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7:36:25

쥬라토도스

파일:MHW-Jyuratodus_Render_001.png 파일:쥬라라이즈일러스트.jpg
몬스터 헌터: 월드 (첫 등장) 몬스터 헌터 라이즈 (최신작)

1. 개요

쥬라토도스 인게임 아이콘
파일:쥬라토도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쥬라토도스 라이즈 아이콘.png
MHW MHRise
파일:쥬라토도스 라이즈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이름 쥬라토도스 / ジュラトドス / Jyuratodus
별명 이어룡(泥魚竜)[1]
분류 어룡목-유각어룡아목-이어룡상과-쥬라토도스과
종별 어룡종
아이콘(MHRise) 등장 MHW, MHWI, MHRise, MHRSB
전투 BGM 황야를 다스리는 주인들[2]
(荒野を統べる主たち)
개밋둑의 황야의 늪지에 서식하는 대형 어룡. 진흙을 이용해 사냥감을 잡거나 몸을 보호한다. 영역을 두고 볼보로스와 다툴 때도 있다.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 추가된 어룡종 몬스터. 모티브가 된 동물은 폐어로, 처음에는 볼가노스의 근연종으로 추측되었으나 생태수형도 상 큰 연관이 없는 별개의 종으로 판별되었다.라고 해봤자 생김새부터 패턴까지 영락없는 볼가노스 열화판

설정집에 따르면 쥬라토도스는 현재까지 알려진 어룡종 중 가장 원시적인 형태를 띄고 있으며, 생태수형도 상에서도 유각어룡아목에서 이어룡상과만 다른 어룡종보다 먼저 분기되어있다.

2. 특징 및 공략

2.1. 몬스터 헌터: 월드 ~ 아이스본

몬스터 헌터: 월드 · 아이스본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월드 ]
{{{#000,#fff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도스쟈그라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쿠루루야크 월드 아이콘.png 파일:푸케푸케 월드 아이콘.png 파일:볼보로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쥬라토도스 월드 아이콘.png
독요조
푸케푸케
토사룡
볼보로스
파일:토비카가치 월드 아이콘.png 파일:안쟈나프 월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월드 아이콘.png 파일:치치야크 월드 아이콘.png 파일:파오우르무 월드 아이콘.png
만악룡
안쟈나프
파일:도스기르오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라도발킨 월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레이기에나 월드 아이콘.png
골추룡
라도발킨
파일:키린 월드 아이콘.png 파일:오도가론 월드 아이콘.png 파일:도도가마루 월드 아이콘.png 파일:조라−마그다라오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아종 월드 아이콘.png
환수
키린
참조룡
오도가론
파일:리오레우스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볼가노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우라간킨 월드 아이콘.png 파일:바젤기우스 월드 아이콘.png
용암룡
볼가노스
폭추룡
우라간킨
파일:크샬다오라 월드 아이콘.png 파일:테오−테스카토르 월드 아이콘.png 파일:발하자크 월드 아이콘.png 파일:네르기간테 월드 아이콘.png 파일:제노−지바 월드 아이콘.png
시투룡
발하자크
월드 업데이트
파일:이블조 월드 아이콘.png 파일:맘−타로트 월드 아이콘.png 파일:나나−테스카토리 월드 아이콘.png 파일:베히모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레셴 월드 아이콘.png
공폭룡
이블조
파일:고대 레셴 월드 아이콘.png
고대 레셴*
* 콜라보레이션 몬스터는 *표시.
* 조라 마그다라오스, 제노 지바와 콜라보 몬스터는 마스터 랭크에 대응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아이스본 ]
{{{#000,#fff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브란토도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버프바로 월드 아이콘.png 파일:토비카가치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푸케푸케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파오우르무 아종 월드 아이콘.png
맹우룡
버프바로
파일:벨리오로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나르가쿠르가 월드 아이콘.png 파일:디노발드 월드 아이콘.png 파일:티가렉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브라키디오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얼려 찌르는 레이기에나 월드 아이콘.png 파일:안쟈나프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오도가론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디노발드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월드 아이콘.png
[[얼려 찌르는 레이기에나|
얼려찌르는
레이기에나
]]
뇌랑룡
진오우거
파일:홍련의 솟구치는 바젤기우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죽음을 두른 발하자크 월드 아이콘.png 파일:미친 이블조 월드 아이콘.png 파일:얀가루루가 월드 아이콘.png 파일:티가렉스 아종 월드 아이콘.png
[[홍련의 솟구치는 바젤기우스|
홍련의 솟구치는
바젤기우스
]]
[[죽음을 두른 발하자크|
죽음을 두른
발하자크
]]
[[미친 이블조|
미친
이블조
]]
파일:상처 입은 얀가루루가 월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이베르카나 월드 아이콘.png 파일:네로미에르 월드 아이콘.png
[[상처 입은 얀가루루가|
상처 입은
얀가루루가
]]
파일:모두를 멸하는 네르기간테 월드 아이콘.png 파일:안−이슈왈다 월드 아이콘.png
[[모두를 멸하는 네르기간테|
모두를 멸하는
네르기간테
]]
아이스본 업데이트
파일:라잔 월드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아종 월드 아이콘.png 파일:무페토−지바 월드 아이콘.png 파일: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격앙 라잔 월드 아이콘.png
금사자
라잔
옥랑룡
[[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
[[격앙 라잔|
격앙
라잔
]]
파일:얼음 칼날을 찬 벨리오로스 월드 아이콘.png 파일:알바트리온 월드 아이콘.png 파일:밀라보레아스 월드 아이콘.png
[[얼음 칼날을 찬 벨리오로스|
얼음 칼날을 찬
벨리오로스
]]
황흑룡
알바트리온
흑룡
밀라보레아스
* 이블조, 바젤기우스, 네르기간테, 발하자크는 특수개체가 원종의 마스터 랭크 개체를 대체.
}}}}}}}}}}}} ||
파일:쥬라토도스 월드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파일:최소 금관 월드 아이콘.png 최소 금관 1357.84 ~ 1327.66
파일:최대 금관 월드 아이콘.png 최대 금관 1855.71 ~ 1885.89
서식지 개밋둑의 황야
개밋둑의 황야에 위치한 늪지대에 서식하고 있으며, 온 몸에 진흙을 두르고 이 진흙으로 상대방의 움직임을 봉쇄하거나 몸을 보호할 수 있다. 쥬라토도스와 습성 및 서식 지역이 비슷한 볼보로스는 경쟁 대상이기도 하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늪지대에 있는 아프케로스를 사냥하며 늪지대에 먹잇감이 없을 때에는 종종 늪지대 밖으로 기어나와서 먹잇감을 찾기도 한다.

