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중앙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
Équipe de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de football[1] | |||
<colbgcolor=#2D99EA><colcolor=#FBD34D> FIFA 코드 | COD | ||
축구 협회 |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연맹 (FECOFA) |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
지역 연맹 | 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UNIFFAC) | ||
홈 경기장 | 스타드 데 마티르 (Stade des Martyrs, 80,000석) | ||
별칭 | Les Léopards (표범) | ||
감독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세바스티앵 드사브르 (Sébastien Desabre) | ||
주장 | C 샹셀 음벰바 (Chancel Mbemba) | ||
FIFA 랭킹 | 57위 (2024년 10월 24일 기준 / #) | ||
Elo 랭킹 | 57위 (2024년 10월 28일 기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bd34d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D99EA><colcolor=#FBD34D> A매치 최다 출전 | 샹셀 음벰바 (Chancel Mbemba) - 88경기 / 6골 | |
A매치 최다 득점 | 듀메르시 음보카니 (Dieumerci Mbokani) - 49경기 / 22골 | ||
첫 국제경기 출전 | 벨기에령 콩고 vs 북로지디아 3:2 승 (벨기에령 콩고 / 1948년) | ||
최다 점수차 승리 | 킨샤사 콩고 vs 잠비아 10:1 승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 / 1969년 11월 22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자이르 vs 유고슬라비아 0:9 패 (서독 겔젠키르헨 / 1974년 6월 18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bd34d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D99EA><colcolor=#FBD34D> 세계대회 | ||
월드컵 | [진출] 1회 [최고] 16위/조별리그 (1974) | ||
대륙대회 | |||
네이션스컵 | [진출] 19회 [최고] (1968, 1974)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
양말 |
[clearfix]
1. 개요
콩고민주공화국의 축구 국가대표팀. 표범(Les Léopard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예전에 국명이 자이르였을 때 1974년 서독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해 이집트, 모로코에 이어 아프리카 우승 진출하여 1장의 월드컵 티켓을 획득하여 아프리카 통산 세 번째로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16강 조별리그에서 3전 전패에 무득점 14실점으로 같은 3전 전패에 14실점을 했지만 2득점을 기록한 아이티를 제치고 대회 최하위(16위)의 성적에 그쳤다. 특히 유고슬라비아전에서 기록한 0:9 패배는 월드컵 역사상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에서의 헝가리 vs 대한민국 경기에서 기록된 9:0,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에서의 헝가리 vs 엘살바도르 전에서 기록된 10:1과 더불어 월드컵 역사상 최다 점수차 경기이자, 해당 국가의 최다 점수차 패배기록으로 남아있다.
여담으로 이 패배에는 한 가지 참 어처구니없는 이유가 있는데, 당시 자이르는 스코틀랜드와의 첫 경기에서 2:0으로 아쉽게 패배했고, 브라질과 유고와의 경기가 0:0 무승부로 끝난 데다 16개국 본선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가 브라질과의 경기였던 만큼 다음 경기인 유고전에서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유고전 바로 전날 서독 현지에 와 있던 자이르의 체육부 장관이 피파에서 참가국들에게 지급하는 대회 상금과 지원금을 전부 국가가 가져간다고 통보했다. 이에 사기가 급락한 선수단은 경기 기권패도 고려했지만 자이르의 군사독재자 모부투 대통령은 본인이 경기를 보고 싶으니 경기를 뛰라고 강요했고, 결국 선수단은 마음에도 없는 유고와의 경기를 억지로 뛰어야 했다.
이런 선수들의 혼란을 극복하지 못한 채 맞이한 유고전에서 자이르 대표팀은 전반 17분까지 3:0으로 끌려다니게 되었고, 이에 코치는 전반 21분 주전 골키퍼를 교체하는 결단까지 내렸지만, 팀 전체가 격랑에 빠진 상황에서 선수 한 명 교체해 봐야 달라지는 것은 없었고, 골키퍼 교체 후 불과 1분만에 선수 1명이 퇴장당하며 수적 열세까지 떠안은 데다 교체되어 들어간 골키퍼가 더 못하는 바람에 6점을 더 내주고 9:0으로 졌다. 이후 유고는 스코틀랜드와의 3차전에서도 1:1로 비기며 8강에 진출했고, 덕분에 자이르를 상대로 2골밖에 넣지 못한 스코틀랜드가 득실차에서 밀려 1승 2무로 무패 탈락했다.[2]
그렇게 유고전 패배로 조별리그 탈락이 확정된 상황에서 치러진 브라질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도 "3골차 이상으로 진다면 집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군부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3:0으로 패하면서 본선 진출 16개국 중 꼴찌인 월드컵 16위를 기록하며 1974 FIFA 월드컵 서독 최악의 팀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이게 더더욱 어이없는 건, 당시 자이르가 대회 3달을 앞두고 이집트에서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에서 비디니치 감독의 지휘하에 우승을 거뒀기 때문이다. 아무리 유럽, 남미와 제3대륙간의 실력 차이가 훨씬 컸던 시절임을 감안하더라도 이미 1968년 네이션스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는 등 아프리카 1강으로 조련된 팀이 독재자의 알량한 돈 욕심 때문에 망쳐지고 월드컵에서 패망한 것이다.
