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2:36:37

켄드릭 라마/생애 및 활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켄드릭 라마|켄드릭 라마]]

1. 개요2. 데뷔 이전3. 데뷔

1. 개요

켄드릭 라마의 생애와 활동을 서술하는 하위 문서.

2. 데뷔 이전

파일:켄드릭 어린시절.jpg 파일:켄드릭 어머니 2.jpg
여자친구와 함께 어머니와 함께
1987년 6월 17일 캘리포니아주 컴턴에서 태어났다. 전 갱단 멤버인 아버지와 미용사 어머니의 첫째 아이이며, 부모님은 모두 시카고 사우스사이드 출신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다. 켄드릭이 10대였을 때, 아버지가 Gangster Disciples에 소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1984년에 컴턴으로 이사를 갔다. 켄드릭의 이름은 템테이션스의 싱어송라이터 에디 켄드릭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7살까지 외동아이였고 이런 그를 어머니는 외톨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후 두 명의 남동생과 여동생을 출산하게 되면서 외동에서 벗어났다. 사촌으로는 농구 선수 닉 영과 래퍼 베이비 킴이 있다.

켄드릭과 그의 가족은 Section 8 주택에서 살았고, 복지와 식량 쿠폰에 의존하는 등, 노숙자 생활을 했다. 켄드릭은 특정 갱단의 일원은 아니지만 웨스트사이드 피루스(Westside Pirus)의 가까운 지인들과 함께 자랐으며, 힘든 일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집 파티에 몰래 들어간 것과 같이, 힙합 음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이 있다고 회고한다. 켄드릭은 세속적으로 자랐지만 가끔 교회 예배에 참석했고 할머니에게 성경을 배웠다. 다만 어린 시절 설교의 공허하고 일방적인 성격 때문에 영적으로 불만족스러웠다고 말하는 걸 보면, 그다지 좋은 경험이 아니었던 듯하다.

켄드릭은 처음으로 자신의 목소리가 녹음된 것을 듣고 랩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켄드릭은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의 첫날을 경험한 후 경찰의 잔혹 행위에 대해 알게 되고, 다섯 살 때는 아파트 단지 밖에 앉아 있을 때 처음으로 살인을 목격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10대 마약상이 차량에서 총격을 당해 사망한 사건이었는데, 켄드릭은 나중에 NPR Music 인터뷰에서 "바로 그 자리에서 저는 무언가를 깨달은 것 같아요."라고 밝힌 바 있다.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어쩌면 익숙해져야 할 무언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이후, "때때로 부모님은 제가 아이로서 반응하는 것에 대한 오명을 씌웠어요. 제가 다치더라도 울지 않기를 기대했죠."고 고백했다. 그만큼 어린 시절의 켄드릭이 성숙했다는 이야기다.

학교에서 켄드릭은 학업적으로 우수했으며 조용하고 관찰력이 뛰어난 학생이었다. 로버트 E. 맥네어 초등학교의 1학년 담임 교사는 켄드릭이 '대담함'이라는 단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을 듣고 작가가 되라고 격려했다. 이후 켄드릭은 뱅가드 학습센터의 영어 선생님인 레지스 인지(Regis Inge)로부터 시에 대해 처음 접하게 되는데,[1] 힙합과의 관련성을 통해 켄드릭은 운율, 은유, 암시를 공부했고 이로 인해 작곡에 빠지게 되었다.[2][3] 초기에 쓴 글들은 당시에 앎고 있던 우울증 때문에 세속적이었지만 오히려 심리적 외상과 우울증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가지고 왔다.[4]
파일:켄드릭 고등학교.jpg
고등학교 시절의 켄드릭 라마
센테니얼 고등학교(Centennial High School)로 진학한 켄드릭은 10학년 때 여름 학교에 등록했는데, 이때 갱단 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켄드릭은 이를 피하려고 노력했지만 곧 컴턴의 쾌락주의적 갱단 문화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수많은 건강 문제와 경찰과의 마찰이 발생했다. 다행히 갱 출신이었던 아버지가 개입하여 갱단과는 거리를 두라는 충고를 들은 뒤에는 그러한 생활 방식에서 멀어지게 되었다.[5] 이후, 16세 때 친구의 죽음 이후 세례를 받고 기독교로 개종했다.[6] 본인의 말에 의하면 친구들이 전부 갱단과 관련이 있어서 유혹을 지속적으로 받았지만, 2005년에 전교 A 학생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하는데 성공했다고. 원래는 대학에서 심리학과 천문학을 공부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음악을 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했다.

3. 데뷔

고등학교 때 켄드릭은 예명 K.Dot을 사용하고 학교에서 프리 스타일과 배틀 랩을 시작했다. 어느날에는 공연을 하고 있는데 잉글우드에서 켄드릭의 랩을 보기 위해 온 동급생 데이브 프리(Dave Free)의 관심을 끌었고, 둘은 힙합과 텔레비전 시트콤 마틴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을 통해 빠르게 우정을 쌓았다. 둘은 임시 차고 스튜디오와 데이브의 형의 하이드 파크 아파트에서 함께 노래를 녹음하며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파일:켄드릭 & 데이브.jpg
데이브 프리와 켄드릭 라마
켄드릭의 초기 공연은 "슈퍼 후드" 코미디 클럽과 문신 가게 뒤에서 열렸다. 당시 데이브는 켄드릭의 홍보 담당자였고, 그의 형은 켄드릭의 매니저이자 디스크 자키를 맡았다. 켄드릭은 2000년대 내내 5개의 믹스테이프를 녹음했다. 첫 번째 앨범인 Youngest Head Nigga in Charge(Hub City Threat: 올해의 마이너)는 2003년 4월 15일 콘크리테 정글 뮤직(Konkrete Jungle Musik)을 통해 발매되었으며, 믹스테이프는 인기 힙합 곡을 제작하는 대신 주로 자유형으로 구성되었다. 롤링 스톤의 음악 평론가인 모시 리브스는 Hub City Threat: Minor of the Year에서 켄드릭의 틀림없는 리듬감과 타이밍을 칭찬했지만, 어설픈 가사와 흐름은 제이지릴 웨인에게 지나치게 얽매여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컴퓨터 기술자로 일하고 있던 데이브는 컴퓨터를 수리하는 동안 레코드 프로듀서인 앤서니 '탑 독' 티피스에게 믹스테이프를 소개하게 된다.

