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083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F08300> 광명1~7동 | 광명동 | 옥길동(6동 관할) | |
철산1~4동 | 시청 철산동 | ||
하안1~4동 | 하안동 | ||
소하1, 2동 | 소하동 | ||
일직동 | 일직동 | ||
학온동 | 가학동 | 노온사동 | }}}}}}}}} |
광명시의 법정동 철산동 鐵山洞 | Cheolsan-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행정표준코드 | 4121010200 |
관할 행정동 | 철산1~4동 |
하위 행정구역 | 108통 753반 |
면적 | 2.86㎢ |
인구 | 50,730명[A] |
인구밀도 | 22,426.22명/㎢ |
1. 개요
광명시의 법정동. 광명시의 중심지역이다. 지금의 철산3동 상업지구 일대에 있던 자연촌락인 쇠머리(쇠메)마을에서 유래되었다.[2]1911년에 시흥군 서면 철산리(지금의 철산역 인근 상업지구 일대를 중심으로 한 철산3동 일대. 원철산이라고도 한다), 연서(모세. 지금의 철산2동 일대), 사성리(지금의 철산1동 일대)가 시흥군 서면 철산리로 통합되었고, 1978년에 철산리 전역의 서울전화 편입이 완료되었으며, 1981년 광명시 철산동으로 개편되었다. 시 승격과 동시에 철산1동부터 철산4동까지 설치되었다. 이런 것은 광명동도 사정은 마찬가지.
동 대부분이 철산동 택지개발이 진행된 1980년대 초중반에 지어진 철산주공아파트가 위치해 있고 이때 지어진 낡고 허름한 아파트가 많아서 현재 도덕산 자락에 위치한 철산4동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재건축중이며, 철산3동쪽 옛 저층 주공아파트는 이미 재건축이 완료되었다.
관할 행정동으로는 철산1동~철산4동이 있다. 국회의원 선거구로 보면 20대까지는 1,2,4동은 광명시 갑, 3동은 광명시 을이었으나, 21대 총선부터는 전 지역이 광명시 갑에 속한다.
자연지형으로 보면 광명시청이 있는 석고개 능선부터 철망산[3] 안현고개(혹은 철미고개)까지 사이를 말하며, 철산리 일부(철망산 북쪽)가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이후 하안리로 편입되었다곤 하지만, '지적도' 보면서 딱딱 나누던 시절도 아니고 주민은 다들 철산리로 알고 살았다. 그리고 1980년대 철산동 택지개발구역에도 포함되었다.
광명시 최대의 번화가인 철산상업지구와, 이 동에 있는 지하철역인 철산역이 유명하다.
여담으로 한자 이름이 북한의 평안북도 철산군과 완벽하게 동일하다.
2. 산하 행정동
2.1. 철산1동
광명시의 행정동 철산1동 鐵山一洞 | Cheolsan 1(il)-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2 | ||
관할 법정동 | 철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16통 120반 | ||
면적 | 0.52㎢ | ||
인구 | 10,611명[A] | ||
인구밀도 | 20,463.4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갑 | |
| 임오경 (재선) | ||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 |||
| 김정호 (초선) | ||
광명시의원 | 가 선거구 | |||
| 김종오 (초선) | ||
| 안성환 (3선) | }}}}}}}}} | |
행정복지센터 | 사성로 121 (철산동 9-141) | ||
철산1동 행정복지센터 |
지역 공립고로 알려진 광명북고와 광복시장이 있다. 아파트 단지로는 철산주공리버빌(401세대)[5], 철산KBS우성아파트(900세대,정밀안전진단 통과,재건축 진행중), 철산동 광복현대(841세대), 광명롯데낙천대(442세대), 광명철산두산위브(900세대)도 있다. 왜 광북이 아니라 광복인 이유는, 예전에 이곳에 독립유공자 유족 및 후손을 위해 광복아파트 단지(지금의 현대아파트 단지 자리)가 조성된 지역이었기 때문이다.[6] 조선당시에는 철산리와 별개인 행정구역으로 사성리(뱀수) 지역이었다. 지금은 '사성로'라는 도로명과 '사성교'라는 교량명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안양천에 있는 인도교인 뱀수다리는 일제강점기 당시에 건립된 것으로, 광명과 영등포를 잇는 중요한 가교역할을 했었다. 지금은 그저 안양천 자전거족을 위한 인도교로 전락해버렸지만.
