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2:28:25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예상 후보군]]{{{#!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전투표일 : 2018년 6월 8일(금) ~ 2018년 6월 9일(토) 오전 6시 ~ 오후 6시
투표일 : 2018년 6월 13일(수) 오전 6시 ~ 오후 6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광역의회의원
(선거구)
교육감
(후보군)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기초의회의원
(선거구)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공약여론조사이야깃거리
진행지역별 · 정당별 · 출마 선언
결과지역별 · 정당별 · 당선인 통계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



1. 개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 선거의 진행 상황과 개표 결과를 모은 문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수능 절대평가, 고교 학점제,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 등 호오가 극명히 갈리는 교육 이슈가 부쩍 늘어 이번 교육감 선거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의 전체 교육정책에 대해 총괄할 권한은 정부에 있지만, 각 시·도의 교육정책 총괄은 상당수 그 지역의 교육감에게 권한이 이양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의 교육정책에 우호적이지 않은 교육감이 많이 당선되면, 교육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 동력이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1]

이번 선거의 결과가 양측 진영에 가져다 줄 영향이 막대한 만큼, 모두 승리를 위해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진보든 보수든 같은 성향의 후보들이 분열하면 이길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주요 지역에서 교육감 후보 단일화 작업이 벌어지고 있다. 역대 교육감 선거의 양상은 진보 진영은 단일화, 보수 진영은 후보 난립하는 양상을 보여왔다. 그 결과, 2014년 선거에서는 진보진영 결집[2]+보수후보 분열 이외에도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고승덕 서울 교육감 후보의 딸의 폭로 등의 영향으로 진보 성향 교육감을 13명이나 배출하였다. 그런 이유로 지난 지방 선거의 참패에서 교훈을 얻은 보수 진영에서는 후보 단일화를 위한 ‘우리교육감추대시민연합(우리감)’이 결성되었고, 진보 진영 역시 각 지역마다 '서울 촛불 교육감 추진위원회', '2018 소통과 협력을 위한 경기교육혁신연대'와 같은 단일화 단체가 구성되었다. #

그리고 경력과 인지도를 쌓은 진보진영 현역 교육감 인사들이 광역자치단체의 장에 도전할지도 주목된다. 만약 현역 교육감들이 광역자치단체장으로 급수를 올린다면, 현역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없는 무주공산에서 양측 진영에 치열한 대결이 펼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4년에는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에 참여했고, 이번 선거에서는 재선의 장만채 전 전라남도교육감이 전남지사에 도전했으나 모두 경선에서 패하였다.

'진보 교육감 비토 정서'가 있다는 주장이 있었다. 문재인 정부로 정권교체가 된 후 기용된 김상곤교육부장관의 교육정책과 진보 교육감들의 정책이 너무나 급진적이라는 비판의 연장선상에서 나왔기 때문이다.[3] 그런 입장을 가진 사람들은 중도·보수 성향의 교육감을 당선시켜 이것을 견제하자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역 프리미엄을 무시할 수 없었다. 안 그래도 소속 정당 없이 활동하는 교육감의 경우 인지도 선거가 될 공산이 높고, 한 번만 더 밀어주자는 힘 실어주기 프레임이 작동할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변수가 있다면 바로 최근 한반도 정세이다.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2차 남북정상회담 등 각종 정치외교적 빅 이벤트가 연달아 일어나고 있어서 지방선거도 묻히는 판국이라 교육감 선거는 누가 나오는지도 국민들이 모르는 판국이다. 그럭저럭 이슈화가 되었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는 정반대의 상황. 때문에 결국 인지도 높은 현역들이 그대로 재선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 예상 후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예상 후보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예상 후보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예상 후보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예상 후보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개표 결과

