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집춘문 | ||||||||||||||||
← | 대온실 | 관덕정 | | ㅣ | |||||||||||||
창덕궁 | 춘당지 | 국립어린이과학관 | ㅣ | ||||||||||||||
ㅣ | | 관리사무소 | 월근문 | ||||||||||||||
ㅣ | 성종 태실 | 앙부일구 풍기대 | ㅣ | ||||||||||||||
| ㅣ | ||||||||||||||||
함양문 | ㅣ | ||||||||||||||||
ㅣ | |||||||||||||||||
| 통명전 | 양화당 | 집복헌 | 영춘헌 | | ㅣ | |||||||||||
ㄴ | ㄱ | ㅣ | |||||||||||||||
ㅣ | 경춘전 | 환경전 | ㅣ | ||||||||||||||
ㅣ | ㅣ | ||||||||||||||||
ㅣ | 함인정 | 명정전 | 명정문 | ㅣ | |||||||||||||
빈양문 | 옥천교 | 홍화문 | |||||||||||||||
ㄴ | ㅡ | ㅡ | ㅜ | ㄱ | 숭문당 | ㅣ | |||||||||||
ㅣ | 문정전 | ㅣ | |||||||||||||||
ㅣ | ㅣ | 문정문 | | ㅣ | |||||||||||||
ㅣ | ㄴ | ㅡ | ㄱ | | | ㅣ | |||||||||||
ㄱ | ㅣ | ㅣ |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ㅓ | ㅣ | ||||||||||
ㅣ | | | | ㅣ | ㅣ | ||||||||||||
ㅣ | | | | | 일영대 | ㅣ | |||||||||||
ㅣ | 선인문 | ||||||||||||||||
ㅣ | | | | |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북장문 | + | ㅡ | ㅡ | ㅡ | ┛ | ||||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 ||
<colbgcolor=#bf1400> 창경궁 누국 昌慶宮 漏局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 |
건축시기 | 1536년 1908년 이후 (철훼) |
1. 개요
창경궁의 건물이다. 물시계인 자격루를 관리하던 건물로 현재는 없다. 관천대의 북쪽, 동룡문의 북서쪽에 있었다.2. 이름
누국(漏局) 또는 보루각(報漏閣)으로도 불렀다.3. 역사
|
<colbgcolor=#bf1400> 《동궐도》의 누국 |
그 이후 1824년(순조 24년) 장마로 무너져서 재건했으나 그 해 11월에 화재로 인해 다시 지었다.
그후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어 창경궁 궐내각사 복원 공사 4단계(2035년~2037년)에 복원할 예정이다.
안에 있던 자격루의 누기는 덕수궁의 광명문을 거쳐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존중이다.
4. 구조
|
<colbgcolor=#bf1400> 《동궐도형》의 누국 |
- 《동궐도》에는 ㄱ자의 건물이지만 《동궐도형》에는 서쪽으로 증축해서 ㄷ자의 건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