티피스는 켄드릭의 싹트는 능력에 감명을 받아 새로 설립한 독립 레코드 레이블인 탑독 엔터테인먼트에 들어가기 위한 오디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초대를 하게 된다. 오디션 동안 켄드릭은 티피스와 레코드 임원인 테렌스 '펀치' 헨더슨 앞에서 2시간 동안 자유롭게 랩 실력을 선보였다. 이 전략은 헨더슨에게는 인상적이었지만 티피스는 당황하는 등, 제법 호불호가 갈렸다고 한다. 이후, 2005년 TDE로부터 녹음 계약을 제안받았고 제이 록과 함께 레이블의 첫 계약자로 합류했다.[7] 켄드릭은 TDE의 녹음 스튜디오에서 제이 록과 함께 음악 작업을 시작했을 때 경비원으로 잠시 일하기도 했었다.
파일:켄드릭 2005년.jpg
켄드릭과 Ab-Soul, ScHoolboy Q와의 유대감은 힙합 슈퍼그룹 Black Hippy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2005년 12월 30일에 두 번째 믹스테이프 Training Day를 발매한다. 2006년에 켄드릭은 데프잼과 아티스트 개발 계약을 맺었고 더 게임의 두 싱글에 참여했다. 또한 제이 록의 첫 두 믹스테이프 Watts Finest Vol. 1과 Watts Finest Vol. 2: The Nickerson Files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지만, 데프잼의 사장 겸 최고경영자인 제이지와의 만남 이후 해고당했다. 하지만 켄드릭은 굴하지 않고 Lamar와 제이 록과 함께 2007년 12월 24일, No Sleep 'til NYC' 라는 제목의 협업 믹스테이프를 발매했다.

3.1. 1집 Section.80

파일:켄드릭 2009년.jpg
세 번째 믹스테이프 C4는 2009년 1월 30일에 발매되었으며, 릴 웨인의 Tha Carter Ill에 대한 헌정 프로젝트이며 그의 공동 후원자의 지원을 받았다. 음악 평론가인 리브스는 이 믹스테이프가 "1년 된 낡은 앨범에 대한 잘못된 오마주"라고 평가했다.[8] 2월부터 7월까지 그는 제이 록의 홍보 담당자로서 LAX 투어에서 더 게임과 함께 투어를 했다. 이때 켄드릭은 자신의 예명이 자신의 진짜 정체성에서 주의를 돌리는 것을 싫어하여 k.dot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자신의 이름과 중간 이름을 더하여 '켄드릭 라마'라는 지금의 예명을 탄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발매한 C4은 평단에게서 고른 호평을 받아내는데 성공한다. 이전까지는 혹평만 하던 리브스는 EP를 자신의 커리어에서 "첫 번째로 돋보이는 프로젝트"라고 설명하면서 우울한 분위기를 칭찬했다. 켄드릭은 명성을 회복했고, 2011년 Section.80 발매 전 사운드 아카데미에서 공연하는 인디펜던트 그라인드 투어(Independent Grind Tour) 동안 두 번째로 워너/채플 뮤직과 음악 출판 계약을 맺은 후, 2010년 9월 14일에 네 번째 믹스테이프 Overly Dedicated를 발매한다. 리브스는 Overly Dedicated를 그의 작곡에서 변화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승리의 랩"으로 묘사했으며, 믹스테이프는 빌보드의 탑 R&B/힙팝 앨범 차트에서 72위를 기록했다. 이때부터 켄드릭이 본격적으로 뜨기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마는 투어 동안 Tech N9ne의 제이 록의 홍보 담당자 역할을 했는데, 이때 Overly Dedicated를 닥터 드레가 접하게 된다. 유튜브에서 "Ignorance Is Bliss"라는 곡의 뮤직비디오를 본 후 그는 켄드릭에게 연락해 미완성 앨범 Detox를 스눕 독과 함께 작업하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하게 된다. 또한 켄드릭은 드레 덕분에 레코드 레이블 Aftermath Entertainment와 계약까지 맺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닥터 드레는 켄드릭 라마라는 래퍼는 이미 충분히 완성되어 있어서 본인이 지휘봉을 잡고 손 대면 자칫하다 그의 가능성을 깎아버릴지도 모른다고 여겼고, 그래서 음악은 켄드릭에게 맡기고 판을 깔아줄 수 있는 저스트 블레이즈, 퍼렐 윌리엄스, T-Minus, Rahki, 힛보이, Scoop DeVille 등의 여러 프로듀서와 메리 제이 블라이즈 같은 거물급 아티스트를 섭외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식으로 녹음실 밖에서 그를 서포트하는데 힘을 쏟았다.[9] 이후, 2011년 7월 2일에 데뷔 스튜디오 앨범 Section.80을 발매했고 리드 싱글 HiijPower가 그 앨범을 뒷받침했다. 이 앨범은 의식적이고 대안적인 힙합 스타일을 탐구했고 단순화된 재즈 프로덕션을 실험했다.
파일:켄드릭 2011년.jpg
포브스의 오그던 페인(Ogden Payne)은 이 앨범을 켄드릭이 사회적 논평과 대중적 매력을 성공적으로 균형 잡은 시작이라고 평한다. Section.80은 빌보드 200에 처음 입성한 앨범으로 최고 113위를 기록했다. 첫 주에 약 5,000장이 팔렸지만 주요 미디어에서는 거의 보도하지 않았을 정도로 영향력은 그저 그랬다는 평. 앨범을 홍보하기 위해 켄드릭은 미국 전역의 소규모 공연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공연을 펼쳤다. 그 덕에 2011년 8월 투어 당시, Snoop Dogg, Dr. Dre, The Game, Kurupt, DJ Quik, E-40같은 서부 힙합의 거물들에게 인정과 지원을 받았고 스눕에게 서부 힙합의 왕이라는 칭호와 횃불을 이어받았다.#[10] 이러한 지원에 힘입어 켄드릭이 구상했던 앨범은 2012년 비로소 현실화되어 세상에 공개되었다.

