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구축함 | 카미카제급 구축함(1905), 우미카제급 구축함, 이소카제급 구축함, 사쿠라급 구축함, 카바급 구축함, 모모급 구축함, 나라급 구축함, 미네카제급 구축함 | |||
잠수함 | 가와사키형 잠수함, O4형, O6형 | ||||
방호순양함 | 니타카급 방호순양함, 나니와급 방호순양함, 치쿠마급 방호순양함 | ||||
경순양함 | 텐류급 경순양함, 쿠마급 경순양함 | ||||
장갑순양함 | 아사마급 장갑순양함, 야쿠모급 장갑순양함, 아즈마급 장갑순양함, 이즈모급 장갑순양함, 카스가급 장갑순양함, 츠쿠바급 장갑순양함, 쿠라마급 장갑순양함 | ||||
순양전함 | |||||
전함 | <colbgcolor=#ffffff,#191919> 전/준 드레드노트급 | 후지급, 시키시마급, 카토리급, 사쓰마급, 이와미C, 히젠C, 페레스베트급C,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C | |||
드레드노트급 | 카와치급, | ||||
포함 | 반조급, 마야급, 오시마급, 후시미급, 우지급, 사가급, 아타카급A | ||||
어뢰정 | 1호형 어뢰정, 5호형 어뢰정, 코타카급, 후쿠류급C, 21호형 어뢰정, 22호형 어뢰정, 26호형 어뢰정C, 27호형 어뢰정C, 29호형 어뢰정, 39호형 어뢰정, 50호형 어뢰정, 67호형 어뢰정, 시라타카급, 하야부사급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치요다), 다이요급(다이요-운요-추요-신요-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河内型戦艦 |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의 카와치급 전함은 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1] 1909년 4월 1일에 요코스카 해군공창에서 기공하여 1910년 10월 15일 진수 후 1912년 3월 31일에 준공되어, 1914년 8월 10일에 일본 해군에 취역한 전함이다. 카와치는 12인치 45구경장 4기, 50구경장 연장포탑 2기를 장착하여 강력한 화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 동형함은 셋쓰(攝津)가 있다.2. 상세
육각형의 배치로 인해 우현 혹은 좌현으로 화포발사시 반대쪽 현의 화포는 사용할 수 없어 한쪽 포는 완전히 무용지물이 되었다. 다만 시대 배경상 이 부분은 그렇게까지 문제가 아니었고,[2] 진짜 문제는 주포의 구경장이 포탑마다 달랐다는 것. 중앙의 포가 45구경장, 전후가 50구경장이어서 사격지휘에 문제가 있었다.포의 구경장이 달라지면 구경이 동일하더라도 사거리와 탄도 특성이 완전히 달라진다. 즉, 동일한 목표물을 쏘려면 포의 부앙각부터 서로 다르게 잡아야 한다. 결국 일을 두 번 해야 하는데 빠르게 사격제원을 산출해야 하는 전투 상황에서는 문제가 커질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부포의 종류가 지나치게 다양해서 마찬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후의 전함들이 주포와 부포의 규격을 통일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카와치는 취역 후 4년 뒤인 1918년 7월 12일에 도쿠야마 만에서 훈련 도중 화약고가 폭발하는 사고로 인해 침몰했다. 이 폭발사고로 카와치의 수병 621명이 사망했는데 인양을 단념하여 결국 9월 21일에 카와치는 함적에서 제적처분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칭다오 전투에 참가하여 독일령 칭다오에 포격을 가하기도 했다. 이후 일본 최초의 국산전함 후소급 전함이 나오고 구식화되었다.
2번함 셋쓰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1922년 무장 해제되어[3] 표적함으로[4] 변경되었으며, 1936년에는 폭격훈련용 표적함으로 개조되었다.[5] 이후 1945년 구레 군항 공습 당시 미해군 TF38 소속 F6F 헬켓들의 공습을 받고 좌초, 이후 잔존 무장마저 모두 제거된 채로 수상병영으로 개조되던 도중 추가적인 공습으로 완전히 버려졌다. 전후에는 인양 후 스크랩되었다.
3. 제원
카와치형 전함 [ruby(河内型戦艦, ruby=Kawachi-gata senkan)] | ||
이전급 | 사쓰마급 | |
다음급 | 후소급 | |
기준배수량 | 21,157톤 | |
만재배수량 | 21,787톤 | |
전장 | 162.5m | |
전폭 | 25.7m | |
흘수 | 8.5m | |
승조원 | 999 ~ 1100명 | |
출력 | 25,000SHP | |
최고 속력 | 21노트 (약 39km/h) | |
항속거리 | 18노트 (약 33km/h) 순항 시 5,000km | |
동력 | 기관 | 미야바라 수관식 보일러 16기 |
증기 터빈 2기 | ||
추진 | 2축 프로펠러 | |
무장 | 주포 | BL 2연장 12인치 50구경장 Mk.11 ~ 12 함포 2기 |
부포 | EOC 2연장 12인치 45구경장 함포 4기 | |
41년식 15cm 45구경장 함포 10문 | ||
QF 4.7인치 Mk.1 함포 8문 | ||
QF 3인치 12파운더 양용포 12문 | ||
어뢰 | 18인치 어뢰 발사관 5문 | |
장갑 | 측면 | 127 ~ 305mm |
갑판 | 30mm | |
포좌 | 279mm | |
포탑 | ||
사령탑 | 254mm |
4. 동형함 목록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비고 |
카와치 (河内) | 1909년 4월 1일 | 1910년 10월 15일 | 1912년 3월 31일 | 1918년 7월 12일 탄약고 폭발로 침몰 | |
셋쓰 (摂津) | 1909년 1월 18일 | 1911년 3월 30일 | 1912년 7월 1일 | 1923년 10월 1일 | 표적함으로 운용 후 1946 ~ 1947년 스크랩 |
5. 매체에서
- 워 썬더 해상전 대형함 트레일러에서 등장하는 걸로 보아 출연이 확정되는 것이 유력해졌다. 그리고 2번함 셋쓰로 정식 트리에 편입되었다.
[1] 그러나 후술할 결함으로 준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분류되기도 한다.[2] 해당 배치는 독일의 나사우급 전함, 헬골란트급 전함과 동일하고, 영국의 HMS 드레드노트의 포탑 배치와도 유사하다. 영국의 기술 지원으로 해군을 키우고 있었던 당시 일본인지라 배치가 저렇게 되었으며, 당시의 전함들에서는 그렇게 드물지 않게 채택되던 구조였다.[3] 이 때 제거된 50구경장 주포탑은 쓰시마 요새의 요새포로 전용되었고, 45구경장 주포탑은 일단 해체된 뒤 예비물자로 보관되었다. 또한, 12cm 부포 중 1문이 후쿠오카시에 위치한 카시이궁(香椎宮)이라는 신사에 기증되어 현재까지도 보존되고 있다. #[4] 셋쓰 자신이 표적이 되는 것이 아니라, 표적물을 끌고 다니는 용도였다.[5] 이 과정에서 무인조종장치를 탑재했다. 다만 완전히 무인조종이었던 것은 아니고, 훈련시에만 무인으로 조종하며 훈련 장소까지 끌고 가는 것은 승무원들이 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