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6 20:56:02

최적화 프로그램

1. 개요2. 기능3. 대표적인 프로그램
3.1. Windows 자동 유지 관리 (Windows 8 이상에서는 최우선 권장)
4. Windows 10에서의 이슈
4.1. 결론
5. 여담

1. 개요

computer system optimizer

컴퓨터스마트폰의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이다. 클린업 소프트웨어(cleanup software) 혹은 클리너(cleaner)라고도 지칭한다. 백신 프로그램이 이 기능을 탑재하기도 한다.

PC 클린업 프로그램들과 달리 스마트폰 클리너 앱들 중엔 실질적인 클린업 기능은 별로인데 허위 백신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최적화해 주는 척' 보이는 앱들이 많으니 주의해야 한다.[1] 구별법은 캐시 클리너를 돌려보고 캐시가 지워졌는지, 용량이 늘어났는지 확인해 보는 것. C클리너 앱처럼 대표적으로 최적화 시 캐시를 진짜 잡아내는 클리너 앱은 캐시 소거 기능을 사용해 보고 나면 정확히 숨은 캐시들을 잡아내 지우기 때문에 폰의 용량이 (캐시가 지워진 만큼) 늘어난다. 반대로 최적화시키는 흉내만 내고 기능이 없는 앱들은 캐시 소거 기능을 써도 실질적으로는 캐시가 극소량만 지워지거나 캐시가 전혀 지워져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오래된 최적화 프로그램이나 옛날에 만들어진 최적화 팁은 오히려 최신 운영 체계를 더 느리고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기능

3. 대표적인 프로그램


3.1. Windows 자동 유지 관리 (Windows 8 이상에서는 최우선 권장)

Windows 8부터 등장한 내장 기능으로 컴퓨터가 유휴 상태일 때 알아서 이것저것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통합 정리한 기능이며, OS 자체 내장 최적화 프로그램으로 볼 수도 있다.

참고로 자동 유지 관리는 가끔씩 수동으로 돌려주면 더 좋다. 시작 메뉴에 간단하게 '유지' 두 글자 입력하면 검색 기능으로 제어판의 '보안 및 유지 관리'가 맨 위에 뜨는데, 여기서 '유지 관리'를 열어서 자동 유지 관리의 '유지 관리 시작'를 눌러주면 된다.

수동으로 실행하면 마우스나 키보드를 건드렸다고 자동으로 멈추지도 않고 유지 보수 작업 중에 CPU와 스토리지를 많이 점유할 때가 있어서 작업이 버벅거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동으로 동작 중인 유지 관리를 정지시키려면, 제어판의 보안 및 유지 관리에서 정지시키면 된다.

자동 유지 관리 끄기를 최적화 방법으로 설명하는 잘못된 정보가 많다. 이 자동 유지 관리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Windows의 특수한 데이터들을 정리하는 것이 기본적인 역할로 자동 유지 관리는 Windows가 버벅이지 않게 방지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이므로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윈도우 자체의 컴포넌트들을 점검하여 버그 방지에도 큰 기여를 한다.

자동 유지 관리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는지는 Microsoft가 공개하지 않고 업데이트 돌리고 바이러스 검사한다고 두루뭉술하게 둘러대는데 일단 자동 유지 관리는 Windows XP 시절에도 있던 task scheduler에 유휴 상태를 찾아 (밀린 작업까지 합쳐서) 예약 작업을 돌리도록 개선한 것이지만 기존의 작업 예약 기능과는 좀 다른 점이 많다.

자동 유지 관리는 기존의 작업 예약처럼 Windows와 서드파티 프로그램들이 작업을 예약해 놓되 예약 시간에 작업을 돌리는 방식 대신 유휴 시간에 작업을 돌리고 데드라인이 지정된 작업만 강제로 돌리는 시스템이지만 Microsoft가 일반인은커녕 IT 전문가도 해당 분야 전문이 아니면 모르는 Windows의 회색 영역들에 서드파티 프로그램들이 접근하는 방법을 Windows 10에 추가된 컴포넌트를 API로 써서 접근하는 것으로 통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해당 작업들이 자동 유지 관리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안티바이러스나 각종 유틸리티 프로그램들이 자동 유지 관리 기능을 통해 악성코드 검사나 각종 최적화 작업을 예약할 수 있긴하고 Windows 내장 기능 실행을 예약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흔히 생각하는 "그 작업들"과는 좀 다른 일들이 주로 자동 유지 관리에 예약된다.[6][7]

자동 유지 관리가 동작할 때 리소스 모니터를 열어서 디스크 활동을 살펴보면 각종 특수 데이터들에 대한 읽기/쓰기 활동을 볼 수 있는데 이것에는 NTFS 비트맵 등 파일 시스템의 특수 영역, 시스템 API 데이터, 특수 로그 파일, 드라이버 관련 구성 요소 데이터 등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또한 서드파티 프로그램들의 로그 파일들 중 Windows 구성 요소를 이용해 하는 활동에 관한 로그들을 자동 유지 관리가 정리하기도 한다. 즉 뭔가 쌓여서 떡지기 좋은데 보안상 일반적인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영역이라 사제 프로그램으론 손볼 수 없는 것들을 유지, 보수해 주는 것이 자동 유지 관리의 진정한 역할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주로 회색 영역의) 최적화자동화'란 개념이다.