3.2. 2집 good kid, m.A.A.d city

파일:켄드릭 2012.jpg
25 yrs to write this album. Many moons from now. They'll Dig up this disc as if it was rare artifacts. I'll live forever.
이 앨범을 만드는데 25년이 걸렸다. 정말 길고 긴 나날이었다. 사람들은 이 앨범을 희귀한 유물처럼 파헤치고 분석할 것이다. 나는 불멸이 될것이다.

- 2012년 8월 15일, 켄드릭 라마의 트위터 #
2012년 2월부터 4월까지 드레이크의 클럽 파라다이스 투어(Club Paradise Tour)에서 오프닝을 맡았다. 그 무렵에 제이콜과 협업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며, 3월 8일, The Fader는 켄드릭이 Aftermath Entertainment와 인터스코프 레코드(Interscope Records)와 합작 녹음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이 계약에 따라 TDE는 계속해서 켄드릭의 주요 레이블 역할을 맡았다. 닥터 드레가 피처링한 그의 첫 번째 상업 싱글 "The Recipe"는 4월 2일에 리듬 크로스오버 라디오에서 초연되었다.

good kid, m.A.A.d city는 켄드릭의 두 번째 앨범이자 메이저 레코드 레이블에서 발매된 첫 번째 앨범으로 2012년 10월 22일에 발매되었다. 그는 퍼렐 윌리엄스, Hit-Boy, 스쿱 드빌, 잭 스플래시, T-Minus와 같은 프로듀서들과 함께 작업하여 갱스터 랩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웨스트 코스트 힙합 앨범을 만들었다. 리드 싱글인 Swim Pools은 빌보드 핫 100에 20위로 입성했으며, 다른 싱글들인 Backseat Freestyle, Poetic Justice, Bitch, Don't Kill My Vibe는 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Good Kid, MAAD City는 Lamar의 비선형적인 작곡과 주제적 범위를 폭넓게 다루어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시카고 트리뷴(Chicago Tribune)의 음악 평론가인 그렉 코트(Greg Kot)는 갱스터 트로프에 꼬임을 주거나 때로는 완전히 뒤집어엎는 음반에서 켄드릭의 머릿속에 있는 코미디와 복잡성, 그리고 여러 목소리가 넘치는 것을 칭찬했다. 이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242,000장이 팔려 2위로 데뷔했으며, 2012년 남성 래퍼들 중 가장 많은 첫 주 판매량을 기록했다. 또한 The Eminem Show (2002)를 제치고 빌보드 200에서 가장 오랫동안 차트에 오른 힙합 스튜디오 앨범이 되었으며, 2022년 10월, 차트에 10년 이상 연속으로 머무른 최초의 힙합 스튜디오 앨범이 되며 역사를 다시 쓰게 되었다.

빌보드 앨범 차트 6위, US TOP 100 1위, US RAP ALBUM 1위, 빌보드 200 2위, 빌보드 R&B 2위를 차지했으며 영국, 프랑스, 벨기에 등의 유럽 국가나 브라질같은 남미 쪽에서도 좋은 반응을 보이며 전세계적으로 140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사실상 켄드릭을 지금의 대중음악 중앙의 자리에 올리게 된 앨범이자 2010년대를 상징하는 명작으로 TPAB와 더불어 켄드릭의 최고작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2년동안 7번이나 노미네이트됐지만 결국 무관에 그쳤고[11] 그래미 어워드에는 많은 비난이 쏟아졌다. 이후 여러 요인들이 겹쳐 2015년 그래미 시상식에 싱글 'i'로 수상했지만 높으신 분들을 비꼬는 의미로 참여하지 않았다.

2012년 9월부터 10월까지 켄드릭은 블랙 히피, 스탤리와 함께 BET 뮤직 매타스 투어(Music Matters Tour)의 헤드라이너를 맡았다. 또한 BET 힙합 어워드에서 올해의 작사가상을 수상했고, 드레이크, 2 Chainz와 함께 에이셉 라키의 싱글 Fuckin' Problems에 참여했다. 이후 켄드릭은 2013년에 두 번의 헤드라이닝 콘서트 투어에 나섰는데, 스티브 아오키와 함께한 전국 대학 투어이자 동시에 첫 번째 국제 투어였다. 하지만 이 시기에 켄드릭은 절친한 친구 3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일 때문에 프로모션 행사 동안 우울증, 죄책감, 자살 충동을 앓았다. 그럼에도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레이블과 매니지먼트 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칸예 웨스트의 이지 투어에서 오프닝을 맡았고, 투어가 끝나갈 무렵에는 부작용으로 신경쇠약을 겪었다고 한다.