두 다리로 서 있을 때 죽으면 다른 어룡종들과 달리 비룡종의 사망 모션을 사용한다. 늪에서 헤엄치는 중에 죽어야 어룡종의 사망 모션이 나온다. 또, 이 녀석이 마비에 당했을 때나 쓰러져 있을 때 가끔 아캄토름의 울음소리를 낸다. 이건 월드의 볼가노스도 마찬가지.

수면폭을 안해도 하도 쉽게, 자주잡혀서 잘 모르는 사실이 있는데, 수면폭하기 심히 힘들다. 다른 대형몬스터와는 다르게, 징조없이 바로 펄쩍 뛰어올라 그대로 잠들어버리기 때문. 또, 완전히 잠행했을 때 음폭탄을 던지면 물밖으로 바로 튀어나온다.

둥지에 가쟈우 무리도 서식하고 있는데, 가만히 지켜보면 성격이 사나운 가쟈우 무리가 쥬라토도스를 공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딱히 반격을 하지도 않고, 먹이는 아프케로스이다 보니 덮쳐서 잡아먹지도 않다보니, 그저 때리는 대로 맞으며 소경직에 걸려 움찔대는 쥬라토도스 보고 있으면 안쓰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늪에서는 이동이 빠르므로 육지로 유도하면서 사냥을 해야 한다. 진흙을 두른 곳은 방어력이 올라갔기에 물속성을 가진 무기나 슬링어로 진흙을 벗겨내면서 싸워야 한다.

