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집춘문 | |||||||||||||||||||||||||||
← | 대온실 | 관덕정 | | ㄴ | ㅡ | ㅡ | ㄱ | |||||||||||||||||||||
창덕궁 | 춘당지 | | ㅣ | |||||||||||||||||||||||||
ㅣ | | 국립어린이과학관 | ㅣ | |||||||||||||||||||||||||
ㅣ | 성종 태실 | 앙부일구 풍기대 | 관리사무소 | ㅣ | ||||||||||||||||||||||||
| ┏ | 월근문 | ┛ | |||||||||||||||||||||||||
함양문 | ㅣ | |||||||||||||||||||||||||||
ㅣ | ||||||||||||||||||||||||||||
┏ | ㅡ | ㅡ | | 통명전 | 양화당 | 집복헌 | 영춘헌 | | ㅣ | |||||||||||||||||||
ㅣ | ||||||||||||||||||||||||||||
ㅣ | ㄴ | ㄱ | ㅣ | |||||||||||||||||||||||||
ㅣ | ㅣ | 경춘전 | 환경전 | ㅣ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함인정 | 명정전 | 명정문 | ㅣ | ||||||||||||||||||||||
ㅣ | | | 빈양문 | 옥천교 | 홍화문 | |||||||||||||||||||||||
ㅣ | | ●칠분서 | | ㄴ | ㅡ | ㅡ | ㅜ | ㄱ | 숭문당 | ㅣ | ||||||||||||||||||
┏ | ㅡ | ㅡ | ㄱ | ㅣ | ●삼삼와 | ●승화루 | ●평원루 | ●한정당 | ●취운정 | ㅣ | 문정전 | ㅜ | ┛ | |||||||||||||||
ㅣ | | | | | ┛ | ●낙선재 | ●석복헌 | ●수강재 | ㅣ | ㅣ | 문정문 | | ㅣ | |||||||||||||||
ㅣ | | | | | ㅣ | ㄴ | ㅡ | ㄱ | | | ㅣ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ㅓ | ㅣ | |||||||||||||||||||||
ㅣ | | | | ㅣ | ㅣ | |||||||||||||||||||||||
ㅣ | | | | | 일영대 | ㅣ | ||||||||||||||||||||||
ㅣ | 선인문 | |||||||||||||||||||||||||||
ㅣ | | | | |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북장문 | + | ㅡ | ㅡ | ㅡ | ┛ | |||||||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 ||
<colbgcolor=#bf1400> 창경궁 오위도총부 昌慶宮 五衛都摠府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 |
건축시기 | 창건시기 미상 1908년 이후 (철훼 추정) |
1. 개요
창경궁의 건물이다. 문정전의 남동쪽에 있었다.2. 용도
오위도총부는 조선 전기 중앙군인 오위를 통솔하던 관청이나 조선 후기에는 유명무실해지고 왕족의 명예직이나 문관들에게 직위를 줘서 궁궐 숙위만을 담당하게 하는 곳이 되었다.3. 역사
1466년(세조 12년)에 오위진무소(五衛鎭撫所)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편되면서 그 이후에 수강궁을 창경궁으로 고치면서 오위도총부 청사도 지은 듯 하다. 처음부터 현재 자리에 있었는지는 확실히 모른다.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탄 후 현재의 위치에 재건했으나 창경궁의 궐내각사는 왕이 창경궁에 머무는 경우가 적어서 그 위치가 고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창덕궁과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서 빈 건물이 되어있다가 1781년(정조 5년)에 창덕궁의 오위도총부를 헐고 그 자리에 규장각을 이건하면서 다시 제기능을 했으며 혼전이 된 문정전 근처에 있다보니 국상 때에는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의 혼궁과 환경전의 화재로 인해 효장세자의 임시 빈궁이 되기도 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헐리고 현재는 없지만 창경궁 궐내각사 복원 공사 2단계(2031년~2032년)에 복원할 예정이다.4. 구조
※ 현재는 없는 건물이기 때문에 《동궐도》,《동궐도형》의 모습을 토대로 서술하였다.
|
<colbgcolor=#bf1400> 《동궐도》의 오위도총부 |
|
《동궐도형》의 오위도총부 |
- 중앙에 대청이 있는 '日'자 형태의 건물로 담장으로 둘러싸인 남동쪽에 외행각이 있으며 《동궐도》,《동궐도형》의 차이는 《동궐도》에선 오위도총부의 북행각이 문정전 외복도각과 연결되어 있는데 《동궐도형》에서는 분리되있고, 외행각이 《동궐도》에선 3칸,《동궐도형》에선 5칸인 점이다. 또한 남서쪽에 후대인 《동궐도형》에는 신당을 지었고 이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