BET 어워드와 BET 힙합 어워드에서 각각 3개의 상을 수상했으며, BET 어워드에서는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했다. 2014년에는 Lonely Island의 YOLO, 미겔의 'How Many Drinks?' 리믹스, 스쿨보이 Q의 Collard Greens, Big Sean과 제이 일렉트로니카의 Control, 2 Chainz가 피처링한 로빈 딕의 Give It 2 U, 에미넴의 Love Game 등, 총 6개의 곡에 참여했다. Control에서의 켄드릭의 공연은 힙합 산업에 대한 경종으로 묘사되었고, 이때부터 드레이크와의 10년간의 달하는 지독한 불화가 시작되었다. 한편 롤링 스톤은 켄드릭의 피처링 덕분에 Control이 지난 10년 동안 가장 중요한 힙합 노래 중 하나가 되었다고 언급했으며, GQ의 올해의 남성 에디션에서 올해의 래퍼로 선정되었다.
He said "it's funny how one verse could fuck up the game"
가 말하길, "정말 재밌어, 벌스 하나로 이 바닥 엿먹일 수 있다는 게 말야."

- Hood Politics 中
Who's the best MC? Kendrick, Jigga and Nas, Eminem, Andre 3000, the rest of y'all New niggas just new niggas, don't get involved
누가 최고의 래퍼지? 나? 제이지? 나스? 에미넴? 안드레 3000? 나머지 뉴비들은 걍 애송이들일 뿐이야, 끼어들지 마.
참고로 켄드릭은 Control에서 위의 라인으로 "최고의 래퍼가 누구인가?"라는 힙합계 최고의 떡밥에 다시 불을 붙였으며, 이어지는 라인에서 랩 좀 한다는 래퍼들(제이 콜, Big K.R.I.T., Wale, 푸샤 티, Meek Mill, 에이셉 라키, 드레이크, Big Sean, Jay Electronica, Tyler, The Creator, 맥 밀러)의 이름을 거론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변질될 대로 변질된 힙합씬에서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씬에 경쟁을 요구하고 싶다는 켄드릭 라마의 의도는 성공적으로 작용했고 많은 래퍼들이 응답했다. 몇몇은 자신이 거론되지 못함에 켄드릭을 디스했고 몇몇은 의외로 켄드릭에게 존경을 보내며 훈훈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파일:20140512_185253_agiieai.jpg 파일:kendrick-lamar-pdiddy-reacts-king-of-ny-ftr.jpg
여기서 켄드릭이 '뉴욕의 왕'을 자처한 것에 대한 패러디가 한창 유행한 적이 있다. 대충 이런 식. 패러디 외에도 실제로 많은 동부 래퍼들이 해당 라인에 대해서 켄드릭을 비난했는데, 이에 켄드릭은 '그 라인은 투팍이나 비기처럼 위대한 족적을 남기고 싶다는 뜻이지 실제로 내가 왕이라는 의미가 아니다'라며 해명했다. 그러면서 '아이러니하게도 진짜 뉴욕의 왕이란 사람들은 그 가사가 무슨 의미인지 정확하게 이해하더라'라고 언급하기도.

실제로 켄드릭은 해당 곡을 발표하고 며칠 뒤 퍼프 대디가 주최한 파티에 참여해 JAY-Z, 제이 콜, 드레이크 같은 동부의 거물들과 어울려 노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었다. 반면 '서부의 왕' 스눕 독은 '켄드릭 라마가 서부의 왕이 맞다. 내가 왕관을 넘겨준게 아니라 빼앗아 간거다.'라며 쿨하게 인정. 한편, 이 사건은 지구 반대편에서 스윙스가 불씨를 옮겨 놓으면서 컨트롤 디스전이 일어나는 원인이 된다.[12]

3.3. 3집 To Pimp A Butterfly

파일:켄드릭 2014.jpg
2014년 2월부터 7월까지 에미넴의 랩처 투어(Rapture Tour) 오프닝을 맡았다. 8월 9일, 선댄스 연구소의 Next Fest에서 자신이 주연을 맡고, 의뢰하고, 제작한 단편 영화 MAAD를 초연했다. 이후, 9월 23일 세 번째 앨범 To Pimp A Butterfly의 리드 싱글로 "I"를 발매했고, 이 앨범은 제 5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랩 퍼포먼스상과 최우수 랩 노래를 수상했다. 또한 Saturday Night Live에서 뮤지컬 게스트로 출연했을 때 "I"를 부른 그의 연기는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극찬을 받기도 했다.

2014년에는 앨리샤 키스의 It's On Again, SZA의 Babylon a, Flying Lotus의 Never Catch Me 세 곡에 참여했다. 또한BET 힙합 어워드에서 2회 연속 올해의 작사가상을 수상했다. 원래 나중에 출시될 예정이었던 To Pimp A Butterfly는 2015년 3월 15일에 발매되었으며, 이 앨범은 재즈 펑크, 소울과 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의 대명사인 다양한 장르를 통합했다. 앨범의 다른 싱글들인 The Blacker the Berry, King Kunta, Alright These Walls 전부 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첫 주에 324,000장이 팔린 To Pimp a Butterfly는 켄드릭이 빌보드 200과 미국 앨범 차트에서 처음으로 1위를 차지한 앨범이 되었다. 빌보드는 "20년 전만 해도 의식적인 랩 음반은 켄드릭이 To Pimp A Butterfly로 한 것처럼 주류에 침투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의 타이밍 감각은 흠잡을 데 없습니다. 미국 전역에서 경찰의 잔혹 행위와 인종적 긴장이 만연한 가운데, 그는 비난하면서도 날카롭고 공격적인 시를 쏟아냅니다."라고 호평했다. 피치포크는 이 앨범이 "비평가들에게 음악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들었다"고 의견을 밝혔다.