교육감 개표 결과
진보 보수 중도
14 2 1
서울 부산 인천 광주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제주 대구 경북 대전
조희연 김석준 도성훈 장휘국 노옥희 최교진 이재정 민병희 김병우 김지철 김승환 장석웅 박종훈 이석문 강은희 임종식 설동호
총 17명의 시도 교육감 중 중도·보수 성향 교육감이 당선된 대구, 경북, 대전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진보 성향 교육감이 당선되었다. 울산에서도 진보 교육감이 승리하면서 오히려 지난 선거에서 진보 교육감 의석 1석 늘었다. 결과적으로 진보 교육감 피로감 등의 이야기를 하는 것은 결국 자신의 정치 성향을 교육감 선거에 투영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났다. 심지어 보수 후보라고 분류된 사람들도 무상 정책을 벤치마킹했을 정도로 정책적 차별성은 미미했음에서 이미 예견된 결과이다.

교육감 선거는 그 중요도에 비해 지방선거에서 유난히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그리고 애비메탈과 같은 화젯거리라도 있었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는 달리 이번 선거에서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교육감 선거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게 할 만한 사건도 마땅히 없었다. 그렇지 않아도 교육감 선거의 정치 분리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일부 지역의 교육감 후보들은 아예 노골적으로 문재인 정부 및 더불어민주당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며 대통령 및 여당의 높은 지지율을 선거에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줄 정도였다. # 물론, 보수 후보들 또한 보수 정권에 몸담았던 후보들의 경우에도, 문재인 정부를 비판 혹은 비난하면서 보수 정권에 몸담았던 그 점을 이용했기에, 피차일반이긴하다.

이런 낮은 인지도 때문에 선거에서 이미 된 사람 밀어주자는 '현역 프리미엄'이 강하게 드러나는 편인데,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도 이 부분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재선/3선에 도전한 현역 교육감이 총 12명인데 이 12명이 모두 재선/3선에 성공하였다. 결국 또 다시 교육감 직선제 폐지론이 등장했다. 4년 전 폐지론의 주된 논거는 교육감과 중앙 및 지방 정부 간 불협화음이었는데, 이번에는 시·도지사 및 정부와의 정책적 차별성이 없다는 것을 논거로 내세우고 있는 수준이다. 아마도 보수 후보들이 대거 승리를 거두지 않는 이상 교육감 직선제 무용론은 계속 나올 것으로 보인다.

3.1. 서울특별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특별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특별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서울특별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박선영(朴宣映) 1,762,258 2위
[[보수주의|
보수
]]
36.15% 낙선
조영달(曺永達) 841,599 3위
[[중도주의|
중도
]]
17.26% 낙선
조희연(曺喜昖) 2,271,413 1위
[[진보주의|
진보
]]
46.59% 당선
선거인 수 8,380,944 투표율
59.87%
투표 수 5,018,295
무효표 수 142,625

3.2. 부산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광역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산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석준(金錫俊) 793,013 1위
[[진보주의|
진보
]]
47.79% 당선
김성진(金聲振) 449,961 2위
[[보수주의|
보수
]]
27.11% 낙선
박효석(朴孝錫) 167,533 4위
[[중도주의|
중도
]]
10.09% 낙선
함진홍(咸진鉷) 248,655 3위
[[중도주의|
중도
]]
14.98% 낙선
선거인 수 2,939,042 투표율
58.78%
투표 수 1,727,443
무효표 수 68,381

3.3. 대구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광역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대구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강은희(姜𤨒姬) 464,296 1위
[[보수주의|
보수
]]
40.73% 당선
김사열(金思悅) 434,235 2위
[[진보주의|
진보
]]
38.09% 낙선
홍덕률(洪德律) 241,285 3위
[[진보주의|
진보
]]
21.16% 낙선
선거인 수 2,047,285 투표율
57.3%
투표 수 1,172,217
무효표 수 32,401

3.4. 인천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광역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인천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고승의(高承儀) 388,511 2위
[[보수주의|
보수
]]
29.79% 낙선
도성훈(都成勳) 570,789 1위
[[진보주의|
진보
]]
43.77% 당선
최순자(崔順子) 344,717 3위
[[보수주의|
보수
]]
26.43% 낙선
선거인 수 2,440,775 투표율
55.27%
투표 수 1,349,038
무효표 수 45,021