약점 속성은 대부분의 어룡종들과 마찬가지로 번개속성이다. 하지만 진흙이 있고 없고에 따라 속성치 들어가는 것이 달라지는 것은 유의. 진흙에 덮인 부위는 불속성이 약간 들어가고 물속성에 잘 들어가지만 번개속성이 아예 안들어가며 진흙이 없는 부위는 반대로 번개속성이 들어가고 물속성과 불속성이 안들어간다. 물속성과 번개속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라이트 보우건 '엠프리스셸-명등'은 속성 대응으로는 거의 천적 수준이라고 할 수 있는 무기이다. 어쨋거나 진흙을 벗기면 육질이 물렁해지고 먹튀패턴인 진흙탕구르기도 유도할 수 있으니 근처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가이끼를 슬링어로 쏘아서 진흙을 벗기고 시작하자. 개밋둑 황야의 늪지대 구역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활동 반경이 그리 넓지 않아서 늪지대 구역만 돌아다니면 쉽게 발견할 수 있다.[3] 그리고 체력이 조금 깎이면 착격탄 슬링어가 떨어지므로 이걸 주워서 사용해도 바로 벗겨진다. 머리만 때릴시에는 기절치 추가는 덤.
부위 파괴
부위 부위 파괴 가능 유무
머리 부위 파괴 가능
몸통 부위 파괴 가능
X
지느러미 X
다리 부위 파괴 가능
꼬리 부위 파괴 가능
파괴가능한 부위는 머리, 몸통, 양다리와 꼬리이며 진흙으로 덮여있어 착격탄, 펑펑호두나 물가이끼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두 번씩 파괴해야한다.[4] 물론 진흙탕구르기를 시전하면 진흙이 다시 덮여지므로 공격해서 방해하거나 다음을 대비해두자. 두 번 파괴된 부위는 진흙으로 덮여지지 않는다. 남쪽캠프에서 출발하면 물가이끼를 챙겨가기 귀찮아지는데 이는 발광이끼를 두세 번 맞춰도 벗겨진다. 이후 조금만 때리다보면 쥬라토도스가 점착석(착격탄 슬링어)을 하나 떨구므로 잘 쓰자. 상당히 요긴한데 진흙을 벗길 때 사용할 수도 있고 진흙탕구르기를 방해할 수도 있으며 기절치를 붙여 자빠뜨릴수도 있다. 방해시 유실물이 떨어지는건 덤.

볼보로스처럼 진흙을 이용한 공격을 구사하며 진흙 공격에는 물속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물속성 상태이상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이번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는 진흙 상태이상의 효과가 수정되었기 때문에 진흙이 헌터의 몸에 감기지 않고 그저 헌터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정도로만 작용한다. 또한 도스가레오스처럼 지중잠행을 하여 헌터가 있는 위치에서 힘껏 튀어나와 헌터를 날려버리기도 한다. 쥬라토도스가 두르고 있는 진흙은 파괴할 수 있는데 모두 파괴하면 딱 볼가노스처럼 생겼다.

패턴은 진흙 뱉기, 돌진, 잠복하다 튀어오르기, 꼬리치기, 머리 들이박기가 있는데 돌진의 경우 몸을 파닥파닥거리며 전진하기 때문에 전진만 하는줄 알고 편안하게 때리다가 맞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돌진하고나면 땅 일부가 솟아나면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니 빠르게 따라붙자. 다만 가장 나쁜 경우 위쪽 가쟈우들이 있는 쪽에 돌진하여 어그로를 끌어 헌터가 같이 얻어맞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초반에는 음폭탄 슬링어를 지급해주는데 물속에 잠복할 때 써주면 튀어올라 바둥대므로 슬링어로 진흙을 벗겼다면 바로 음폭탄으로 장전해두자. 납도가 느린무기라면 들어가는걸 보고 뒤늦게 장전하면 이미 늦는다. 마스터 랭크에서는 진흙을 벗기지 않은 부위의 육질이 21~23으로 안 좋아지고, 진흙을 뱉으면서 돌진하는 패턴이 추가되는데, 판정 범위가 매우 넓어지지만 전조도 크고 결국 일직선 돌진인건 매한가지라 크게 위험하지는 않다.

쥬라토도스 수렵 퀘스트를 할 때 애로사항이 피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늪지대 특유의 환경.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는 헌터가 얕은 물이나 습지 위를 지나가면 육상에 있을 때보다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에 쥬라토도스의 공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항은 아래에 서술할 특수 스킬을 띄우면 해결할 수 있다. 쥬라토도스가 뱉어내거나 떨어뜨리는 진흙덩이는 부드러울 때에는 헌터들의 움직임을 방해하지만 잠시 뒤에는 굳어서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좀 더 지나면 저절로 무너져서 사라진다. 굳은 진흙덩이 위에 올라타면 움직임이 둔해지지 않는 데다가 단차 공격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진흙덩이는 다른 지형지물과 마찬가지로 탄과 화살을 막아버리는 성질이 있어서 거너들의 공격을 방해한다.

