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08:56:08

투팍 샤커

투팍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투팍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잉카 제국의 황제 또는 페루의 반정부 단체에 대한 내용은 투팍 아마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원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투팍(원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투팍 로고.png

[ 정규 앨범 ]
||<tablebgcolor=#fff,#191919><rowcolor=#000><width=25%><#a29a6b> 1집 ||<width=25%><#ebecee> 2집 ||<width=25%><#B4B2B3> 3집 ||<#000> 4집 ||
파일:00012414163325.rgb.jpg
파일:00012414163424.rgb.jpg
파일:00012414163622.rgb.jpg
파일:모든눈이내게.jpg
2Pacalypse Now
(1991)
Strictly 4 My N.I.G.G.A.Z...
(1993)
Me Against The World
(1995)
All Eyez On Me
(1996)
[ 사후 앨범 ]
||<tablebgcolor=#fff,#191919><rowcolor=#000><width=25%><#a29a6b> 5집 ||<width=25%><#ebecee> 6집 ||<width=25%><#B4B2B3> 컴필레이션 ||<#fff> 7집 ||
파일:external/www.concretemag615.com/don_killuminati.png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Kn%2BdkwOdL.jpg
파일:2Pac Greatest Hits Explicit Ver..jpg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435y6IkwL.jpg
The Don Killuminati: The 7 Day Theory
(1996)
R U Still Down?
(1997)
Greatest Hits
(1998)
Until The End Of Time
(2001)
8집 9집 10집
파일:external/i1.sndcdn.com/artworks-000059958398-y7a8s5-t500x500.jpg
파일:external/gangstaraptalk.com/1406500295_H0tvENU.png
파일:external/i1.sndcdn.com/artworks-000042220012-g6igt7-t500x500.jpg
Better Dayz
(2002)
Loyal to the Game
(2004)
Pac's Life
(2006)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900> 생애 ||<width=50%> 디스코그래피 ||
사망 사건 올 아이즈 온 미
투팍 샤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로큰롤 명예의 전당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투팍 샤커
TUPAC SHAKUR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2017년
후보자격 연도 2017년
후보선정 연도 2017년 }}}}}}}}}

파일:스핀(잡지) 로고.svg
스핀 매거진 선정
지난 3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fff> 2020년 음악 잡지 스핀창간 35주년을 기념해서 1985년부터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발표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너바나 프린스 마돈나 N.W.A 나인 인치 네일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투팍 샤커 Run-D.M.C. R.E.M. 퍼블릭 에너미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건즈 앤 로지스 비스티 보이즈 닥터 드레 U2 펄 잼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The Neptunes 노토리어스 B.I.G. 토리 에이모스 마이클 잭슨 제인스 어딕션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아웃캐스트 라디오 헤드 칸예 웨스트 제이지 에미넴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비욘세 리키 마틴 레이디 가가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 스파이스 걸스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비키니 킬 드레이크 빌리 아일리시 서브라임 노 다웃
}}}}}}}}}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이클 잭슨레드 제플린롤링 스톤스밥 딜런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프린스엘비스 프레슬리제임스 브라운스티비 원더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밥 말리데이비드 보위더 후너바나비치 보이스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마돈나핑크 플로이드U2마빈 게이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더 클래시AC/DC벨벳 언더그라운드척 베리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닐 영아레사 프랭클린엘튼 존라디오헤드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존 레논블랙 사바스건즈 앤 로지스티나 터너조니 캐시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폴 매카트니플리트우드 맥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킹크스폴리스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밴 헤일런메탈리카레이 찰스조니 미첼알 그린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라몬즈JAY-Z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팔리아멘트-펑카델릭샤데이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빌리 조엘비욘세리틀 리처드퍼블릭 에너미피터 가브리엘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키스스투지스칩 트릭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림제네시스노토리어스 B.I.G.토킹 헤즈도어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저스틴 팀버레이크콜드플레이오티스 레딩투팍 샤커데프 레파드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R.E.M.재니스 조플린밴 모리슨더 큐어러시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Run-D.M.C.레너드 스키너드주다스 프리스트에미넴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ABBA스틸리 댄어스 윈드 & 파이어커티스 메이필드더 밴드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N.W.A.조지 마이클비 지스비스티 보이즈엘비스 코스텔로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그린 데이LL Cool J펄 잼머라이어 캐리아웃캐스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저니프리텐더스디페시 모드홀 앤 오츠앨리샤 키스
출처}}}}}}}}}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90년대 아티스트
54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100대 아티스트
86위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2023년 빌보드와 VIBE 매거진에서 힙합 50주년을 기념하여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Top 50을 선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제이지 켄드릭 라마 나스 투팍 에미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노토리어스 B.I.G. 릴 웨인 드레이크 스눕 독 니키 미나즈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칸예 웨스트 안드레 3000 라킴 엘엘 쿨 제이 제이 콜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스카페이스 50 센트 아이스 큐브 미시 엘리엇 빅 대디 케인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DMX 고스트페이스 킬라 커티스 블로우 KRS-One 메소드 맨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빅 펀 큐팁 블랙 소트(더 루츠) 푸샤 티 로린 힐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릴 킴 티아이 버스타 라임즈 척 디(퍼블릭 에너미) 퓨처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야신 베이 커먼 구찌 메인 루다크리스 닥터 드레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E-40 레드맨 번 비(UGK) 퀸 라티파 아이스-T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제이다키스 MC 라이트 멜리 멜 레브 런(Run-D.M.C.) 릭 로스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투팍 샤커
TUPAC SHAKUR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 2023년 6월 8일
위치 6212 Hollywood Blvd. }}}}}}}}}