광명북고 뒤편으로 언덕가의 주택가로 가면 광명1동이다.
안양천 이동(以東) 월경지가 있다.[7] 신구로유수지와 롯데광명물류센터 일대. 하지만 서울특별시(금천구)의 행정력이 닿는 금천구 독산동 월경지와 다르게 광명시의 행정력이 닿지 않는 방치된 지역이다.[8] 신구로유수지쪽은 치안도 서울구로경찰서가 맡는다. 수돗물도 광명시 급수지역이 아닌, 서울시 급수지역이다. 네이버 지도에는 철산1동 월경지 일부가 철산2동 소속으로 나오는 오류가 있다. 그리고 월경지의 나머지 지역은 조용한 주택가인 이서(以西)지역과는 달리 소규모 자동차 정비공장이 모여있다. 최근에는 '가산디오스텔'이라는 오피스텔이 들어서는 등 사정이 좀 나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다소 슬럼화되어있다.
반대로 철산1동 쪽에도 구로동 월경지가 있다. 물론 월경지 대부분이 둔치라서 서울시, 구로구의 행정력이 닿지 않는다. 이쪽은 광명시가 관리하는 것으로 구로구와 협의가 된 상태라고 한다.
[clearfix]
2.2. 철산2동
광명시의 행정동 철산2동 鐵山二洞 | Cheolsan 2(i)-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3 | ||
관할 법정동 | 철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24통 153반 | ||
면적 | 0.95㎢ | ||
인구 | 5,508명[A] | ||
인구밀도 | 5,875.7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갑 | |
| 임오경 (재선) | ||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 |||
| 김정호 (초선) | ||
광명시의원 | 가 선거구 | |||
| 김종오 (초선) | ||
| 안성환 (3선) | }}}}}}}}} | |
행정복지센터 | 시청로 61 (철산동 160-4) | ||
철산2동 행정복지센터 |
철산1동과 철산3동 사이에 있는 동네. 자연촌락인 모세(연서)마을이 있었다. 연서는 지금의 광명동초등학교와 현충공원 인근에 있었다. 정작 연서라는 이름은 하안동에 있는 연서초등학교가 써먹고 있다. 이 동네에는 약간 영국식 저층아파트와 비슷한 구조의 저층아파트 단지가 들어서있는데 이 유형의 아파트 건물들이 철산3동의 주공7단지와 철산2동의 주공8단지에 걸쳐있다. 한 세대가 2층에 걸쳐있다는 점에서 흠좀무. 물론 주공7, 8단지 각각 이런 식의 아파트 건물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저층 아파트 건물들도 있다[10].
2014년 들어서 철산 주공 7, 8, 9,10,11 단지 재건축 떡밥으로 떠들썩한 분위기. 참고로 이 일대 아파트 가격이 3.3제곱미터 당 4천만원 정도라고 한다(...). 서울시내 웬만한 동네의 새 아파트 수준. 2019년에는 7단지 이주가 완료되어 철거 후 공사중 (철산 롯데캐슬 & SK뷰 클래스티지). 2021년 8,9,10,11단지 이주 예정 (시공사: GS건설) 8, 9단지는 이미 철거되었다.
이곳에 천주교 수원교구 광북성당이 있다.
네이버 지도상에는 철산2동에도 안양천 이동 월경지가 있다고 나오는 오류가 있다. 그쪽은 철산1동.