여담으로 국내에서는 유고슬라비아 국적인 비디니치 감독이 모국의 편의를 봐주기 위해 유고슬라비아에게 져줄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감독을 경질하고 현지에 있던 축구의 축자도 모르는 체육부 장관을 감독 대행으로 앉혀 이런 대참사가 났고, 유고와의 경기가 종료되자 체육부 장관을 또 해임하는 등 월드컵을 정적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다는 루머가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조별리그 3경기 모두 비디니치 감독이 지휘했다.#
그 후 콩고 전쟁으로 인한 혼란과 국가 파탄까지 겹치면서 네이션스컵에서도 예선 탈락을 반복하는 등 아프리카에서도 하위권으로 추락하게 되었고, 모부투 정권이 붕괴된 후 1998년부터 콩고민주공화국이라는 새 이름으로 출전하고 있지만 1974년 이후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에 다시 오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난한 나라지만 콩고민주공화국 대표팀은 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준결승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며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비록 대회 우승팀인 코트디부아르에게 패배하여 결승에 올라가지는 못했지만 3, 4위전에서 개최국 적도 기니를 꺾고 3위를 차지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최종 예선까지 진출해 튀니지, 기니, 리비아 등과 같은 A조에 배정되었다. 조 1위만 본선에 진출하는데 기니와 리비아를 상대로는 선전했지만 튀니지를 상대로 1무 1패로 패퇴하면서 또 다시 월드컵 본선 복귀를 다음으로 미뤄야 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2차예선 비교적 약한 팀만 모여있는 J조에 속해 3차예선 까지는 무난하게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탄자니아의 의외의 선전으로 3위로 떨어진 상황이다. 다행히 10월부터 뒷심을 발휘해 조 최종전에서 1위 경쟁을 벌이던 배냉을 이기면서 극적으로 1위를 탈환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대진운이 따라준다면 이전 국명 자이르 시절 나갔던 1974년 월드컵 이후 48년만의 본선 진출을 이룰 찬스를 잡을 수도 있었지만, 최종예선 상대이자 아프리카 첫 4강 신화를 이루게 되는 모로코는 너무나도 강적이었다. 본인들의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그래도 1대1 무승부라도 했지만, 원정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4대1로 대패하며 본선 진출에는 안타깝게 실패했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예선에서는 B조에 편성되어 세네갈, 모리타니, 토고, 수단, 남수단과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조 1강 세네갈은 무리더라도 나머지 국가들을 잘 상대한다면 조 2위 상위 4팀이 진출하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52년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이 가능할지도 모른다.
은근히 스쿼드가 강한 팀으로 48개국 확대와 함께 월드컵 본선 복귀 가능성이 있는 국가로도 점쳐진다. 아프리카 최고의 클럽 중 하나인 TP 마젬베가 이 나라 클럽이며, 역사적 배경 때문에 벨기에로의 선수 진출이 많아 다수의 유럽파를 보유하고 있다.[3] 특히 공격수 세드릭 바캄부, 야닉 볼라시, 뒤메르시 음보카니라는 훌륭한 공격자원들을 배출했다. 마르셀 티세랑, 가엘 카쿠타, 아르튀르 마쉬아퀴, 사뮈엘 무투사미, 요안 위사, 네이스컨스 케바노, 사뮈엘 바스티엥, 제던 칼룰루 같은 이민 2세 선수들도 부모의 나라를 선택해 DR 콩고 대표팀에서 뛰고 있다. 본토 출신 선수로는 샹셀 음벰바가 제일 유명하며 그 외에도 조나탕 볼링기, 에도 카옘비, 메샤크 엘리아 등의 본토 출신 선수가 있다. 그동안 신원이 불분명했던 본토 출신 분데스리가 VfB 슈투트가르트의 에이스 실라스 카톰파 음붐파의 신원이 회복되고 대표팀에 차출되면서 대표팀 전력이 더 강해졌다.