}}} ||
<colbgcolor=#fafafa><colcolor=#000> 투팍 샤커
Tupac Shakur
파일:2PAC.jpg
본명 Tupac Amaru Shakur[1]
투팍 아마루 샤커
출생 1971년 6월 16일
뉴욕 주 이스트할렘
출신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사망 1996년 9월 13일 (향년 25세)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 유니버시티 메디컬 센터
거주지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래퍼, 배우, 사회운동가
서명
파일:투팍 샤커 서명.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VEVO 로고.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AFAFA 30%,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AFAFA><colcolor=#000> 부모 <colcolor=black,white>아버지 빌리 갈란드(1949~), 어머니 아페니 샤커(1947~2016)
배우자 케이샤 모리스(1995년 결혼, 1996년 사별)
파트너 키다다 존스[2]
학력 폴 로렌스 던바 하이 스쿨
타말파이스 하이 스쿨
볼티모어 예술 학교
신체 176cm, 75kg
혈통 아프리카계 미국인
예명 2Pac[3], Makaveli, MC New York[4]
로고
파일:투팍 로고.png
소속 정당
종교 무종교 (유신론)
활동 1989년 ~ 1996년
악기 보컬, 신디사이저, 드럼, 샘플러
장르 힙합, 웨스트 코스트 힙합, 갱스터 랩, 폴리티컬 힙합, 컨셔스 힙합
소속 디지털 언더그라운드 (1990 – 1991)
떠그 라이프 (1992 – 1996)
레이블
파일:데스로우.png
}}}}}}}}}}}}}}} ||

1. 개요2. 명칭3. 생애4. 디스코그래피5. 평가
5.1. 위상5.2. 역량
6. 대중매체
6.1. 필모그래피6.2. 다큐멘터리6.3. All Eyez On Me
7. 싱글
7.1. 빌보드 핫 100 1위7.2. 빌보드 핫 100 2위~10위7.3. 빌보드 핫 100 11위~20위7.4. 빌보드 핫 100 21위~50위
8.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1125954899.0.jpg
미국래퍼, 배우.

2. 명칭

그의 이름은 페루의 원주민 독립운동가였던 투팍 아마루 2세에서 유래됐으며 예명도 본명의 Tupac을 변형시킨 것이다. 본토에서는 아직도 Tupac이라고 불린다.[5]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투팍 샤커/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사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투팍 샤커 살인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디스코그래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투팍 샤커/디스코그래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5.1. 위상