또한 유휴 상태일 때 시작되는 자동 유지 관리는 사용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우스키보드를 살짝이라도 건드리면 즉시 중단된다. 다만 데드라인이 지정된 작업 때문에 가끔 강제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Windows 10 이후에도 자동 유지 관리가 유저 작업을 버벅거리게 한다는 경험담은 이것 때문이 나온 것. 현재 자동 유지 관리의 유일한 문제점[8]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바로 상술한 설명한 것처럼 가끔 수동으로 돌려주는 것이 가장 좋다. 그게 귀찮다면 컴퓨터를 수동으로 종료하지 말고 전원 옵션을 적당히 조절해서 60~90분 정도의 유휴 시간을 가진 후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들어가게 하면 해당 유휴 시간마다 자동 관리가 실행되어 필요한 작업이 있는지 살펴보게 되므로 강제 진행을 피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66
, 8.1.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Windows 10에서의 이슈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80
, 8.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8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컴퓨터IT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 Windows VistaWindows 7, 심지어는 Windows XP에서 Windows 10으로 바로 올라오는 사용자들이 유독 여러 가지 호환성 문제나 시스템 불안정성에 부딪히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를 모두 단일한 사례로 일반화할 수는 없겠으나, 유독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들보다도 어느 정도 안다는 사람들이 이런 문제에 봉착하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의심하던 해외 MS 및 윈도우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매우 유력한 이론을 하나 내놓았는데, Windows 8 이전 시절의 최적화 소프트웨어 및 트릭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예시) 사실 심한 경우 윈도우 XP, 심지어 2000 시절에 이미 퇴물이 된 레지스트리 트윅을 지금도 적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은근히 많다. 오죽하면 "레지 아무 데나 veryveryfast=1이라고 추가한다고 해서 컴퓨터가 빨라지지 않는다"는 일침까지 나왔을 지경이다.[9] 과거 지금보다 훨씬 더 느리고 저장 공간도 작은 컴퓨터를 쓰던 시절, NT 커널 구버전의 부실한 RAM 관리 및 잉여 레지스트리가 문제를 일으키면서 윈도우 파워유저들은 시스템을 안정화하기 위해 수많은 방법을 사용했다. 그런데 이 시절에 컴퓨터를 좀 안다고 트릭을 배웠던 사람들이 이후 컴퓨터에 관심을 끊으면서 윈도우 10에 들어와서도 똑같은 방식으로 최적화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 문제는 윈도우 비스타가 나올 때부터 지적되었던 문제로, 사용 환경이 XP→Vista에서 7/8/8.1→10으로 바뀐 것에 불과하다. 더구나 윈도우 10 특유의 '기능 업데이트' 때문에 10년 넘게 잘 사용한 것을 물론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수십 대의 윈도우 10에서 정상 작동을 확인한 최적화 프로그램이 오늘은 부팅 불능을 일으킬 수도 있다.(사례 1, 사례 2) 이 문제를 피하려면 가급적 기능 업데이트를 최대한(몇 달 정도) 늦게 설치하고, 시스템을 건드릴 만한 프로그램은 윈도우 10의 해당 버전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설치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각 최적화별로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위험할 수도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4.1. 결론

괜히 이상한 거 건드리지 말자. 안 그래도 윈도우가 알아서 다 해 준다.