상술했듯이 볼보로스의 경쟁 상대이기 때문에 같은 지역에서 볼보로스와 마주하게 되면 곧바로 세력 다툼에 돌입한다. 쥬라토도스가 볼보로스를 보면 지중잠행으로 기습한 뒤 볼보로스를 몸통으로 조르지만 볼보로스의 발악으로 내동댕이쳐지게 되면서 대미지를 입게 된다.
세력 다툼
볼보로스
파일:볼보로스 월드 아이콘.png
쥬라토도스가 잠복 후 튀어오르며 볼보로스에게 대미지를 주고 몸을 휘감는다. 볼보로스가 이내 쥬라토도스를 내치며 대미지를 가하고 세력 다툼 종료.
상호 피해 / 무승부

월드의 어룡종은 쥬라토도스와 볼가노스 밖에 없는데, 볼가노스는 사냥을 꺼리는 사람이 많아서 배포 퀘스트로 어룡종 사냥 퀘스트가 나올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쥬라토도스를 잡는다. 용옥 획득확률은 모두 공평하게 같기 때문에 최약체 몬스터중 하나로서 상위 볼보로스와 함께 용옥파밍에 학살되는 몬스터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볼보로스가 클리어 타임이 좀 더 빠르다지만 단단한 육질 때문에 꺼려지는 사람들은 쥬라토도스쪽을 선택하기도 하는데 이때 쥬라토도스 장비로 물가적응 3을 맞추고 사냥하면 물가에서 싸울일이 많은 쥬라토도스 특성상 헌팅이 한결 수월해진다.