현시대 미국이라는 나라에 힙합을 주류 음악 문화으로 이끈 장본인으로, 힙합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조차 노토리어스 B.I.G.와 함께 이름 정도는 한 번쯤 들어 봤을 정도로 영향력과 파급력이 큰 아티스트다. 라이벌 비기가 사상 최고 수준의 랩 실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다면, 투팍은 단순히 랩 뮤직이라는 음악장르의 한계를 넘어 아예 힙합이라는 컬쳐 전반의 대변자로서 거대한 영향력을 떨쳤다고 볼 수 있다. 대중과 평단 양 측으로부터 찬사를 받은 힙합의 아이콘이자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서 1990년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음악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나 그의 드라마틱한 행보와 인생사는 어느 힙합 커뮤니티에서고 결코 잊혀지지 않는 화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생전엔 당대 최고의 인기를 누린 래퍼였으며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불법을 저지른 법조인에게 총까지 겨눴을 정도로 매우 투쟁적인 성격을 지녔다. 또 성공 후에도 거리의 친구들과 어울리며 변함없는 갱스터적 면모를 보였던 동시에 그 속에서 찾아낸 현실을 시적으로 녹여 쓴 가사와 그만의 리듬감 있는 랩으로 다양한 뮤지션들에게 추앙받았던 인물이다.

흔히 서부 힙합의 전설이 된 아티스트로 꼽히며, 동부 힙합의 전설로는 노토리어스 B.I.G.가 꼽힌다.[6][7]

5.2. 역량

아티스트 개인의 역량으로 봤을 때 가장 크게 인정받는 부분은 뭐니뭐니해도 가사.[8][9] 그 외에도 갱스터 랩이나 파티 음악처럼 거칠고 화려한 힙합음악까지도 커버할 정도로 작사 스펙트럼이 매우 다양하고 넓은 것이 특징이다.

투팍은 안정적인 랩 메이킹으로 빠르고 흥겨운 파티곡부터 느릿하면서 안정적인 느낌의 자전적인 곡까지 어떤 비트에서도 잘 녹아드는 랩 스타일이 특징이다. 또 투팍의 대표곡들을 보면 대부분 템포가 느리고 투팍 역시 느릿하게 그루브를 타는 곡들이 많아 타이트하게는 못한다는 인식이 어느 정도 있는데, Above the Law의 Call It What You Want나 투팍의 Holler If Ya Hear Me, Digital Underground 시절의 Same Song그리고 Troublesome '96를 들어보면 타이트하고 빠르게도 랩을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음색과 발성이 상당히 뛰어난데, 비기 역시 묵직한 랩 톤이지만 음색적으론 허스키하고 거친 느낌이라면 투팍은 웬만한 배우나 성우에 버금가는 굵직하고 깔끔한 목소리 톤이 매력으로 손꼽힌다. 투팍의 랩을 이후 시대 아티스트들과 리믹스했을 때도 목소리가 가장 귀에 탁 들어오는 느낌을 준다.

6. 대중매체

6.1. 필모그래피

6.2. 다큐멘터리

6.3. All Eyez On 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올 아이즈 온 미(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싱글