[clearfix]
2.3. 철산3동
광명시의 행정동 철산3동 鐵山三洞 | Cheolsan 3(sam)-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4 | ||
관할 법정동 | 철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48통 345반 | ||
면적 | 1.05㎢ | ||
인구 | 37,043명[A] | ||
인구밀도 | 35,386.67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갑 | |
| 임오경 (재선) | ||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 |||
| 김정호 (초선) | ||
광명시의원 | 가 선거구 | |||
| 김종오 (초선) | ||
| 안성환 (3선) | }}}}}}}}} | |
행정복지센터 | 철산로 56 (철산동 449-1) | ||
철산3동 행정복지센터 |
광명시청과 광명경찰서, 철산역, 철산상업지구, 철산도서관, 광명성애병원, 술집들, 음식점들, 기타 각종 관공서[12]가 밀집해 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광명시의 중심지로 통하는 곳이다. 광명시에서 약속 잡는다면 십중팔구 철산역 1번 출구나 2번 출구에서 만난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이 있다. 현지 주민은 철산상업지구를 '상지'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철산주공2·3단지가 각 철산하늘채·푸르지오, 철산래미안자이아파트[13]로 재건축되었으며 이들 단지 말고도 철산 한신아파트, 쌍마 한신아파트, 철산 주공 12단지, 13단지와 같은 고층아파트 단지들이 있다. 아까 전에 언급한 철산 주공 7단지도 있었지만 2022년 현재 롯데건설, SK건설에서 시공한 철산역 롯데캐슬&SK VIEW 클래스티지아파트로 재건축이 완료되었다.
철산초등학교와 철산중학교가 이어져 있고 맞은 편에는 진성고등학교[14]가 있다.
쇠머리마을은 지금의 상업지구와 철산주공12단지 일대에 있었으나 1980년대 중반에 도시 개발로 사라졌다. 만일 '쇠머리'를 제대로 옮겼다면 철산동(鐵山洞)이 아니라 우두동(牛頭洞)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지역을 원철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또 쇠머리마을와 도덕산 사이 '어딘가에' 왕승골[15]마을이 있었던 모양이지만, 1960년 서면초등학교 철산분교(현 광덕초등학교) 개교 이후에는 학교정문 앞과 오른쪽에 모였던 마을을 왕승골로 불렸다.
더불어 학교 왼쪽에는 1970년대 '철산시장'이 생겼는데 왕승골과 도덕산 판자촌(속칭 달동네)[16] 주민의 생필품 등을 공급했다가, 철산상업지구 철산시장상가 건물로 이전한다. 그 자리는 철산주공4단지로 개발됐다 다시 재건축을 위해 철거 후 철산센트럴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
구 철산주공 2단지(구 철산동 373, 현 철산동 637), 3단지(구 철산동 552, 현 철산동 634)와 구 하안주공 본1단지(구 하안동 764, 현 하안동 864), 본2단지(구 하안동 769, 현 하안동 863)는 1976년 서울 구로공단 정비계획의 일환으로 계획되어 1980년대 초반에 준공되었다. 광명시의 현대사에서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의 마지막 흔적이었던 셈.[17] 2006년에 재건축을 위해 철거되었고, 2009년말~2010년초에 재건축이 완료되었다.
철산대교 서울시 구간과 한진택배 물류센터 부지 일부, 가산동 유수지 등이 원래는 철산3동의 월경지였으나 행정구역 경계 조정으로 1995년에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세이브존 광명점 부지는 원래는 하안동이었으나 한신아파트가 지어지고나서 철산동으로 편입되었다. 철산초, 철산중 일부 부지도 철산동 주공아파트 단지 사업 이전에는 하안리였을 가능성이 있다.
철산3동 주민센터는 재미있는 역사가 있는데, 1994년경까지 간발의 차이(!)로 법정동 하안동에 위치한 현 시립한빛어린이집 건물[18]이 당시 철산3동 동사무소 건물이었다.근거 기사 1994년에 철산주공 13단지 쪽 건물(현재 어린이집)로 이전하여 쓰다가, 2013년에 철산도서관 건물로 재이전. 13단지의 주민센터 건물 역시 시립어린이집(!)으로 리모델링되었다. 그런데 그 문제의 하안동 771, 772번지가 행정동 철산3동 관할이라는 것.