2.2. 몬스터 헌터 라이즈 ~ 선브레이크

몬스터 헌터: 라이즈 · 선브레이크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라이즈 ]
{{{#000,#fff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오사이즈치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아오아시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도스바기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울크스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아케노시름 라이즈 아이콘.png
면구룡
도스바기
백토수
울크스스
파일:쿠루루야크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도스프로기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요츠미와두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로아루드로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푸루푸루 라이즈 아이콘.png
기괴룡
푸루푸루
파일:볼보로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바살모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비슈텐고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랑그로토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푸케푸케 라이즈 아이콘.png
토사룡
볼보로스
천구수
비슈텐고
독요조
푸케푸케
파일:쥬라토도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이소네미쿠니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벨리오로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토비카가치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안쟈나프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나르가쿠르가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타마미츠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진오우거 라이즈 아이콘.png
만악룡
안쟈나프
뇌랑룡
진오우거
파일:고샤하기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오로미도로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디아블로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티가렉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야츠카다키 라이즈 아이콘.png
설귀수
고샤하기
파일:라잔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마가이마가도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주인 아오아시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주인 리오레이아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주인 타마미츠네 라이즈 아이콘.png
금사자
라잔
[[주인 아오아시라|
주인
아오아시라
]]
[[주인 리오레이아|
주인
리오레이아
]]
[[주인 타마미츠네|
주인
타마미츠네
]]
파일:이부시마키히코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나루하타타히메 라이즈 아이콘.png
라이즈 업데이트
파일:오나즈치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크샬다오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테오−테스카토르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바젤기우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주인 리오레우스 라이즈 아이콘.png
[[주인 리오레우스|
주인
리오레우스
]]
파일:주인 디아블로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영묘한 광채의 발파루크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주인 진오우거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백룡 연원 나루하타타히메 라이즈 아이콘.png
[[주인 디아블로스|
주인
디아블로스
]]
[[영묘한 광채의 발파루크|
영묘한 광채의
발파루크
]]
[[주인 진오우거|
주인
진오우거
]]
[[백룡 연원 나루하타타히메|
백룡 연원
나루하타타히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선브레이크 ]
{{{#000,#fff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다이묘자자미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쇼군기자미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비슈텐고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가란고르무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이소네미쿠니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루나가론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라이젝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셀레기오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오로미도로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에스피나스 라이즈 아이콘.png
빙랑룡
루나가론
파일:야츠카다키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고어-마가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멜-제나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샤가르마가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격앙 라잔 라이즈 아이콘.png
은작룡
멜-제나
[[격앙 라잔|
격앙
라잔
]]
파일:원망 서린 마가이마가도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가이아델름 라이즈 아이콘.png
[[원망 서린 마가이마가도|
원망 서린
마가이마가도
]]
선브레이크 업데이트
파일:홍련의 솟구치는 바젤기우스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나르가쿠르가 희소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홍련의 솟구치는 바젤기우스|
홍련의 솟구치는
바젤기우스
]]
파일:타마미츠네 희소종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괴이 극복 오나즈치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혼돈에 신음하는 고어-마가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괴이 극복 크샬다오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괴이 극복 테오-테스카토르 라이즈 아이콘.png
[[괴이 극복 오나즈치|
괴이 극복
오나즈치
]]
[[혼돈에 신음하는 고어-마가라|
혼돈에 신음하는
고어-마가라
]]
[[괴이 극복 오나즈치|
괴이 극복
크샬다오라
]]
[[괴이 극복 테오-테스카토르|
괴이 극복
테오-
테스카토르
]]
파일:이베르카나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괴이 극복 발파루크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아마츠마가츠치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괴이 극복 샤가르마가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원초를 새기는 멜-제나 라이즈 아이콘.png
[[괴이 극복 발파루크|
괴이 극복
발파루크
]]
[[괴이 극복 샤가르마가라|
괴이 극복
샤가르마가라
]]
[[원초를 새기는 멜-제나|
원초를 새기는
멜-제나
]]
* 나루하타타히메는 특수개체가 원종의 마스터 랭크 개체를 대체.
}}}}}}}}}}}} ||
파일:쥬라토도스 라이즈 컷신.jpg
파일:쥬라토도스 라이즈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위험도 ★★★★
파일:최소 금왕관 라이즈 아이콘.png최소 금관 1327.66 ~ 1357.84
파일:최대 금관 라이즈 아이콘.png최대 금관 1855.71 ~ 1885.89
서식지 수몰된 숲
귀문의 늪
소문이 무성한 늪의 마수
위험하기를 진창과도 같고
구렁텅이에 빠져서는 이미 뱃속이니

늪의 불온한 그림자
이어룡 쥬라토도스

생태 영상의 모티브 요괴는 불명이나 늪 속에 사는 거대한 뱀 요괴 누마고젠(沼御前)으로 추정.

초반부터 등장한 전작과는 달리 상위부터 출현하게 되었으며[5], 그에 따라 전체적인 상향을 받았다. 포효에 판정이 생긴 건 물론이고 구작/월드의 볼가노스 패턴을 상당수 채용했다. 따라서 패턴이 위협적으로 바뀌고 행동속도도 빨라져, 월드에 비해 난이도가 높은 몬스터로 재탄생했다. 진흙으로 둘러싸고 덮치는 악랄한 패턴도 사용한다. 진흙발사도 분노 상태에는 한번에 3개씩 발사해서 피하기 어려워졌다.
육질표
부위 참격 타격 번개 얼음
머리 63 63 53 5 0 10 5 5
43 43 43 5 0 10 5 5
몸통 35 35 35 10 0 25 5 5
25 25 25 5 0 15 5 5
지느러미 25 25 25 10 0 20 5 5
다리 45 45 40 15 0 30 5 5
꼬리 55 50 45 5 0 10 5 5
부위 파괴
부위 부위 파괴 가능 유무
머리 부위 파괴 가능
몸통 부위 파괴 가능
X
지느러미 X
다리 부위 파괴 가능
꼬리 부위 파괴 가능
약점 속성 및 파괴 가능한 부위는 전작과 동일하다.

정말 대경직이 안 나오는 몬스터 중 하나다. 이전처럼 경직치 누적으로는 물밖으로 뛰쳐나오는 소경직으로 바뀌었다. 사실상 대경직 없는 몬스터라고 봐도 될 정도로 프리딜타임이 정말 적다.