7.1. 빌보드 핫 100 1위

7.2. 빌보드 핫 100 2위~10위

7.3. 빌보드 핫 100 11위~20위

7.4. 빌보드 핫 100 21위~50위

8. 여담

이후 드레가 데스 로우를 떠나자 투팍은 인터뷰에서 “그 놈은 좋은 프로듀서지만 몇 년동안 놀고만 있었지. 난 거기에 신물이 났고. 내가 밖에서 직접 다른 놈들과 전쟁을 하고 앨범을 낼 동안 그 자식은 집구석에서 ㅈ이나 빨며 놀고 있었어! 3년동안 달랑 한 곡 만들었다고!”라며 쌍욕을 퍼부었다. 또한 투팍의 사후앨범이 되는 The Don Killuminati: The 7 Day Theory의 Toss It Up 트랙에서는 사랑 노래임에도 불구하고(…) 뜬금없이 두번째 벌스에서 드레를 디스했다.[19] 드레는 이러한 투팍의 디스에 반응한 적 없고, 콘서트 투어 등에서 자신과 투팍이 같이 작업했던 California Love를 틀며 투팍을 추모한다. 2022년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는 캘리포니아 러브는 물론, 잠깐동안 피아노로 투팍 4집의 I Ain’t Mad At Cha를 연주하며 투팍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여기에 원래 스눕 독은 투팍과 함께 노토리어스 B.I.G.퍼프 대디의 배드 보이 레코즈를 까고 있었는데,[23] 스탠스를 바꾸고 뉴욕 라디오 방송에서 그들을 좋아하고 존중한다고 밝혔다.[24] 스눕 독이 자신을 배신했다고 생각하게 된 투팍은 이에 크게 분노해 뉴욕에서 LA로 돌아오는 길에 스눕 독이 걸어오는 말을 전부 무시했다.[25] 스눕 독은 투팍이 라스베이거스에서 돌아오면 그 때 풀 생각이었으나, 그는 앞으로 영영 투팍과 대화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그는 앙금없이 투팍을 기리는 이벤트에 앞장서고 있으며, 자신의 공연에서 투팍과 같이 작업한 곡을 할 때마다 투팍을 추모하고 있다. 2012년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에서 스눕 독의 무대 도중 홀로그램으로 부활해 사후앨범의 Hail Mary를 부른 다음 스눕 독과 둘이서 같이 4집의 2 of Amerikaz Most Wanted를 부르기도 하였다.[26] 또한 투팍이 2017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오르자 투팍에 대한 소개 멘트를 하고 대리 수상을 한 사람도 스눕 독이었다.#
* 투팍 본인의 가치관을 드러내는 1992년 인터뷰 영상. 돈이 많은 사람들을 예로 도널드 트럼프, 마이클 잭슨을 언급하며, 부자들의 노력을 부정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노블레스 오블리주처럼 부자들이 가난한 이들을 도와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투팍 본인도 돈이 많진 않지만 지나가는데 어려운 사람이 있는데 그냥 지나치면 죄책감이 든다고 한다. 뭐라도 줘야한다고 생각한다고 한다.[37] 흑인 아이들, 멕시코 아이들, 한국 아이들, 누구든지 우리 모두 죽기전에 도와줘야한다고 한다. 실제로도 투팍은 매우 어렵게 살았던 어린 시절을 보냈기에 가난을 정말 잘 알고 있다. 이후 래퍼로 성공해서 재단을 설립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도왔다.#