엄청난 퀄리티와 메시지에 평론가와 대중의 반응은 또 다시 폭발적이었고, 올해의 앨범은 따놓은 당상이라고 입모아 극찬을 하면서 힙합계 뿐만 아니라 음악계 전체에서 가장 핫한 아티스트로 꼽히게 되었다. 메타크리틱 앨범 점수에서 근 10년간 최고점인 96점을 얻고[13] 양대 음악 잡지라 불리고 평가 성향이 양극단인 피치포크롤링 스톤에서 16년만에 동시 만점이라는 쾌거를 이루어내며[14] 올해의 앨범이자 2010년대 최고의 음악 앨범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3집에 대한 평론가들의 평가가 자세히 나와있는 기사. 판매량은 미국에서 83만 장, 월드와이드로 110만 장 정도를 기록했다. 전작에 비하면 부진한 것 같지만 해가 지날수록 음반시장이 줄어드는 추세이고 이 앨범 자체가 메인스트림, 상업적인 앨범이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적게 팔렸다고 보기는 힘들다.

2015년 11월 28일, 제이 콜과의 크로스 콜라보가 공개되었다. 주소 제이콜은 켄드릭 라마의 To Pimp A Butterfly의 수록곡인 "Alright"의 비트에 녹음했고, 켄드릭은 제이콜의 2015 올해의 앨범인 "2014 Forest Hills Drive"의 수록곡인 "A Tale of 2 Citiez"의 비트에 녹음했다. 두 곡 모두 잘 뽑힌 곡이므로 한 번 들어보자. 참고로 켄드릭의 곡이 끝난 뒤에 들리는 웃음소리는 제이콜과 켄드릭 여동생의 것이다. 그리고 켄드릭 여동생의 인스타와 제이콜의 크로스 콜라보 곡 가사를 통해 제이콜과 켄드릭이 콜라보 앨범을 작업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람들은 최소 준 클래식은 될 것이라고 기대를 하였지만, 취소되었다.
파일:켄드릭 & 스위프트.jpg
테일러 스위프트와 이야기를 나누는 켄드릭
파일:그래미 어워드 2016.jpg
제5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공연하는 켄드릭
57회 그래미 어워드가 열리기 전 할리우드 팔라디움에서 "I"로 최우수 랩 퍼포먼스와 최우수 랩 노래를 수상하고, 2015년 1월에는 테일러 스위프트Bad Blood 리믹스를 통해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처음으로 얻게 된다.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비디오상과 최우수 콜라보레이션상을 수상했고 , Alright 뮤직비디오는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BET 어워드에서 Alright로 오프닝 무대를 장식한 뒤 최우수 남성 힙합 아티스트상을 수상했으며, BET 힙합 어워드에서 세 개의 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대망의 58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11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는데, 이는 마이클 잭슨 다음으로 가장 많이 노미네이트된 기록이기도 하다. 올해의 앨범은 테일러 스위프트의 1989가 수상했지만, 최우수 랩 퍼포먼스와 최우수 랩 노래, 최우수 랩 / 노래 퍼포먼스, 최우수 뮤직 비디오를 수상하며 5관왕을 달성했다.
파일:external/img.theqoo.net/J5qOBME.jpg
오바마 대통령은 켄드릭을 백악관으로 초대해 직접 만남을 가졌다. 이 만남에서 오바마는 수록곡 How Much A Dollar Cost를 2015년 최고의 노래로 뽑았으머, 빈민 지역문제 해결 방법과 청소년 포용 방향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3.4. 4집 DAMN.HUMBLE.

파일:dawn 투어.jpg
3월 23일에 프로모션 싱글 "The Heart Part 4 "를 발매한 후, 3월 30일에 앨범의 리드 싱글 HUMBLE.을 발매한다. 이 노래는 Hot 100에서 2위로 데뷔했고 차트에 오른 지 2주차에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라마의 두 번째 싱글이자[15] 리드 아티스트로는 처음으로 차트 1위를 차지한 것이다. DAMN.은 4월 14일에 발매되었으며, To Pimp a Butterfly보다 더 대중적인 음악적 팔레트를 활용하여 R&B와 팝 요소를 탐구했다. 롤링 스톤은 이 곡의 음향을 "시대를 초월한 것과 현대적, 올드 스쿨과 넥스트 레벨의 훌륭한 조합"이라고 평가했다.

Damn은 켄드릭 앨범 중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앨범이 되었다. 빌보드 200에서 4주 연속 1위를 차지하여 그의 세 번째 연속 1위 앨범이 되었고 603,000장이 판매되었으며, 앨범의 14곡이 모두 Hot 100에 데뷔했다. 국제음반산업협회(IFPI)에 따르면 Damn은 2017년 7번째로 많이 팔린 앨범이었고, Humble은 그해 6번째로 많이 팔린 싱글이었으며, 2018년 6월까지 래퍼나 솔로 아티스트의 앨범으로는 처음으로 모든 곡이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Damn을 홍보하기 위해 켄드릭은 2017년 7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첫 헤드라이닝 아레나 투어인 Damn Tour를 시작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6,27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역사상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힙합 투어 중 하나가 되었다.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퍼포먼스 - DNA / Humble
2017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DNA와 Humble을 부르며 시상식 오프닝을 장식했으며, Humble로 최우수 힙합 비디오, 최우수 감독, 올해의 비디오 등 5개 상을 수상했다. 이는 아티스트가 공동 감독한 비디오로 상을 수상한 첫 번째 사례다. BET 어워드 에서는 최우수 남성 힙합 아티스트상을 수상했고, Damn은 American Music Awards에서 가장 인기 있는 랩/힙합 앨범상을 수상했다. 이와는 별개로 Future의 Mask Off, SZA의 Doves in the Wind, Rich the Kid의 New Freezer 리믹스에도 참여했다.