마스터랭크는 한술 더떠서 진흙브레스도 자주 뿌리면서 행동은 빨라젔는데 육질은 더럽고 대경직 잘 안나오는게 시너지를 일으켜서 제일 잡기 싫은 몬스터급으로 격상되었다. 심지어 괴이화한 개체의 경우 같은등급이나 그 뒤에 해금되는 녀석들보다 수렵시간이 늘어지고 피곤하기짝이 없는 똥몹으로 낙인찍힌 상태. 이리저리 움직이는 패턴이 많고 육질이 더러워 괴이화 해제가 어려운편이다. 특히 악질적인 부분은 발에 큐리아를 달고 잠행해버리는 경우.

육지에 있는 동안에는 두 다리로 서서 움직이는데, 쥬라토도스의 활동 구역이 전부 물가에 몰려있어 육지에서 싸우더라도 물가로 가서 진흙을 다시 두르는 것을 반복한다. 때문에 쥬라토도스를 물가에서 완전히 떨어뜨리려면 환경생물 연기족제비를 이용해서 9번 구역이나 10번 구역처럼 육지로만 이루어진 장소로 유인해야 하며, 이것도 잠시나마 육지로 끌어오는 것이라 구역 내 전투 시간이 지나 다른 맵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무조건 물가로 이동한다.

또한 기력감소저항수치를 보면 잘통한다고 표시되어 있지만 멸기탄 등을 통해 약30초 정도밖에 두다리로 선다.

몬스터의 강함과는 반대로 용 조종 성능은 썩 좋지 않다. 두 발로 선 상태로 조종하는데 앞 강공격의 철산고, 뒤 강공격의 꼬리치기 모두 선딜이 있으며, 뒤 약공격의 진흙 뱉기는 물 속성 피해를 걸 수 있지만 후딜이 길어 회피 캔슬을 써야 한다. 용 조종 비기도 헤엄치면서 돌진하는 게 끝이다.

전작과는 달리 볼보로스와 서식지가 달라져서 둘의 세력 다툼을 볼 수 없게 됐다.

2023년 5월 24일 배포된 MR 이벤트 퀘스트 '이어룡으로 불을 끄자!'에서 이어룡만 3마리 나오는데 각각 최소금관, 보통, 최대금관 크기이며, 퀘스트 목표는 이들 중 한 마리만 잡으면 된다. 보수로 장식주 제작에 필요한 수라, 유리, 금강, 명왕원주를 얻을 수 있다.

3. 장비 및 소재

3.1. 몬스터 헌터: 월드 ~ 아이스본

파일:쥬라1.png
쥬라 α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220 -5 10 -15 0 0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0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0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0
스킬
물속성 공격 강화 3/6 | 물가/쌓인 눈 적응 3/3 | 얼음 내성 2/3 | 집중 2/3 | 진흙 내성 1/1
파일:쥬라2.png
쥬라 β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220 -5 10 -15 0 0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0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4
스킬
물속성 공격 강화 2/6 | 물가/쌓인 눈 적응 1/3 | 얼음 내성 1/3 | 집중 1/3 | 진흙 내성 1/1
파일:쥬라11.png
EX쥬라 α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590 -5 10 -15 0 0 파일:4레벨 슬롯 아이콘.png×0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3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3
스킬
물속성 공격 강화 5/6 | 힘의 해방 4/7 | 얼음 내성 3/3 | 집중 3/3
파일:쥬라22.png
EX쥬라 β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590 -5 10 -15 0 0 파일:4레벨 슬롯 아이콘.png×5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0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3
스킬
물속성 공격 강화 4/6 | 힘의 해방 3/7 | 얼음 내성 2/3 | 집중 2/3

3.2. 몬스터 헌터 라이즈 ~ 선브레이크

[ 무기별 외형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6f6652><table bgcolor=white,#1f2023><table color=#ffe1ad> 파일:쥬라토도스 무기 선브레이크 1.png ||
대검 / 태도
파일:쥬라토도스 무기 선브레이크 2.png
쌍검
파일:쥬라토도스 무기 선브레이크 3.png
슬래시액스 / 차지액스
파일:쥬라토도스 무기 선브레이크 4.png
라이트보우건

무기는 대검, 태도, 쌍검, 슬래시액스, 차지액스, 라이트보우건 6종이 존재한다.

상위 검사 무기는 전반적으로 물 속성이 약간 붙고 깡딜이 어느 정도 나오는 대신 역회심이 조금 달려 있다. 슬래시액스는 파예리가 없는 대신 속성치가 높은 둔기 사용 커스텀용 장비이다.