[1] 출생 당시의 이름은 Lesane Parish Crooks였지만, 이듬해에 개명되었다.[2] 프로듀서 퀸시 존스와 배우 페기 립튼의 딸이며, 라시다 존스의 언니이다.[3] 평소에는 예명인 '2Pac'으로 활동했지만 뉴스 같은 공식 석상에서는 그냥 본명인 '투팍 샤커'로 불렸다.[4] 투팍이 제일 먼저 쓴 예명이다. 뉴욕 출신이기에 초창기에는 동부(East Coast)에서 활동했다.[5] 더불어 가장 유명한 별명으로는 '마카벨리'(Makaveli)라는 예명도 있다. 이 예명은 데스 로우에 영입된 후 마키아벨리즘에 심취하여 지은 예명이다.[6] 다만 '동부와 서부를 대표한다'는 대립구도는 언론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실제로는 배드보이레코즈와 데스로우레코즈간의 경쟁구도에 가까웠다. 거기에 총격사건으로부터 시작된 오해로 말미암아 디스전이 벌어지기 이전까지 둘은 친밀한 선후배 관계를 유지했다고 전해진다. 어찌보면 기획사간의 수입을 위한 피튀기는 경쟁의 장기말이자, 희생양들이었던 것.[7] 비록 목숨을 걸 정도는 아니고 장르도 다르지만, 우연히도 비슷한 시기에 대서양 건너편에서도 언론과 지역사회가 주도한 같은 장르 안의 아티스트들 간의 살벌한 경쟁이 일어나고 있었다. 정확히 따지자면 브릿팝 전쟁은, 미국으로 따지면 힙합 씬이 아니라 그런지 록 씬에 가깝다.[8] 과언이 아니라 나스, 제이지, 모스 데프, 커먼, 루페 피아스코, 에미넴, 켄드릭 라마, 빅 엘, 빅 펀, MF 둠 그리고 노토리어스 B.I.G.와 같이 힙합 역사상 최고의 리릭시스트를 뽑으라 하면 항상 최상위권에 놓인다.[9] 철학적인 가사는 'Me Against the World'의 4절 가사에서, 컨셔스 랩 가사는 'Changes'와 'Keep Ya Head Up'의 가사에서 잘 드러나고 있으니 궁금한 사람은 가사 해석을 보며 듣는 것을 추천한다.[10] 죽은 투팍 본인이 나래이션을 하는 영화로, 과거 그의 인터뷰 녹음들에서 적절한 구절을 따와 입혔다. 다큐멘터리 영화중 가장 유명하다. 완성도 또한 높아서, 2005년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 다큐멘터리상 부문 후보에 올랐다.[11] 그의 사망사건에 대해 진실을 폭로함으로서 세계적인 이슈를 몰고온 다큐멘터리[12] 스카페이스의 곡을 Johnny P와 함께 피쳐링.[13] Jon B.의 곡에 피쳐링.[14] 모두 불과 1994년~1997년 사이에 세상을 떠났다.[15] 그가 1995년의 한 인터뷰에서 한 말을 인용했다.[16] 1994년 총격사건 이후 Death Row에 들어간 이후로는 가사에 사회 문제보다는 돈, 마약과 같은 이야기를 더욱 많이 쓰기 시작했다. 다만, 그런 가사들조차 매우 유려하게 썼다.[17] 드레는 1993년에 있던 스눕 독의 혐의에 대한 청문회에는 참석했었지만 나중에 본격적인 재판이 펼쳐지고 증언대에 서달라는 요청을 받자 이를 거절했다. 드레 자신 또한 1994년에 음주운전으로 재판을 받고 5개월간 수감되기도 했기 때문에 몇몇 사람들은 드레가 이러한 일에 엮이는 것을 원하지 않았을 거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드레는 감옥에서 보낸 5개월과 옛 동료 이지 이의 사망이 그의 인생에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고 말한 바 있다.[18] 데스 로우의 CEO이던 슈그 나이트는 드레가 스눕 독의 재판에 가지 않은 이유가 인터스코프 측이 드레에게 스눕 독이 무죄판결을 받을 가능성은 없으니 갈 필요가 없다고 해서였다고 주장했다. 스눕 독과는 화해한 것과는 달리 슈그 나이트는 여전히 드레를 싫어하고 그를 깎아내리는 발언들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이 말이 사실인지는 불명. 참고로 슈그 나이트는 엄청난 돈과 노력을 들여 자신의 슈퍼스타인 스눕 독이 끝끝내 무죄판결을 받게 하였다.[19] 이에 대해서는 사실 더 깊은 뒷이야기가 존재하는데, Toss It Up의 오리지널 버전에 사용된 비트는 사실 그 유명한 명곡 No Diggity의 비트와 거의 동일했었다. 원래 드레가 데스 로우에 있던 시절에 처음 만들었던 비트였기 때문. 이후 드레는 데스 로우를 떠나고 이 비트를 Blackstreet에게 줘서 No Diggity가 탄생하게 된 반면, 슈그 나이트는 드레가 떠난 후 이 비트를 투팍에게 주었다. 이후 실제로 이를 사용한 Toss It Up 오리지널 버전이 라디오에 나오기도 했는데 (이 버젼에는 드레에 대한 디스 벌스가 없었다), 이를 우연히 듣게 된 테디 라일리가 인터스코프 레코즈의 CEO 지미 아이오빈에게 No Diggity의 비트를 사용한 것에 대해 바로 알리고, 아이오빈이 데스 로우에게 이 비트의 사용에 대한 정지명령을 요구하여 데스 로우 측이 Toss It Up의 비트를 강제로 교체하게 된 것이다. 이 사건 때문에 투팍은 드레에 대한 안 좋은 감정이 더욱 더 상하게 되어 원래는 없던 드레에 대한 뜬금없는 디스 벌스까지 넣게 된 것이다.