0 |
8.2. 파이널 라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9ad95> | 하나원큐 K리그1 2024 파이널 라운드 A/B |
라운드 | 일자 | 홈/원정 | 상대 구단 | 점수 | 득점자 |
34 | 월 일 : | 홈/원정 | ? - ? | (?') | |
35 | 10월 27일 :30 | 홈/원정 | ? - ? | (?') | |
36 | 월 일 : | 홈/원정 | 0 - 0 | (?') | |
37 | 월 일 : | 홈/원정 | 3 - 1 | (?') | |
38 | 월 일 : | 홈/원정 | ? - ? | (?') |
9.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투
거스 포옛 신임 감독의 데뷔전이다. 지난 조별리그에서는 리그에서의 낮은 성적으로 잔류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인 탓에, 조별리그에서는 B팀 선수들과 1군 경쟁에서 밀린 선수들이 주로 참가했고 6전 4승 2패 조 1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다만 16강부터는 전북 입장에서는 이 대회 우승에 걸어야 할 이유가 생겼다. AFC 챔피언스 리그 투 우승팀에게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플레이오프 진출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 작년 K리그 성적이 박살난 터라 챔스에 진출하려면 리그 투 우승이 필요하다.다만, 6월 울산 HD FC의 FIFA 클럽 월드컵 진출로 인해 리그 일정이 많이 타이트해졌고, 이 시기 AFC 챔피언스리그 투 녹아웃 스테이지까지 있는 만큼 선수단의 적절한 로테이션 활용에 따라 전북의 2025시즌이 결정된다.
9.1. 16강 vs 포트 FC
9.1.1. 1차전 (원정, 0:4) 승 (2월 13일)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투 녹아웃 스테이지 16강 1차전 2025년 2월 13일 (목) 21:00 (UTC+9) | ||
레오 스타디움 (태국, 빠툼타니) | ||
주심: | ||
관중: 명 | ||
0 : 4 | ||
포트 FC | 전북 현대 모터스 | |
- | | 19' 박진섭 24', 60' 콤파뇨 49' 송민규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
Man of the Match:콤파뇨 |
9.1.2. 2차전 (홈, 1:0) 승 (2월 20일)
2024-25 AFC 챔피언스 리그 투 녹아웃 스테이지 16강 2차전 2025년 2월 20일 (목) 19:00 (UTC+9) | ||
전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전주) | ||
주심: | ||
관중: 명 | ||
1 : 0 | ||
전북 현대 모터스 | 포트 FC | |
- | | -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
Man of the Match: |
9.2. 8강 vs 시드니 FC
9.2.1. 1차전 (홈, -:-) 승/패
9.2.2. 2차전 (원정, -:-) 승/패
10.
코리아컵
10.1. 16강 vs (홈/원정, : ) (월 일)
11. 수상
11.1. 구단 수상
11.2. 개인 수상
11.3. 총평
[U-22] [U-22] [U-22] [U-22] [U-22] [U-22] [7] 주 포지션일 경우 볼드체로 표시[U-22] [U-22] [U-22] [U-22] [12] 전북이 이명재를 영입하게 된다면, 이는 과거 김태환의 이적 사례와 상당히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두 선수 모두 풀백이고, FA 신분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울산에서 리빙 레전드로 대우받던 선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두 사례는 여러모로 비슷한 점이 많다.[13] 이후 울산은 박민서와 강상우를 영입했다.[14] 연제운 ↔ 박주영 (완전 이적 옵션 포함 임대) + 오재혁 (완전 이적) + 현금[15] 100만 달러 이상[16] 물론 이재익의 이적에 대해서는 팬들끼리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김영빈이 영입되었다고 하지만 1991년생으로 적지 않은 나이며 또 다른 왼발 센터백인 김하준은 미필 자원이기 때문에 군필이자 어린 편에 속한 이재익을 그것도 굳이 울산으로 보냈냐는 비판이 있는 한편, 지난 시즌 이재익이 전북에서 그리 많이 뛰지 못했던 데다가 FA로 영입한 선수를 이적료를 받고 보냈다는 점, 그리고 김영빈이 합류했고 김하준이 3살 더 어린 유망한 자원이라는 점에서 잘 보냈다는 반응도 있다.[17] 현지 합류[18] 현지 합류[19] 현지 합류[20] 현지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