평소에 상술한 자동 유지 관리를 한 번씩 돌려주고, 시스템이 뭔가 꼬였다 싶어도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파워 쉘)에서 2+1 가지 명령어[26]를 통해 복구 후에 재부팅하면 어지간한 건 해결된다. 그래도 안 되면 설정 > 복구 > PC 초기화를 누른 후에 파일 유지만 시켜줘도 깔끔하게 고쳐진다.[27] Windows 10은 그 정도로 고도의 자동화가 이루어진 OS이다. 비록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등의 일부 요소들로 인해서 사용자에게 주어진 권한과 자유도는 줄어들었지만, 그 대신 시스템 관리의 전반적인 자동화가 매우 진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윈도우 파워유저들에겐 조금 마땅찮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매킨토시 유저들이 macOS를 다루는 듯한 그런 감각으로 접하게 된다면 자동화를 추구한 Windows 10의 장점들을 점차 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Advanced System Care 같은 '종합' 최적화 프로그램은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28] Windows에 내장된 디스크 정리 유틸리티나, 구라제거기 같이 한 가지 주제를 확실히 파고드는 녀석은 상관없는 편.
시스템 문제가 생겼거나 해서 포맷이 불가피하다 할 때, Windows 7에서는 아예 복구 DVD를 넣고 돌려야 할 판이었지만, Windows 10에서는 바이러스가 심하게 들러붙지 않은 한, 초기화만 돌려줘도 해결된다. 만약 바이러스가 심하게 걸렸다 싶어도 모든 파일 삭제로 내부 파일을 한 번 날려버리고 나머지 파티션도 같이 포맷으로 정리해 주면 어느 정도 정리되는 편이다. '모든 파일 삭제'를 선택한 초기화는 설치한 시스템 드라이버나 누적 업데이트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거의 포맷과 동일한 수준으로 정리를 해준다. #[29] 특히 Windows 10은 시스템 자체적으로 복구 기능을 지원하는데, 이 덕에 복구 미디어가 없더라도 공장 초기화가 가능해졌다.[30] Windows 10 2004 버전부터는 기존의 오프라인 초기화 기능 외에 클라우드 초기화, 즉 서버에서 설치 이미지를 받아서 초기화해 주는 기능까지 생기게 되었다.[31]