마스터 랭크 검사 무기 중 태도 발토스-가라+는 높은 공격력과 함께 역회심 -10%가 달려 있다. 흰 예리 80타라는 긴 흰 예리도를 갖고 있으며 슬롯도 31슬롯이라 세팅하기에도 쉽다. 덕분에 역회심을 지우기도 어렵지 않으며, 장인 1로도 보라 예리도가 나오기 때문에 보라 예리도 운용도 가능하다. 물속성 수치는 29로 낮아, 부가적인 느낌이 강하다.
파일:쥬라 라이즈.png
쥬라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희귀도
240 -5 10 -15 0 0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3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9 5
스킬
공격적인 방어 2/3 | 회피 거리 UP 2/3 | 강화 지속 3/3 | 가드 강화 3/3
방어구는 전체적으로 장식주 슬롯이 넉넉하고 본작에서 몇 안되게 가드강화가 붙어 있다. 머리 파츠[10] 및 다리 파츠[11]는 랜스, 건랜스, 차지액스용 커스텀 장비로, 몸통 파츠[12]는 슬래시액스용 커스텀 장비로 자주 사용된다. 팔 파츠는 스킬이 없고 3/2/1 슬롯인 방어구 중 하나로, 3레벨 장식주 슬롯이 많이 필요한 거너가 자주 사용한다.
파일:쥬라X 선브레이크.png
쥬라X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희귀도
480 -5 10 -15 0 0 파일:4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2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9 8
스킬
공격적인 방어 3/3 | 회피 거리 UP 3/3 | 앙심 5/5 | 강화 지속 3/3 | 튠 업 1/2 | 가드 강화 3/3
마스터 랭크 방어구는 앙심이 추가되고 몸통 파츠에 보우건 전용 스킬인 튠 업이 1레벨 붙어 있다. 외형은 고대 로마의 검투사라는 모티브가 강조되어 투구가 얼굴을 완전히 가리게 되는데, 이로서 모티브 삼은 무르밀로의 형상에 더욱 가까워졌다.

파일:쥬라동반자 선브레이크.png
쥬라고양이 / 쥬라가루

4. 관련 문서


[1] 진흙 (泥), 물고기 (魚).[2] 개밋둑의 황야 대형 몬스터 범용 BGM.[3] 주로 10번 구역에서 많이 출몰한다.[4] 다리와 등에 덮인 진흙은 한번만 벗기면 되지만 좌우로 한번씩 쏴주면 풀린다.[5] 무려 집회소 5성 긴급퀘스트로 등장한다.[6] 활이 없고 슬액, 차액이 있는 게 웬 생뚱맞은 소리인가 하겠지만, 집중은 대대로 버프 무기들의 게이지 쌓기에도 보너스를 주어 왔다. 슬액의 빠른 게이지 쌓기와 차액의 빠른 병 충전 및 소소한 추가효과로 고압 속성베기 차지시간 단축은 굉장히 유용한 효과. 반면, 활은 전통적인 차지샷보다는 차지 스텝이나 발사 연계를 이용한 즉시 충전이 대세가 되었기 때문에 집중보다는 체술을 가져가는 편.[7] 회심 0에 물속성 210. 세팅을 최적화 하면 물속성 약점에 한해선 무격주와 둔기사용으로 딜뻥을 한 블로스클럽보다 더 뛰어난 경우도 있다. 여타 속성과 비교하면 쟈나프사이클론은 불속성 210이지만 역회심이 20이고, 키린 소재 신뢰는 번개 270이지만 깡딜이 조금 떨어지는 편이다. 단점이 있다면 좀 못생겼다는 것이지만 그래도 블로스클럽보다는 낫다.[8] 거진 무반동으로 산탄2를 약점에 흩뿌릴 수 있다. 커강도 3개를 지원. 아깝게도, 마지막 양심인지 참렬탄이 없어서 꼬짤은 못한다.[9] 얀가루루가 소재의 헤비보우건[10] 공격적인 방어 1, 회피 거리 UP 1, 2/1/0 슬롯[11] 가드 강화 2, 2/1/1 슬롯[12] 강화 지속 2, 회피 거리 UP 1, 1/1/1 슬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