대한민국과의 A매치 맞대결 전적은 아직 없으며, 아일랜드, 슬로베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리아와 함께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력이 한 번이라도 있는 국가대표팀 중 친선전을 모두 포함해 대한민국과 A매치에서 만난 적이 한 번도 없는 5개 팀 중 하나이다.
2. 현재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181E 15%, #2D99EA 15%, #2D99EA 85%, #F8181E 85%)"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2D99EA> |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D34D>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GK | 1 | 리오넬 음파시 (Lionel Mpasi) | 1994년 8월 1일 ([age(1994-08-01)]세) | 15 | 0 | 로데스 AF | |
16 | 디미트리 베르토 (Dimitry Bertaud) | 1998년 6월 6일 ([age(1998-06-06)]세) | 2 | 0 | 몽펠리에 HSC | ||
21 | 티모티 파율루 (Timothy Fayulu) | 1999년 7월 24일 ([age(1999-07-24)]세) | 0 | 0 | FC 시옹 | ||
DF | 2 | 에노크 이농가 바카 (Henoc Inonga Baka) | 1993년 11월 1일 ([age(1993-11-01)]세) | 18 | 0 | AS FAR | |
4 | 피터 키오소 (Peter Kioso) | 1999년 8월 15일 ([age(1999-08-15)]세) | 0 | 0 | 옥스포드 유나이티드 | ||
5 | 딜랑 바튀빙시카 (Dylan Batubinsika) | 1996년 2월 15일 ([age(1996-02-15)]세) | 8 | 0 | AS 생테티엔 | ||
12 | 요리스 카옘베 (Joris Kayembe) | 1994년 8월 8일 ([age(1994-08-08)]세) | 15 | 0 | KRC 헹크 | ||
15 | 로키 부시리 (Rocky Bushiri) | 1999년 11월 30일 ([age(1999-11-30)]세) | 2 | 0 | 히버니언 FC | ||
22 | 샹셀 음벰바 (Chancel Mbemba) | 1994년 8월 8일 ([age(1994-08-08)]세) | 87 | 6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
24 | 제던 칼룰루 (Gédéon Kalulu) | 1997년 8월 29일 ([age(1997-08-29)]세) | 14 | 0 | FC 로리앙 | ||
26 | 아르튀르 마쉬아퀴 (Arthur Masuaku) | 1993년 11월 7일 ([age(1993-11-07)]세) | 25 | 3 | 베식타스 JK | ||
MF | 6 | 에도 카옘베 (Edo Kayembe) | 1998년 6월 3일 ([age(1998-06-03)]세) | 22 | 2 | 왓포드 FC | |
7 | 윌리엄 발리퀴샤 (William Balikwisha) | 1999년 4월 12일 ([age(1999-04-12)]세) | 4 | 0 | 아우트헤버를레이 뢰번 | ||
8 | 사뮈엘 무투사미 (Samuel Moutoussamy) | 1996년 8월 12일 ([age(1996-08-12)]세) | 32 | 0 | 시바스스포르 | ||
10 | 테오 봉곤다 (Théo Bongonda) | 1995년 11월 20일 ([age(1995-11-20)]세) | 18 | 3 |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
14 | 가엘 카쿠타 (Gaël Kakuta) | 1991년 6월 21일 ([age(1991-06-21)]세) | 24 | 3 |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 ||
18 | 샤를 피켈 (Charles Pickel) | 1997년 5월 15일 ([age(1997-05-15)]세) | 12 | 0 | US 크레모네세 | ||
25 | 노아 사디키 (Noah Sadiki) | 2004년 12월 17일 ([age(2004-12-17)]세) | 2 | 0 |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 ||
나다나엘 음부쿠 (Noah Sadiki) | 2002년 3월 16일 ([age(2002-03-16)]세) | 0 | 0 | GNK 디나모 자그레브 | |||