2018년 1월 4일, 2018년 영화 사운드 트랙인 블랙 팬서: 더 앨범의 큐레이션과 제작 총괄을 맡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2월 9일에 발매되었고, All the Stars, to King's Dead, Pray for Me 총 3개 싱글 전부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참고로 켄드릭은 앨범의 모든 트랙에 리드 보컬과 백킹 보컬을 제공했다고 한다. 음악 평론가들은 이 앨범을 이정표적인 업적으로 여기며 가사와 문화적 중요성을 호평했고, 빌보드 200에서 2주 연속 1위를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사운드트랙 앨범 역사상 단일 주에 가장 많은 스트리밍을 기록했다.
파일:켄드릭 2018.jpg
제60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공연하는 켄드릭
퓰리처상 음악 부문을 수상하는 켄드릭
제60회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5개의 상을 수상했다. Damn은 최우수 랩 앨범으로 지명되었고, Humble은 최우수 랩 퍼포먼스, 최우수 랩 노래, 최우수 뮤직 비디오 상을 수상했으며 Loyalty는 최우수 랩/성 퍼포먼스 상을 수상했다. 더 나아가 Damn이 2018년 4월 16일에 퓰리처상 음악 부문을 수상했는데, 클래식이나 재즈 뮤지션을 제외한 나머지 뮤지션 중에서는 첫 수상이라는 대기록을 써냈다. 당연히 힙합 아티스트로서는 역사상 최초 수상이기도 하다. 후에 드러난 바에 의하면 원래는 힙합에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려고 했으나, 그냥 힙합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말이 나와 생각을 바꾼 것이고, 고심 끝에 선택한 것이 켄드릭이었다고 한다.

3.5. 5집 Mr. Morale & The Big Steppers

2020년 3월 5일, 켄드릭과 데이브 프리는 다학제 크리에이티브 커뮤니케이션 회사인 PGLang을 설립하였으며, 10월에 유니버셜 뮤직 출판 그룹(Universal Music Publishing Group)과 전 세계 관리 계약을 체결했다. 켄드릭은 2021년 8월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TDE에서 마지막 앨범을 제작 중이라고 발표하면서 작년에 나온 PGLang에 집중하기 위해 음악계를 떠난다는 소문이 진실임을 알렸다. 그 다음 주에 베이비 킴의 싱글 Family Ties에 출연하여 제64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랩 퍼포먼스 상을 수상했다. 거기다 켄드릭은 백보컬을 제공하고 Range Brothers에 출연하여 베이비 킴의 앨범 The Melodic Blue를 홍보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파일:켄드릭 슈퍼볼 2022.jpg
슈퍼볼 LVI 하프타임 쇼에서의 복장
good kid, m.A.A.d city와 Alright를 부르는 켄드릭
11월에는 데이 앤 베가스(Day N Vegas)에서 두 번째 헤드라이닝 공연을 끝마친 뒤 자신의 연극 전시회를 열었고, 테라스 마틴의 앨범 Drones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2022년 2월 13일에 닥터 드레, 스눕 독, 에미넴, 50 센트, 메리 제이 블라이즈와 함께 슈퍼볼 LVI 하프타임 쇼에서 공동 헤드라이너를 맡았으며, 최우수 버라이어티 스페셜(라이브) 부문에서 프라임타임 에미상을 수상했다.

프로모션 싱글 The Heart Part 5를 발매한 후, 다섯 번째 앨범인 Mr. Morale & The Big Steppers가 2022년 5월 13일에 발매되었다. 이 더블 앨범은 재즈, R&B, 트랩, 소울의 영향을 받았으며, 알포드가 주요 내레이터 역할을 했다. 켄드릭의 작곡 실력과 범위를 칭찬한 비평가들의 폭넓은 호평을 받았으며, 앨범의 모든 트랙이 핫 100 차트에 올랐다. 세 개의 싱글인 N95와 1 Silent Hill, Die Hard가 톱 10에 데뷔했으며, 첫 주에 295,000장이 팔려 빌보드 200에서 켄드릭의 4번째 연속 1위 앨범이 되었다. 이후 스포티파이에서 10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2022년 첫 힙합 앨범이 되기도 했다.

2022년 7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진행되는 Big Steppers Tour를 시작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1억 1,09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당시 역대 최고 수익을 올린 랩 투어가 되었다. 2022년 9월에는 We Cry Together의 단편 뮤비에 각색 및 공동 감독,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했으며, Big Steppers Tour의 콘서트 영화인 켄드릭 라마 라이브: The Big Steppers Tour가 11월에 개봉되었다. 이후 켄드릭은 아메리카 뮤직 어워드에서 가장 좋아하는 남성 힙합 아티스트상을 수상했으며, Mr. Morale & the Big Steppers로 가장 좋아하는 힙합 앨범상을 수상한다. 거기다 BET 힙합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상을 포함한 6관왕을 달성했으며, 제65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Mr. Morale & the Big Steppers가 최우수 랩 앨범상을 수상했고, The Heart Part 5는 최우수 랩 퍼포먼스상과 최우수 랩 노래상을 수상했다.

2023년 5월, 비욘세의 싱글 America Has a Problem의 스탠드얼론 버전에 참여했으며, Baby Keem의 싱글 The Hillbillies에 출연했다. 이 과정에서 켄드릭은 BET 힙합 어워드에서 4개의 상을 수상했고 그 과정에서 4개의 신기록을 세웠다. 이후, 다큐멘터리 콘서트 뮤비인 르네상스: 비욘세의 영화(Renaissance: A Film by Beyonce)에 출연했고, Baby Keem의 단편 뮤비인 The Melodic Blue 각색 판의 제작 총괄을 맡았다. 그리고 애프터매스 엔터테인먼트에서 나온 뒤 인터스코프 레코드와 새롭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3.6. vs. 드레이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드레이크 - 켄드릭 라마 디스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년 드레이크 - 켄드릭 라마 디스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4년 드레이크 - 켄드릭 라마 디스전#|]][[2024년 드레이크 - 켄드릭 라마 디스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4년 미국 전역을 그야말로 뜨겁게 만든 사건으로, 시발점은 당해 3월 퓨처메트로 부민의 합작 앨범 "Like That"이라는 곡에 피처링으로 참여하여 드레이크제이콜을 디스했다.