보라색 건물이었던 철산 12단지 대로변 구 상가건물은 리모델링하여 천주교 수원교구 철산3동성당이 되었다. 건물 자체를 천주교 수원교구 측에서 아예 매입한 것. 철산4동 철산성당에서 분리되어 철산주공 12단지, 13단지와 철산한신아파트를 관할구역으로 편입하였다.
[clearfix]
2.4. 철산4동
광명시의 행정동 철산4동 鐵山四洞 | Cheolsan 4(sa)-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5 | ||
관할 법정동 | 철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20통 135반 | ||
면적 | 0.32㎢ | ||
인구 | 10,712명[A] | ||
인구밀도 | 33,625.00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갑 | |
| 임오경 (재선) | ||
경기도의원 | 제2선거구 | |||
| 최민 (초선) | ||
광명시의원 | 나 선거구 | |||
| 이재한 (초선) | ||
| 이형덕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도덕공원로 60 (철산동 489-2) | ||
철산4동 행정복지센터 |
도덕산 산자락에 위치해 있다. (자연)촌락이 있기 힘든곳이나, 1960년대 이후, 유입 외지인이 기존의 촌락을 피해 철산분교(현 광덕초등학교) 뒷편 산기슭을 타고 올라가며 판자촌(달동네)을 이루게 된 것. 그러므로, 4동내에는 평지가 거의 없다. 전통적인 경계없이 철산동과 하안동을 잇는 '구도로'(舊道路)[20][21]로 철산3동과 구분하였다. 쇠머리마을 장씨 유지들이 지역발전을 위해 사액을 들여 건설한 도로라고 한다.
지금은 동 남쪽지역은 고층아파트 단지(도덕파크,브라운스톤, 푸르지오)로 재건축이 되었으나, 동 북부지역과 일부 고지는 여전히 달동네의 특성이 존재하여, 사진작가들이 가끔 찾아오기도 한다. 이 곳에서 차량운전및 주차는 최고난이도를 자랑한다.
도시미관및 환경개선 차원에서 광명시청이나 경기도청이 아닌 서울특별시청(!)이 이 일대 담벼락에 벽화를 그리는 사업을 시행한 적 있다. 차라리 옥길동은 농촌 법정동이니 낫지 싶을 정도로 대우가 박한데, 1990년대까지만 해도 동사무소가 철산3동에 있었다(!) 철산4동과 딱 붙어 있긴 하고 그래서 지금은 동사무소 건물이 있는 땅을 철산4동으로 편입했다. 그러니까, 다른 4동 지역과는 달리 도로 건너편에 딱 있는 유일한 건물이다. 그런데 광명시청 측 공식지도에는 철산4동 주민센터 부지가 철산4동으로 편입되어 있는 걸로 나오지만, 다음과 네이버 지도에서는 아직도 철산3동인 것으로 나온다.
지금의 도덕파크 단지 어딘가에 철산리 시영아파트[22]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2023년 현재 철산3동 일부인 단독필지를 포함하여 철산4동 달동네 일대가 광명뉴타운 재개발로 인해 이미 퇴거가 이루어졌고 철거 및 재개발이 예정되어 있어 이 달동네도 역사속으로 사라질 전망이다. 2024년 11월 현재는 최상층부까지 아예 거의 철거되었다고 보면 된다.
도덕산 야생화공원과 넝쿨어린이도서관, 동네한바퀴도서관등 소규모 도서관이 있다.
철산3동 일부(철산쌍마, 단독필지, 철산래미안자이, 철산센트럴푸르지오, 철산푸르지오하늘채)[23], 철산4동 일대과 하안1동 일부(주공5단지, 두산트레지움, 이편한세상센트레빌)를 관할하는 천주교 수원교구 철산성당도 이 동네에 있다.