FW | 11 | 실라스 (Silas) | 1998년 10월 6일 ([age(1998-10-06)]세) | 14 | 1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
13 | 메샤크 엘리아 (Meschak Elia) | 1997년 8월 6일 ([age(1997-08-06)]세) | 41 | 8 | BSC 영 보이즈 | ||
17 | 사뮈엘 에센데 (Samuel Essende) | 1998년 1월 23일 ([age(1998-01-23)]세) | 4 | 0 | FC 아우크스부르크 | ||
19 | 피스통 마옐 (Fiston Mayele) | 1994년 6월 28일 ([age(1994-06-28)]세) | 13 | 2 | 피라미즈 FC | ||
23 | 시몽 반자 (Simon Banza) | 1996년 8월 13일 ([age(1996-08-13)]세) | 9 | 0 | 트라브존스포르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79위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벨기에의 식민지 | ||||||||||
1930년 우루과이 | 독립 이전(벨기에령 콩고) | |||||||||
1934년 이탈리아 | ||||||||||
1938년 프랑스 | ||||||||||
1950년 브라질 | ||||||||||
1954년 스위스 | ||||||||||
1958년 스웨덴 | ||||||||||
※ 레오폴드빌 콩고 | ||||||||||
1962년 칠레 | 축구 협회 창립 이전 | |||||||||
1966년 잉글랜드 | 불참 | |||||||||
1970년 멕시코 | 출전 금지 | |||||||||
※ 자이르 공화국 | ||||||||||
1974년 서독 | 조별리그[4] | 16위 | 3 | 0 | 0 | 0 | 3 | 0 | 14 | |
1978년 아르헨티나 | 기권 | |||||||||
1982년 스페인 | 예선 탈락 | |||||||||
1986년 멕시코 | 불참 | |||||||||
1990년 이탈리아 | 예선 탈락 | |||||||||
1994년 미국 | 예선 탈락 | |||||||||
※ 콩고민주공화국 | ||||||||||
1998년 프랑스 | 예선 탈락 | |||||||||
2002년 한일 | 예선 탈락 | |||||||||
2006년 독일 | 예선 탈락 | |||||||||
2010년 남아공 | 예선 탈락 | |||||||||
2014년 브라질 | 예선 탈락 | |||||||||
2018년 러시아 | 예선 탈락 | |||||||||
2022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0 | 3 | 0 | 0 | 3 | 0 | 14 |
총 전적 3패, 0득점 14실점으로 통산 순위 79위를 기록하고 있다. 바로 밑의 팀이자 월드컵 본선 진출 경력이 있는 팀 중 전체 꼴찌인 엘살바도르가 본선 진출을 한 번 더 했고 월드컵에서 1득점을 기록 중이지만 6패, 1득점 22실점으로 골득실 -21을 기록하고 있어 엘살바도르를 득실차로 제치고 79위에 올라있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는 월드컵 우승국이다.
브라질: 1패(1974) 세르비아[5]: 1패(1974) 스코틀랜드: 1패(1974) |
대륙별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2패 남미: 1패 |
콩고민주공화국에 패배를 안긴 적이 있는 국가는 브라질(1패), 세르비아(1패), 스코틀랜드(1패)로 세 팀이며, 모두 전패를 기록중이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서 득점을 기록한 적은 없으며, 최다실점 기록은 1974년 조별리그 유고슬라비아전 0:9 패로 1954년 헝가리vs대한민국 9:0, 1982년 헝가리vs엘살바도르 10:1과 함께 월드컵 본선 최다 점수차 타이기록이다.
중국, 인도네시아[6],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함께 월드컵 본선에 진출해 본 국가 중 득점을 기록하지 못한 네 팀 중 하나다. 그나마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스웨덴과 무승부라도 거두면서 승점을 챙기는 데에 성공했지만,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서 승점을 따지 못한 국가들(인도네시아, 아이티, 콩고민주공화국, 캐나다,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중국, 토고, 파나마, 카타르) 중 1골도 기록하지 못한 팀은 콩고민주공화국과 함께 중국, 인도네시아 세 팀이다.