드레이크와 제이콜은 "First Person Shooter"라는 곡을 최근에 같이 작업했고, 곡 내용은 우리 둘이 랩 최고라는 것이었다. 이 중 제이콜은 "Love when they argue the hardest MC / Is it K-Dot? Is it Aubrey? Or me? / We the big three like we started a league, but right now, I feel like Muhammad Ali (사람들이 제일 죽이는 래퍼가 누구냐고 토론하는 걸 보면 재밌어 / 케이닷 (켄드릭의 예전 예명), 오브리 (드레이크의 본명), 아니면 나? / 우리 셋은 빅 3지 우리들만의 리그야, 하지만 지금 내 기분은 마치 무하마드 알리)"이라는 가사를 썼는데 켄드릭, 드레이크, 제이콜을 빅3로 묶긴 했지만 자기가 무하마드 알리라며[16] 1등은 자기라고 과시한 것.

사실 이전에도 제이콜은 이런 식으로 은근히 켄드릭을 칭찬하는 듯하면서도 자기가 더 잘한다는 뉘앙스로 말했으며, 평론이나 시상에서 밀리는 것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불만을 표출해 왔다. 드레이크는 컨트롤 때부터 켄드릭과 불편한 듯한 감정을 드러냈고, 이 둘이 쓴 가사 중 서로를 디스했다고 추정되는 가사들이 꽤 있다. 이런 상황에서 켄드릭이 아예 대놓고 공격하기로 한 것인데 랩 자체도 뛰어나지만 가사가 상당히 인상적이다.

"Motherfuck the big 3, nigga, it's just big me (빅 3라니 좆까, 새꺄, 그냥 내가 최고야)"라며 제이콜의 big 3 발언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거물은 자기뿐이라고 하였다. 스스로를 마이클 잭슨에 비유하는 상업적인 래퍼 드레이크에게는 "Nigga, Prince outlived Mike Jack (새꺄, 프린스가 마이클 잭슨보다 오래 살아남았어)"라며 자신을 더욱더 실험적이며 아티스트적인 프린스에 비유했다. 전부터 드레이크와는 사이가 좋지 않다는 것이 기정사실이었지만, 제이콜과는 음악적 스타일도 비슷하고 음악적 교류도 어느 정도 있었기에 충격을 받은 팬들이 많다. 이후 제이콜과는 흐지부지되었지만 드레이크와의 디스전에서는 둘 중 한 명은 커리어를 끝내야 될 정도의 개인적인 사생활까지 폭로해가며 험악하게 디스를 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그러던 과정에서 드레이크의 집에 총격전이 일어났다. 자신이 존경하는 투팍이 비기와의 디스전으로 인해 총격으로 사망한 사실을 잘 알고 있기에 자제할 것으로 보이며 드레이크가 디스전이 끝났음을 암시하는 포스트를 올린 후부터는 많이 잠잠해진 상태이다.

3.7. 디스전 이후와 6집 GNX

파일:2025-02-10T015642Z_1494441934_UP1EL2A05EG5B_RTRMADP_5_FOOTBALL-NFL-SUPERBOWL-HALFTIME-scaled.jpg
디스전과 GNX 발매를 통해 음악성[17]과 상업성[18] 양면에서 전부 정점에 오르며 더 이상 반박의 여지가 없는 현역 최고의 MC로 등극했으며, 싱글 하나로만으로도 제67회 그래미 어워드 제너럴필드 수상을 비롯한 5관왕을 기록하고 Young Money의 본진인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슈퍼볼 LIX 하프타임 쇼의 헤드라이너로 참여하며 Not Like Us를 떼창시키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19]

2024년 9월 11일, 디스전 종료 이후 오랜만에 인스타그램을 통해 신규 싱글인 Watch The Party Die를 공개했다. 11월 23일 기습적으로 GNX[20] 티저 영상을 업로드함과 함께 앨범을 발매했다.