5. 여담



[1] 이쪽으로 악명 높았던 허위 최적화 프로그램의 사례로 ieasysoftware의 '이지윈클리너(아카이브)'가 있다. 한동안 잘 모르는 이들이 혹했었지만, 오코리아(아카이브)라는 조잡한 포탈 홈페이지로 시작 페이지를 강제 고정시키는 것으로 악명 높았다. 참고로 이 회사가 이지윈클리너 다음에 그 악명 높은 허위백신 다잡아를 만들었다. 오코리아 사이트는 없어졌지만 다잡아는 15년 넘게 현역이다.[2] WIndows 7부터 처음 설치 시 일정 용량을 시스템 파티션으로 따로 생성한다. 이를 없애고 단일 파티션으로 잡았을 경우를 뜻한다. UEFI가 기본인 요즘 환경에서는 나올 수 없는 경우.[3] nProtect 같은 것들[4] 해당 링크는 엄연히 CCleaner 공식 홈페이지 다운로드 페이지이고 과거 프리웨어 시절에는 권장하던 페이지였다! 단지 언젠가부터 잘 안 보이는 구석에 처박아 놓고 언급을 피하는(...) 것뿐이다. 사실 없애려 들었다가 원조 팬들에게 욕을 무진장 먹고(...) 조용히 철회한 결과이다.[5] 많아 봐야 10mb[6] DISM을 돌려서 배포 파일을 점검하는 게 마이크로소프트가 설명한 작업 내용에 그나마 부합한다.(...)[7] HDD에 일정 이상 조각난 드라이브가 있는 상태에서 돌리면 조각 모음도 한다. 그러니깐 흔히 생각하는 작업들도 일부 포함되긴 하지만 무조건 하는 게 아니라 일정 트리거를 만족해야만 작동하는 식으로 들어가 있다는 얘기.[8] 너무 자동화만 잘해 놓고 사용자에게 아무것도 알려주지 않는다. 심지어 데드라인이 지정된 작업 때문에 강제로 진행될 때에도 알림 센터에 메세지 하나 띄우지 않는다. 이게 뭔지, 왜 이러고 있는 건지 원하지 않는 변수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하는 게 정석인지를 전혀 설명해 주지 않으니 상황 파악도 못 하고 이상한 꼼수(자동 유지 관리 끄기를 최적화로 소개하는 정보라든가)만 생기는 것이다.[9] 사실 아예 안 쓰게 된 레지값이라면 차라리 낫다. 아무 의미 없는 글자 몇 개를 추가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 최소한 그거 때문에 뭔가가 망가지거나 느려질 확률은 극히 낮다.[10] SSD의 경우에는 디스크 조각 모음을 해서 얻는 이득이 거의 없기에 굳이 할 필요가 없으며, 억지로 했다가는 오히려 디스크 수명을 단축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SSD 최적화 팁 참고.[11] 심지어 GPU에서 이런 빠른 SSD를 이용해 캐싱하기도 한다.[12] 사실 윈도우 API를 사용하는 이 Trim이 속도를 위한 RAM 캐시로 잡아놓은 데이터까지 반환해 버리는 등 상당히 공격적임에도 불구하고, 속도 관련 이슈가 그다지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일부 프로그램이 정말 램을 그렇게 많이 써도 되는지는 충분히 의문이 될 만하다.[13] 그래서 너무 자주 쓰면 필수적인 데이터도 정리되거나 가상 메모리로 옮겨지기 때문에 오히려 시스템이 엄청나게 느려진다. 개인용 SSD는 상상할 수도 없었고 HDD끼리 비교해도 요즘 물건에 비하면 엄청 느리던 시절이었으니...[14] L1 캐시 같은 하드웨어적인 캐시 말고 데이터를 RAM에 캐시해 놓는 기능[15] 마지막 링크 결론을 보면 알겠지만 버그는 18년도 말쯤에 해결되어 현재 원칙적으로는 필요 없다. 다만 이후에도 비슷한 증상을 ISLC로 완화/해결했다는 사례는 있어서 혹시 모르겠다 싶다면 한번 써보자.[16] 읽기 캐시로 메모리를 채워 놓은 걸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프로그램이 지 혼자 삽질하거나, 반환 요청에 응답하는 속도가 느려서 스터터링이 생기는 문제. PUBG가 특히 악명 높았다. 읽기 캐시를 공격적으로 채워 넣기 시작한 Windows 10 Creator update부터 문제가 심해진 편. 이를 위해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로 유명한 Wagnardsoft에서 만든 게 Intelligent standby list cleaner (ISLC)[17] 뷰티플 메모리 방식, 또는 (윈 10 버그 사례 이후) ISLC 방식, 또는 둘 다 지원(대표적으로 Process Lasso)[18] 최대한 구버전을 쓴다고 해도, 각 버전을 최대 24개월만 보안 패치를 지원하기 때문에 무한정 버틸 수도 없다. 단, LTSB는 예외.[19] '보안된 데스크톱'이라고 한다. 화면이 어두워지고 UAC 화면만 표시되게 되며, 동시에 UAC 화면이 띄워진 상태에서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이 같이 발동하게 되기 때문에 악성 프로그램이 UAC 화면을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권한 상승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타블렛을 통한 조작이 불가능하며, 화면 캡쳐도 차단된다. 반디캠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녹화를 하는 중에 UAC 창이 뜨면 녹화된 영상에 UAC 화면은 잡히지 않고 커서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20] 지금으로선 상상하기 힘들겠지만, 당시에는 펜티엄4 3.0GHz에 DDR1 512MB도 현역으로 쓰이던 시절이었다(...).[21] 일례로 CCleaner나 AIDA64를 로그인 시마다 실행되도록 하는 옵션을 사용한다면, 초기에는 무조건 매 실행 시마다 UAC 경고 메시지를 봐야 했으나, 2017년 현재는 경고 메시지를 띄우지 않는다.[22] 편의성, 호환성 등.[23] WDDM은 Windows Vista부터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의미하며, Windows XP 시절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XDDM(Windows XP Display Driver Model)이라고 부른다. 그래픽 카드가 WDDM을 지원해야 Windows Aero도 사용할 수 있다.[24] dxdiag에서 "VRAM + (시스템 메모리 용량의 절반)"을 전체 용량으로 보여준다. 최신 윈도우에서는 물리 VRAM과 공유 메모리 용량이 어떻게 되는지도 따로 보여준다.[25] 내부 과정을 잘 보면 기존 윈도우를 Windows.old로 백업하고 다시 설치하는 사실상 업그레이드 과정이기 때문이다. 기능 업데이트 자체가 새로운 버전의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기 때문.[26]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 sfc /scannow #. 그 전에 혹시라도 C:\가 있는 드라이브에 물리적, 논리적 오류가 있을 경우를 대비해 chkdsk도 해주는 게 좋다. 문제가 발견되면 시키는 대로 chkdsk /f 후 재부팅부터 하자. 윈도우 업데이트 후 구버전 파일 정리까지 합친 방법#[27]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윈도우 설치 파일을 따로 다운받아서 실행할 경우 프로그램까지 유지할 수 있다.[28] 때문에 제대로 알고 있는 컴덕들은 해당 툴을 쓰더라도 자신이 원리를 정확히 알고 있고 현재 윈도우 버전에 괜찮다고 확신하는 몇몇 기능을 GUI로 편하게 실행하는 용도로만 쓰고, 정작 해당 툴에서 주력으로 미는 기능은 전혀 안 쓰는 경우가 더 많다.[29] 시스템 드라이버는 유지되는 게 있고 초기화되는 게 있는데, 당연히 초기화되는 쪽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유지되는 쪽의 드라이버 문제이면 해당 드라이버를 언인스톨/롤백해야 된다. 어떤 이유로든 그게 불가능하면 전통적인 포맷을 하는 쪽이 빠르게 해결할 가능성이 더 높다.[30] Windows 7까지는 기능 자체가 없었으며, Windows 8.1은 복구 DVD나 USB를 꽂아야만 자동으로 초기화를 해주는 반쪽짜리 기능이었다. 물론 대기업 컴퓨터는 자체적으로 복구 파티션을 내장했기 때문에 버전 상관없이 초기화가 가능하기는 하다.[31] 시작 -> 실행 ->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후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를 입력해 주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