[20] 투팍이 수감 중일 때 슈그 나잇에게 투팍을 데스 로우에 데려오자는 말을 꺼낸 것도 스눕 독이었다고 한다.[21] 데스 로우의 CEO이던 슈그 나이트를 비롯한 일부 증언에 의하면 스눕 독은 그동안 투팍에게만 포커스를 맞추던 데스 로우에게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닥터 드레가 데스 로우에서 이탈하면서 불만이 시작된 듯하다. 당시 데스 로우에는 스눕 독, 대즈 딜린저, 네이트 독, 커럽트, 레이디 오브 레이지 등 드레가 데려온 아티스트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었는데 불화로 인해 그들의 수장격인 인물이 나가 버렸으니 당시 내부 분위기가 어땠을지는 쉽게 상상할 수 있다.[22] 이 인터뷰에서 투팍은 동부와 서부의 전쟁은 미디어가 만든 허상일 뿐 비기와 본인 개인적인 문제일 뿐이라며 사태를 무마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이 인터뷰를 할 때쯤 그는 서서히 마음을 열고 동부 레이블 래퍼들과의 합작품인 One Nation이라는 앨범을 제작하고 있었다.[23] 투팍과 스눕 독은 같이 비기와 퍼프 대디를 디스하는 곡을 녹음하는 도중이었으며, 스눕 독은 그 전에 Keep It Real Dogg이라는 곡에서 비기 디스 벌스를 쓰기도 했다.[24] 오늘날까지도 이런 스눕 독의 앞뒤 다른 행보를 비판하는 팬들도 많은 편이다.[25] 투팍 뿐만 아니라 슈그 나이트도 스눕 독을 투명인간 취급했다고 한다. 이 비행기에 오르기 직전에 슈그 나이트는 자신과 투팍 등의 경호원들만 탑승시키고 스눕 독의 경호원들에게만 자신들과 같은 비행기에 탈 수 없으니 다른 비행기를 타라고 지시했다. 이에 스눕 독은 자신이 공격당할 줄 알고 반격하기 위해 포크를 집어 자신의 담요 아래로 숨긴 다음 돌아오는 비행 내내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고 한다. 실제로 공격 받지는 않았다고.[26] 홀로그램을 제작한 회사는 Digital Domain으로 타이타닉,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같은 유명 영화에 참여한 적이 있었으나 파산했다.[27] 이와 별개로 투팍 생존설은 밈으로 정착한 상태. 상기한 꾸준글 형태가 대표적이고 Remove Kebab과 엮어서 위대한 세르비아에 살아있다는 꾸준글이나 엘비스 프레슬리의 은퇴 농장에서 함께 살고 있다던가 등의 바리에이션들이 존재한다.[28] 그래서인지 투팍을 보고 '래퍼들의 래퍼'라고 하기도 한다.[29] 이와 비슷하게 한국에선 2Pac을 '투팍'으로 읽냐 아니면 '팍'으로 읽냐로 구분하기도 한다.[30] 사실 아직까지도 제대로 이름 읽는 사람이 없는 리아나도 그렇고 비욘세도 유명해지기 전까지는 '비욘스'라고 불렸다. 문제는 한국 리스너들에게 '투팍을 투팩이라고 발음하는 건 힙알못'이라는 일종의 밈이 생겨버린 것. 더 콰이엇의 '그것은 힙합 혹은 발라드'라는 곡에도 '2PAC 그건 투팩으로 읽지'라는 구절이 있다. 참고로 이 곡은 음악으로 부심부리며 X문가질 하는 사람들을 까는 곡이다. 허나,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은 힙합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들 조차도 '투팍'이라는 이름에 대해선 익숙해졌기에 사실상 사라진 밈이나 다름없어졌다. 그리고 해당 인물이 실제로 불리는 방식으로 이름을 불러줘야 하는 것이 일종의 예의이기에 아주 틀린 말도 아니었다고 볼 수 있다.[31] 가장 대표적인 예로 프로레슬러 PAC이 있는데, 본토에서도 해당 링네임을 '팍'으로 읽는 경우가 매우 많아서 유명 프로레슬링 평론가인 데이브 멜처가 '팍'이 아닌 '팩으로 발음해야 한다고 여러번 강조한 바가 있다.[32] 라이센스 버전 해외음반들은 거의 다 앨범 리뷰가 첨부되어 나온다. 이는 라이센스 버전만의 묘미[33]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뉴스에서 조차도 투팩이라고 읽는 경우가 많았다.[34] 단, 27년 지나서야 해결되었다.[35] 여담으로 투팍이 사망 소식은 당시에 워낙 큰 이슈여서 한국의 라디오에도 투팍이 죽었다는 소식이 간간히 흘러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데프콘은 알바를 하다가 투팍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울었다고 한다.[36] 사실 닮은 외모 때문에 생긴 별명일 뿐이지, 둘의 음악 스타일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프레디 깁스를 '투팍의 재림'이라고 부르기에는 어느 정도 무리가 있다.[37] 영상에 언급된 마이클 잭슨은 가난한 사람들 특히 어린 아이들을 많이 도와주었다. 특히 1992년에 Heal The World 재단을 설립해 세계 곳곳에 가난하고 아픈 아이들을 많이 도와주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