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23:12:23

대감

1. 신라의 직책2. 고려, 조선 시기 고관을 이르는 존칭3. 무속 용어

1. 신라의 직책

대감()은 신라 때 6정(六停)과 9서당(九誓幢)에 소속되어 장군을 보좌하던 무관(武官)의 직책이다.

2. 고려, 조선 시기 고관을 이르는 존칭

왕족 또는 귀족에 대한 경칭 (서열순)
폐하(陛下) / 성하(聖下) 전하(殿下) / 예하(猊下) 저하(邸下) / 은하(恩下) 합하(閤下) / 각하(閣下)
대하(臺下) / 절하(節下) 궤하(机下) / 안하(案下) 좌하(座下) / 귀하(貴下) 족하(足下)
조선의 용어 (서열순)
마마(媽媽) 마노라(抹樓下) 자가(自家) 대감(大監)
영감(令監) 원님(員님) 나리(進賜) 선생(先生)

대감(大監)은 고려 때 정1품 관리, 조선 때 정2품 이상의 관직을 가진 현직자(現職者)나 산직자(散職者)에게 사용하던 존칭이다. 대감하면 떠오르는 높으신 분이라는 이미지의 근원이다. 오늘날로 보면 국무총리, 부총리, 장관급 인사[1]에게 부르는 호칭. 이순신, 류성룡, 권율, 정도전 등과 같은 기라성같은 명관들이 바로 이 호칭을 듣고 다닌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에 왕손과 종친이 정2품 이상 관직에 제수되거나 그 이상의 직계를 받는 경우 봉호를 앞에 붙여 'OO 대감'으로 불릴 수 있었다.

보통 왕의 아들은 '대군 자가', '왕자 자가' 등 '자가'라는 경칭으로 불렸다.[2] 사극에서 흔히 왕자를 마마로 부르지만 마마는 왕비, 상왕대비, 왕세자, 세자빈을 부르는 존칭이었다. 즉, 사극에서 왕자를 마마로 부르는 것은 명백히 재현 오류이다.

상감은 위 상을 쓰듯 대감의 위에 있으면서 대감을 감독하는 지위의 인물로, 상감은 대부분 왕 한명이지만 양위를 하여 상왕이 존재하는 경우는 상감이 2명일 때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현왕은 상감중에서도 가장 높다는 주상(主上)으로 불리고 상왕은 주상보다 낮은 상감전하다.

즉 주상(主上) 전하 ≥ 상감(上監) 마마 > 대감(大監) 마님 > 영감(令監) 마님 > 현감(縣監) 나리 순이다.[3]

조선시대 기준 각하~저하는 모두 무품이며, 원칙상 대감으로도 불릴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신분을 낮춰부르는 것과 같다. 왕자와 공주들이 무품으로, 왕의 적자녀는 무품 상계, 서자녀는 무품 하계다. 덧붙여 왕은 상감(上監)이다. 조선시대 기준으로 세자저하이며, 대원군 혹은 대군은 합하이며, 부원군 혹은 왕세손각하에 해당하나, 공적 자리 외엔 주로 세자와 세손은 마노라, 일반 왕자들인 대군이나 군, 공주, 옹주, 군주, 현주의 경칭으로 자가를 사용했다. 합하와 각하 등은 실제 관료로서 직무를 맡은 사람에게만 쓰는 용어기 때문이다. 흥선대원군의 경우엔 원래 대원군 합하였으나, 말년에 대원군 대감, 대원군 저하 혹은 국태공 저하라고 불렸으며 독립신문에 따르면 대원군 전하라고도 불렸었다.

KBS 사극 정도전, SBS의 사극 해치, MBC 사극 허준에서 왕자를 대감이라고 호칭하였다. 이는 재현 오류이다.

왕자의 경칭과 관련해서는 자가 문서를 참고바란다.

3. 무속 용어

무속 용어로, 남자 신에 대한 존칭이다. 조상신, 장군신 기타 노인이 아닌 남자신에 대한 존칭이기도 하다.

대는 말 그대로 '크다'라는 뜻이고, 감의 뜻은 '보다'이지만, '검'이 신을 일컫는 고유어임을 감안할 때, 말 그대로 본다는 뜻이 아니라, 이사금의 금, 임금의 금, 그리고 위 항목에서 언급된 대감이나 영감 등과 같이 높은 사람을 호칭하는 말과 상통함을 알 수 있다.


[1] 정부기관의 처장, 통상교섭본부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같은 일부 영향력 있는 차관급도 포함된다.[2] 이들은 무품이어도 왕의 친자이기에, 공주, 옹주와 마찬가지로 '자가'라고 불렸다.[3] 정3품 상계 이상의 당상관은 마님이라 불렸으며, 정3품 하계 이하의 당하관은 나으리(進賜)라고 불렸다. 이 당시만 해도 음독과 훈독이 나뉘어 있었는데, 나아갈 진(進)에 줄 사(賜)를 써서 나으리 라고 훈독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