3.5. 광주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광역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주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이정선(李廷先) 243,574 2위
[[진보주의|
진보
]]
35.80% 낙선
장휘국(張輝國) 258,321 1위
[[진보주의|
진보
]]
37.97% 당선
최영태(崔英太) 178,330 3위
[[진보주의|
진보
]]
26.23% 낙선
선거인 수 1,172,426 투표율
59.20%
투표 수 694,186
무효표 수 13,961

3.6. 대전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광역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대전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설동호(薛東浩) 363,708 1위
[[중도주의|
중도
]]
52.99% 당선
성광진(成光鎭) 322,588 2위
[[진보주의|
진보
]]
47.00% 낙선
선거인 수 1,219,507 투표율
58.0%
투표 수 706,959
무효표 수 20,693

3.7. 울산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울산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산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산광역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울산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구광렬(具廣烈) 67,756 3위
[[중도주의|
중도
]]
11.38% 낙선
권오영(權五榮) 44,783 6위
[[보수주의|
보수
]]
7.52% 낙선
김석기(金石基) 107,173 2위
[[보수주의|
보수
]]
18.00% 낙선
노옥희(盧玉姬) 211,590 1위
[[진보주의|
진보
]]
35.55% 당선
박흥수(朴興壽) 66,541 4위
[[보수주의|
보수
]]
11.17% 낙선
장평규(張平圭) 31,854 7위
[[보수주의|
보수
]]
5.35% 낙선
정찬모(鄭讚謨) 65,490 5위
[[진보주의|
진보
]]
11.00% 낙선
선거인 수 942,549 투표율
64.79%
투표 수 610,695
무효표 수 15,508

3.8.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송명석(宋明錫) 23,417 3위
[[진보주의|
진보
]]
18.26% 낙선
정원희(鄭元喜) 사퇴
[[보수주의|
보수
]]
최교진(崔敎振) 64,207 1위
[[진보주의|
진보
]]
50.07% 당선
최태호(崔台鎬) 40,589 2위
[[중도주의|
중도
]]
31.65% 낙선
선거인 수 222,852 투표율
61.74%
투표 수 137,583
무효표 수 9,370

3.9. 경기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기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기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기도 휘장(2005-2021)_White.svg 경기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현복(金鉉馥) 534,839 4위
[[보수주의|
보수
]]
9.15% 낙선
배종수(裵鍾洙) 522,860 5위
[[중도주의|
중도
]]
8.94% 낙선
송주명(宋柱明) 1,026,091 3위
[[진보주의|
진보
]]
17.55% 낙선
이재정(李在禎) 2,385,410 1위
[[진보주의|
진보
]]
40.81% 당선
임해규(林亥圭) 1,374,911 2위
[[보수주의|
보수
]]
23.52% 낙선
선거인 수 10,533,024 투표율
57.76%
투표 수 6,084,303
무효표 수 240,063

3.10. 강원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강원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민병희(閔炳熹) 426,465 1위
[[진보주의|
진보
]]
54.12% 당선
신경호(申慶浩) 361,523 2위
[[보수주의|
보수
]]
45.87% 낙선
선거인 수 1,296,194 투표율
63.21%
투표 수 819,383
무효표 수 31,395

3.11. 충청북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충청북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북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북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충청북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_White.svg 충청북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병우(金炳佑) 429,605 1위
[[진보주의|
진보
]]
57.13% 당선
심의보(沈義輔) 322,272 2위
[[보수주의|
보수
]]
42.86% 낙선
황신모(黃信模) 사퇴
[[보수주의|
보수
]]
선거인 수 1,318,180 투표율
59.34%
투표 수 782,255
무효표 수 30,378

