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족 또는 귀족에 대한 경칭 (서열순) | |||
폐하(陛下) / 성하(聖下) | 전하(殿下) / 예하(猊下) | 저하(邸下) / 은하(恩下) | 합하(閤下) / 각하(閣下) |
대하(臺下) / 절하(節下) | 궤하(机下) / 안하(案下) | 좌하(座下) / 귀하(貴下) | 족하(足下) |
조선의 용어 (서열순) | |||
마마(媽媽) | 마노라(抹樓下) | 자가(自家) | 대감(大監) |
영감(令監) | 원님(員님) | 나리(進賜) | 선생(先生) |
1. 개요
족하(足下)는 뜻을 풀면 글자 그대로 발아래라는 뜻이다. 이 계통의 호칭들의 속성에서 알 수 있듯이, 가리키는 대상과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급이 높은 거라 보면 되겠다. 폐하의 경우 전각의 섬돌 아래이므로 거리가 굉장히 멀다 할 수 있으며 그렇기에 황제를 부르는 칭호가 된다.2. 유래
족하의 유래는 진문공이 산에 들어가 나오지 않는 개자추를 나오게 하기 위해 산에 불을 질렀지만 개자추는 어머니를 업고 나무를 붙들어 타죽었다. 그를 기리기 위해 붙들어 타죽은 나무를 신발 밑바닥으로 만들어 개자추의 은공을 생각할 때마다 "발아래에 있는 그대를 생각하니 슬프도다(悲乎, 足下)" 라며 개자추의 사람됨이 자신의 발 아래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족하의 경우 기록상으로 춘추시대의 제후들을 부르는 용도로 처음 사용되었다. 춘추시대의 제후라고 하면 특히 초나라를 제외한 나머지 제후들의 작위는 대부분 공(公)으로, 공작위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의 호칭이 아닌가도 싶지만 이 시대에는 춘추오패 같은 거대한 제후국이 있었는가 하면 작은 성읍 하나만 가지고 전전긍긍하던 약소국가도 얼마든지 있었다.
그랬던 것이 전국시대에 들어 약한 제후가 사라지면서 제후를 가리키는 말로서의 성격은 상실하고, 지방관 등 중급 관료나 딱히 작위나 관직은 없지만 명문가 소속의 사람을 부르는 말로 변화하였다.[1] 특히 이 단어는 조선에 들어오면서는 양반 간에 거의 대등한 사이에서 서로를 부르는 말로 사용되었다.
3. 한국사에서
후삼국시대 시기, 고창 전투 이후 후백제 견훤과 고려 왕건이 서로 편지를 보내며 디스전을 펼칠 때 서로를 족하라고 불렀다. 즉 상대방을 군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이다.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이를 반영한 장면이 있는데 견훤이 전쟁 중 궁지에 몰린 왕건에게 항복을 권유하며 "족하, 보시게나!"라는 서두로 시작하는 편지를 보낸 장면이 있다. 즉 엄연히 군주인 왕건을 매우 낮잡아 하대한 것이다.
한편, 이 드라마에서는 앞서 언급했던 그 장면과 별개이기는 하지만 역시 족하로 대하는 장면이 하나 더 있는데, 기훤이 양길로부터 받은 서찰에서 "기훤 족하는 왜 대장군의 영토를 침범하였는가? 이는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니 즉시 점령지를 내놓고 물러갈 것이며 다시는 이런 일을 범하지 말라."는 글을 보고 매우 격노한 나머지 물불 가리지 않고 양길을 공격할 준비를 하려다 기훤의 횡포를 참다못한 부하들한테 끔살당하는 장면이 있다.
고려사 고려세계가 인용한 편년통록엔 승려 도선이 아직 태어나지 않은 왕건을 '미래통합삼한지주 대원군자 족하'라고 쓴 편지를 아버지 왕륭에게 남겼다고 한다. 이후 태조가 17살이 되는 해에 왕건을 찾아 '족하'라 부르며 임금이 가져야 할 도덕을 가르쳐줬다고 한다.
고려 초기 무신인 서북면 도순검사 강조(고려)의 존칭도 족하였다.
조선 시대 기록에는 남효온의 육신전에서 세조 시절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한명회의 간파로 실패한 사육신 유응부가 세조의 국문을 받을 때, 세조를 부르는 호칭으로 등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때에 성삼문은 세조를 왕이 아닌 왕족으로만 여긴다 하여 나으리라고 불렀는데, 유응부는 한 발 더 나가 왕은커녕 왕족으로도 인정할 수 없다며 족하라고 부른 것이다.
현대 단어 조카의 어원이라는 민간어원이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2]
[1] 사기 항우본기를 보면 홍문연에서 장량이 항우와 범증에게 각각 "大王足下", "大將軍足下"로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참고로 이 당시에 항우는 아직 왕이 아닌 초나라 상장군이었으므로 당시 상황에 맞는 대사는 아니다. 그래서인지 자치통감 권9에서는 "將軍足下", "亞父足下"로 서술되어 있다.[2] 조카는 '族下'에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