[clearfix]
3. 주변 시설
3.1. 기관
3.2. 주거
- 아파트
4. 교통
4.1. 버스
철산동 지역에 운행하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운행 버스 | |
심야버스 | N61 |
간선버스 | 503ㆍ504ㆍ643ㆍ651ㆍ652ㆍ653 |
지선버스 | 5012ㆍ5528ㆍ5535ㆍ5536ㆍ5630ㆍ5634ㆍ5714ㆍ6616ㆍ6638 |
일반시내버스 | 2ㆍ3ㆍ11-1ㆍ11-2ㆍ12ㆍ17ㆍ21ㆍ22ㆍ27ㆍ75ㆍ101ㆍ388 |
마을버스 | 구로11 |
공항버스 | 6014 |
4.2. 전철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이 철산동 중심지에 있어 이용하기 편리하며 광명시 최북단 지역인 철산1동 지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구일역을 안양천을 건너 도보로 접근이 가능하다.[A] 2024년 8월 주민등록인구[2] 쇠머리 → 쇠뫼/쇠메 → 철산. 음차하는 과정에서 쇠머리에서 철산으로 변형되어 옮겨진 것.[3] 이 산에서 '철산'이란 명칭이 나왔다는 이설이 있다.[A] [5] 철산1동의 최북단으로 구일역 역세권이며, 고척스카이돔까지 500m 거리로 도보 이동이 가능하다.[6] 철산1동 주민센터에 가면 그것에 관한 기념패와 비슷한 것이 있다.[7] 롯데광명물류센터 일대. 예전에는 이곳에 대우자동차 정비공장이 있어서 의외로 광명시의 귀중한 대기업 사업장 돈줄이 되어주었다.[8] 과거 철산3동 월경지도 이런 식으로 방치되어서 주민들의 고생이 많았다고 한다. 결국 1995년 금천구 가산동으로 편입되면서 철산3동 월경지 문제는 해결.[A] [10] 단지 내에서는 이런 2층집들을 아파트가 아닌 '빌라'라고 부르며 구별한다. 사실 건물 층수가 3층에 불과해서 일반적인 아파트로 분류할 수는 없지만.... 실제 거주자들의 평을 들어보면 대략 30평 정도 되는 집을 2층으로 만들어놔서 꽤나 불편하다고 한다.[A] [12] 2012년 10월 6일부로 광명소방서가 철산동에서 소하동으로 이전하였고 기존 건물은 광명시 안전센터로 리모델링되었다.[13] 구 철산주공 3단지를 재건축하면서 삼성물산과 GS건설(구 LG건설)이 공동시공을 담당하면서 이렇게 명명되었다. 101동~109동 삼성물산 시공(래미안), 110동~117동 GS건설(구 LG건설) 시공(자이).[14] 다만 진성고등학교는 하안4동에 속해 있다[15] 명칭자체는 조선시대부터 있었다.[16] 현 철산4동 기원[17] 엄밀히 말하자면 광명시에 남아있는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의 마지막 흔적은 철산대교 및 광명동 시가지와 하안동 서울시립 근로청소년복지관이다. 광명동이 전면 재개발되거나 근로복지관이 철거된다면 광명에 남아있는 서울시 도시계획의 마지막 흔적으로는 철산대교만 유일하게 남게 된다.[18] 철산동우체국이 바로 옆에 있다. 골때리는 건 그 우체국도 하안동...[A] [20] 나중에 새로 닦인 신도로 '광덕로'(현 오리로)와 대비되어 나온 명칭으로 이전엔 그냥 '도로' 였다. 철산동에 하나밖에 없는 도로였으니까. 현재 명칭은 도덕공원로.[21] 진짜 역할은. 지금은 '디지털로'로 따로 불리는 부분과 원래 한 도로로 철산대교 통해 서울 가는 도로였다. 정작 하안동과 연결성은 '광덕로' 즉 지금의 '오리로'가 개통된 이후에나 제 의미가 있었다.[22] 당연히 서울시에서 지은 공영아파트.[23] 철산3동성당 신설로 주공 12단지, 13단지, 철산한신아파트 관할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