3.12. 충청남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충청남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남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남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충청남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지철(金知哲) 421,123 1위
[[진보주의|
진보
]]
44.07% 당선
명노희(明魯熙) 284,428 2위
[[보수주의|
보수
]]
29.76% 낙선
조삼래(趙三來) 249,879 3위
[[보수주의|
보수
]]
26.15% 낙선
선거인 수 1,740,399 투표율
58.11%
투표 수 1,011,297
무효표 수 55,867

3.13. 전라북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승환(金承煥) 385,151 1위
[[진보주의|
진보
]]
40.06% 당선
서거석(徐巨錫) 278,361 2위
[[진보주의|
진보
]]
28.95% 낙선
이미영(李美英) 162,603 3위
[[진보주의|
진보
]]
16.91% 낙선
이재경(李在卿) 67,193 5위
[[중도주의|
중도
]]
6.98% 낙선
황호진(黃鎬津) 68,053 4위
[[중도주의|
중도
]]
7.07% 낙선
선거인 수 1,527,725 투표율
65.22%
투표 수 996,428
무효표 수 35,067

3.14. 전라남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라남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라남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라남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전라남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고석규(高錫珪) 351,881 2위
[[진보주의|
진보
]]
34.22% 낙선
오인성(吳仁成) 281,830 3위
[[중도주의|
중도
]]
27.41% 낙선
장석웅(張錫雄) 394,395 1위
[[진보주의|
진보
]]
38.36% 당선
선거인 수 1,577,224 투표율
69.23%
투표 수 1,091,977
무효표 수 63,871

3.15. 경상북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상북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북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북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북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안상섭(安翔涉) 348,125 2위
[[보수주의|
보수
]]
25.30% 낙선
문경구(文卿求) 96,302 5위
[[보수주의|
보수
]]
6.99% 낙선
이경희(李景熙) 235,065 4위
[[보수주의|
보수
]]
17.08% 낙선
이찬교(李瓚敎) 308,362 3위
[[진보주의|
진보
]]
22.41% 낙선
임종식(林宗植) 388,078 1위
[[보수주의|
보수
]]
28.20% 당선
선거인 수 2,251,538 투표율
64.73%
투표 수 1,457,474
무효표 수 81,542

3.16. 경상남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상남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남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남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남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선유(金善有) 294,042 3위
[[중도주의|
중도
]]
16.86% 낙선
박성호(朴成浩) 415,084 2위
[[보수주의|
보수
]]
23.80% 낙선
박종훈(朴鍾勛) 843,735 1위
[[진보주의|
진보
]]
48.39% 당선
이효환(李孝煥) 190,485 4위
[[보수주의|
보수
]]
10.92% 낙선
선거인 수 2,765,481 투표율
65.78%
투표 수 1,819,220
무효표 수 75,874

3.17.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광수(金光洙) 166,620 2위
[[보수주의|
보수
]]
48.79% 낙선
이석문(李碩文) 174,868 1위
[[진보주의|
진보
]]
51.20% 당선
선거인 수 532,514 투표율
65.90%
투표 수 350,933
무효표 수 9,445

[1] 당장, 박근혜 정부 측이 추진하던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에 대해서는 울산과 경북교육감만 호응하고, 나머지 지역의 교육감은 반발하거나 도입에 소극적인 까닭에 시행조차 제대로 못했고 정권 교체 이후 곧바로 폐기되었다.[2] 당시에는 참여정부 인사를 포함한 민주 진영도 진보 진영 후보 단일화에 참여하였다. 대표적으로 경기도의 이재정 전 교육감. 2018년 선거에서도 진보단일화 후보들은 민주진보 단일화 후보라고 이야기했다.[3] 김상곤 전 교육부장관 자체가 경기도교육감 출신이고, 교육감 선거에 진보성향을 내세우며 출마했었다. 하지만 그가 경기교육감 시절에 실시한 혁신학교나 여러 정책들은 호불호가 크게 엇갈렸으며, 혁신학교는 교사들의 업무부담을 가중시키고 경기도 학생들의 학력까지 떨어뜨렸다는 평가를 하는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