만약에 이 4팀 중 월드컵 본선에서 첫 골을 신고하는 팀이 나올 경우 그나마 가장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팀이다. 중국과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예선에서도 헤매고 있으며,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작은 섬나라인 반면 네이션스컵 4강에 월드컵 최종 예선도 간간히 진출하는 콩고민주공화국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3.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11위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벨기에의 식민지 | ||||||||||
1957 | 독립 이전(벨기에령 콩고) | |||||||||
1959 | ||||||||||
※ 레오폴드빌 콩고 | ||||||||||
1962 | 불참 | |||||||||
1963 | 불참 | |||||||||
1965 | 조별 라운드 | 5위 | 2 | 0 | 0 | 2 | 2 | 8 | 0 | |
1968 | 우승 | 1위 | 5 | 4 | 0 | 1 | 10 | 5 | 12 | |
1970 | 조별 라운드 | 7위 | 3 | 0 | 1 | 2 | 2 | 5 | 1 | |
※ 자이르 공화국 | ||||||||||
1972 | 4강 | 4위 | 5 | 1 | 2 | 2 | 9 | 11 | 5 | |
1974 | 우승 | 1위 | 6 | 4 | 1 | 1 | 14 | 8 | 13 | |
1976 | 조별 라운드 | 7위 | 3 | 0 | 1 | 2 | 3 | 6 | 1 | |
1978 | 불참 | |||||||||
1980 | 예선 탈락 | |||||||||
1982 | 예선 탈락 | |||||||||
1984 | 기권 | |||||||||
1986 | 예선 탈락 | |||||||||
1988 | 조별 라운드 | 7위 | 3 | 0 | 2 | 1 | 2 | 3 | 2 | |
1990 | 예선 탈락 | |||||||||
1992 | 8강 | 6위 | 3 | 0 | 2 | 1 | 2 | 3 | 2 | |
1994 | 8강 | 7위 | 3 | 1 | 1 | 1 | 2 | 3 | 4 | |
1996 | 8강 | 8위 | 3 | 1 | 0 | 2 | 2 | 3 | 3 | |
1998 | 4강 | 3위 | 6 | 3 | 1 | 2 | 10 | 9 | 10 | |
※ 콩고민주공화국 | ||||||||||
2000 | 조별 라운드 | 12위 | 3 | 0 | 2 | 1 | 0 | 1 | 2 | |
2002 | 8강 | 8위 | 4 | 1 | 1 | 2 | 3 | 4 | 4 | |
2004 | 조별 라운드 | 15위 | 3 | 0 | 0 | 3 | 1 | 6 | 0 | |
2006 | 8강 | 8위 | 4 | 1 | 1 | 2 | 3 | 6 | 4 | |
2008 | 예선 탈락 | |||||||||
2010 | 예선 탈락 | |||||||||
2012 | 예선 탈락 | |||||||||
2013 | 조별 라운드 | 10위 | 3 | 0 | 3 | 0 | 3 | 3 | 3 | |
2015 | 4강 | 3위 | 6 | 1 | 4 | 1 | 7 | 7 | 7 | |
2017 | 8강 | 6위 | 4 | 2 | 1 | 1 | 7 | 5 | 7 | |
2019 | 16강 | 14위 | 4 | 1 | 1 | 2 | 6 | 6 | 4 | |
2021 | 예선 탈락 | |||||||||
2023 | 4강 | 4위 | 7 | 1 | 5 | 1 | 8 | 6 | 8 | |
2025 | ? | ? | ? | ? | ? | ? | ? | ? | ? | |
2027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20회 / 우승 2회 | 73 | 21 | 29 | 30 | 96 | 108 | 92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191919>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국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000000" | 순서 | 우승국 | 우승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002395,#000> 이집트 | 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 | ★★★★★ ★★ 7회 | |
2 | 에티오피아 | 1962 | ★ 1회 | ||
3 | 가나 | 1963, 1965, 1978, 1982 | ★★★★ 4회 | ||
4 | 콩고민주공화국 | 1968, 1974 | ★★ 2회 | ||
5 | 수단 | 1970 | ★ 1회 | ||
6 | 콩고 공화국 | 1972 | ★ 1회 | ||
7 | 모로코 | 1976 | ★ 1회 | ||
8 | 나이지리아 | 1980, 1994, 2013 | ★★★ 3회 | ||
9 | 카메룬 | 1984, 1988, 2000, 2002, 2017 | ★★★★★ 5회 | ||
10 | 알제리 | 1990, 2019 | ★★ 2회 | ||
11 | 코트디부아르 | 1992, 2015, 2023 | ★★★ 3회 | ||
1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6 | ★ 1회 | ||
13 | 튀니지 | 2004 | ★ 1회 | ||
14 | 잠비아 | 2012 | ★ 1회 | ||
15 | 세네갈 | 2021 | ★ 1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