[1] 인지 교수는 문학 형식을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방식의 수업을 자주 했다고 한다.[2] 이후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감정을 모두 종이 한 장에 적으면 이해가 될 겁니다. 저는 그게 좋았어요."[3] 다른 수업의 과제를 하는 대신 노트에 가사를 적었다고 한다.[4] 인지 교수는 종종 어휘를 바로잡아 주고 산문을 높여주기 위해 개인적인 조언을 많이 해주면서 켄드릭의 지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덕분에 켄드릭이 슈퍼스타가 된 뒤에도 계속해서 샷아웃을 해주는 편이다.[5] 아버지는 갱 출신이었지만 매번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갱스터로 사는 건 매우 위험한 짓이었고, 이를 참다 못한 어머니가 계속 이럴거면 이혼을 하자는 통보를 내렸다고 한다. 그제서야 정신을 차린 아버지는 갱단을 나온 뒤, 범죄와는 아예 연을 끊고 살았다. 당시에 켄드릭은 현명하고 똑똑한 아이라는 칭찬을 많이 들었는데, 그런 아들이 범죄자가 되는 꼴을 보고 싶지는 않았을 것이다.[6] 자신이 보는 바로 옆에서 경찰의 총을 맞고 사망했다.[7] 계약 후 레이블의 소수 지분을 매수하기도 했다.[8] 사실 이 사람은 이전부터 켄드릭에 대해 별로 좋은 소리를 안 하는 평론가이기도 했다.[9] 참고로 이때 제이콜과 같은 아티스트의 권유를 받기도 했다고 한다.[10] 깜짝스런 전설들의 선물에 켄드릭은 눈물을 흘렸다. 그 모습에 콘서트장은 눈물바다가 되었고, 나중에 싸이퍼에서 스눕에게 받은 횃불로 너희들을 다 태워 죽이겠다고 랩을 했다.[11] 수상자인 맥클모어 & 라이언 루이스의 맥클모어는 '이것은 백인의 특권 때문'이라는 시니컬한 반응을 보이며 이 영광을 켄드릭에게 넘겨줬다. 켄드릭은 겸손하게 맥클모어가 상을 받을 만 했다고 답장했다.[12] 다만 스윙스가 시작한 컨트롤 디스는 스윙스의 의도와는 다르게 어글리덕이 스윙스의 사생활까지 거론하면서 인격적으로 잘근잘근 씹어댄대다가 이센스(본인이 직접 폭탄을 두르고 작정한 듯이 아메바를 디스해 버린 덕에 대중적 관심이 죄다 이쪽으로 쏠려 버렸다)와 아메바 컬쳐의 싸움으로 불씨가 옮겨붙은 진흙탕 싸움이었기 때문에 비교할 수는 없다.[13] # 2006년의 최고점은 Ali Farka Toure의 'Savane'(94점), 2007년의 최고점은 The Field의 'From Here We Go Sublime'(90점), 2008년의 최고점은 The Bug의 'London Zoo'(90점), 2009년의 최고점은 Animal Collective의 'Merriweather Post Pavilion'(89점), 2010년의 최고점은 Kanye West의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94점) , 2011년의 최고점은 Tom Waits의 'Bad As Me'(88점), 2012년의 최고점은 Frank Ocean의 'channel ORANGE'(92점), 2013년의 최고점은 Deafheaven의 'Sunbather'(92점), 2014년의 최고점은 D'Angelo and the Vanguard의 'Black Messiah'(95점)이다.[14] To Pimp A Butterfly와 함께 2010년대 음악사 최고의 앨범 투탑이라고 평가받는 카니예 웨스트의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의 점수가 의외로 낮은 것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있을텐데, 사실 카니예 웨스트의 다른 앨범들에 비해 덜했지만 그 앨범 역시 카니예 웨스트의 혁신성 때문에 출시 당시에는 저평가를 많이 받았었다. 특히 힙합을 천대하는 경향이 있는 The Guardian지는 이 앨범에 100점 만점에 40점을 주는 병크를 터트리면서 지금까지도 음악인들에게 두고두고 까이고 있다. The Guardian지가 40점을 준 이유가 특히 가관인데, 중립적으로 음악성만을 평가해야되는 자리에서 테일러 스위프트 사태를 언급하며 카니예 웨스트라는 인물 자체가 등신이라는 것이 그 이유 중 하나. 그 외에도 조잡하게 사운드를 섞어놓은 것이 포르노와 같다 하며 카니예 웨스트를 깠으니 The Guardian지가 까이는 것은 자업자득이다. 여하튼 이러한 것이 모든 평론가들의 점수를 평균내는 메타크리틱 점수가 낮을 수 밖에 없는 이유.[15] 첫 번째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Bad Blood.[16] 70년대 헤비급 복싱을 대표하는 선수들인 조 프레이저, 조지 포먼과 무하마드 알리 중 나머지 둘에게 모두 승리를 거두고 최정상에 섰던 무하마드 알리로 자신을 비유한 것으로 추정. 알리는 권투의 GOAT라는 말이 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GOAT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이다.[17] meet the grahams를 비롯한 역대급 디스곡들을 뽑아내고 GNX로 래칫 장르를 재유행시키는 등 좋은 비평을 받으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또한 디스전을 사실상 장례식으로 마무리 지은 meet the grahams는 음악 평론 사이트 Rate Your Music에서 4.32라는 높은 점수를 받는 등 힙합 역사상 최고의 디스곡으로 평가받는다.[18] 디스전에서 선보인 곡들이 상업적 끝판왕을 달려오던 드레이크보다 높은 성적을 기록했으며 GNX$ome $exy $ongs 4 U의 초동은 물론 일간 스트리밍을 압도했다. 현지 기준 2월 17일, 스포티파이 월간 1억 스트리밍이라는 허들을 힙합 아티스트로서는 최초로 뛰어넘었다. 또한 2024년 최고의 힙합 히트곡인 Not Like Us를 비롯해 네 곡을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려놓고 애플뮤직 연간차트 1위를 달성했다.[19] 슈퍼볼 LIX 하프타임 쇼를 위해 코첼라 헤드라이너 자리를 고사했다.[20] 올해 초 켄드릭이 구매한 1987년에 출시된 뷰익 그랜드 내셔널 GNX에서 가져온 이름으로 보인다. 켄드릭의 출생 연도와 같으며 리갈 2세대는 과거에 켄드릭의 부모님이 몰던 모델이기도 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켄드릭 라마|켄드릭 라마]]}}}{{{#!if external != "o"
[[켄드릭 라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켄드릭 라마?uuid=3159a2b8-31b5-427f-92dd-5705fae6e78c|r146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켄드릭 라마?uuid=3159a2b8-31b5-427f-92dd-5705fae6e78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켄드릭 라마?from=146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켄드릭 라마|켄드릭 라마]]}}}{{{#!if external != "o"
[[켄드릭 라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켄드릭 라마?uuid=3159a2b8-31b5-427f-92dd-5705fae6e78c|r146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켄드릭 라마?uuid=3159a2b8-31b5-427f-92dd-5705fae6e78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켄드릭 라마?from=146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