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5:45:44

크메르어

동남아시아 주요 언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중국티베트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라다이어족 서파푸아어족 크리올어
미얀마어 라후어 베트남어 크메르어 태국어 라오어 트르나테어 차바카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필리핀어 테툼어 자바어 순다어 세부아노어 발리어 아체어
관련 문자
라오 문자 · 라틴 문자 · 버마 문자 · 쯔꾸옥응으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타이탐 문자 · 타이비엣 문자 · 자위 문자 · 자바 문자 · 순다 문자 · 발리 문자 · 바이바이인 문자 · 쯔놈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Austroasiat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letter-spacing: -0.5px;"
베트남어파 비에트므엉어군 베트남어 · 므엉어 · 응우온어
퐁-리하어군 퐁어 · 뚜온어 · 리하어
쯧어군 쯧어 · 아렘어
쿠오이어군 쿠오이어
크리어군 크리어 · 타븡어
까뚜어파 서부 까뚜어군 쿠이어 · 브루어
타오이어군 타오이어
파코어군 파코어
까뚜어군 까뚜어 · 푸옹어
크무어파 크무어군 크무어
믈라브리어군 믈라브리어
파이프람어군 파이어 · 퐁크니앙어
망어파 망어
파칸어파 볼류어 · 파칸어
크메르어파 크메르어
페아르어파 페아르어군 페아르어
총어군 총어 · 삼레어 · 카송어 · 수오이어
카시팔라웅어파 카시어군 카시어 · 와르어 · 프나르어
몬어파 몬어 · 냐쿠르어
팔라웅어군 푸만어
문다어파 북부 문다어군코르쿠어 · 호어 · 헤르와리아어 · 산탈리어
남부 문다어군 코르풋 문다어
아슬리 제어
니코바르어파 차우라테레사어군 차우라어 · 테레사어
중부 니코바르어군난코우리어 · 카모르타어 · 카찰어
남부 니코바르어군카르어 · 숌펜어
바나르어파 북부 바나르어군 제어 · 할랑어 · 카용어 · 모놈어 · 토드라어 · 바나르어 · 흐레어 · 카투아어
서부 바나르어군 라비어 · 냐헤운어 · 사푸안어 · 오이어 · 브라오어
중부 바나르어군 알락어 · 찌엉어 · 탐푸안어
동부 바나르어군 쿠아어
남부 바나르어군 꼬호어 · 므농어 · 멜카논어 · 트몬어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32ea1 10%, #e00025 10%, #e00025 90%, #032ea1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00025> 역사 역사 전반 · 크메르 왕국 · 크메르 제국 · 프랑스령 캄보디아 · 캄보디아 제1왕국 · 크메르 공화국 · 민주 캄푸치아,(킬링필드 · 캄푸치아 구국인민동맹임시정부), · UNTAC · 캄보디아국
상징 국장
외교 외교 전반 · ASEAN · 프랑코포니
정치 노로돔 시아모니 · 훈 센 · 훈 마넷 · 역대 총리
경제 경제 전반 · 캄보디아 리엘
국방 캄보디아군
문화 관광 · 앙코르 와트 · 앙코르 유적 · 프레아 비헤아르 사원 · 바이욘 · 캄보디아 요리 ·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 · 크메르어 · 크메르 문자 · 트로
지리 인도차이나 반도 · 해호
민족 크메르인 · 참족
}}}}}}}}} ||}}}
ភាសាខ្មែរ
크메르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지역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원어민 약 1600만 명
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메르어
문자 크메르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km
ISO-639-2 khm
ISO-639-3 khm, kxm[1]
주요 사용 지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dioma_camboyano.png
색칠된 지역 전부: 크메르어가 공용어
파란색: 크메르어가 주요 언어
하늘색: 크메르어가 제2언어
파일:attachment/크메르어/Khmer.png

ភាសាខ្មែរ(Péasa Khmêr, /pʰiːəsaː kʰmaːe/, 피ː어사ː 크마ː에)
ណាំយូវីគីដែលជាដើមចមនៃចំណេះដឹងដែលអ្នកដាំដុះ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표기3. 음운4. 문법5. 어휘6. 방언7. 한국에서의 학습8. 기본 회화9. 예시10. 여담

[clearfix]

1. 개요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국어(國語)이자 캄보디아의 주류 민족인 크메르인의 민족 언어다. 국명에 붙여서 캄보디아어라고도 한다.

이 언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2]에 속하며, 화자 1600만여 명이 있다. 언어유형학적으로는 고립어이다.

2. 표기

표기에는 고유 문자를 쓴다. 인도계통의 표음문자(아부기다)로서 서기 600년경에 만들어졌으며, 초기에는 산스크리트어팔리어 불경을 옮겨적는 데 쓰였다고 한다. 이웃나라인 라오스와 태국의 라오 문자, 태국 문자와는 닮은 듯 하나 그 둘보다는 차이가 더 크고 옛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자음글자를 중심으로 모음은 주로 부호처럼 덧붙이는데, 상하좌우 붙는 데다 거기에 이중자음을 표시하는 자음의 작은꼴 문자와 부가기호까지 더하므로 익숙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참고로 캄보디아인은 이 문자의 둥글둥글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느낀다고 한다.

크메르어를 로마자로 쓰는 여러 방법이 있다. 유엔 지명 전문가 그룹(UNGEGN)의 방식은 크메르어 발음을 최대한 나타내면서 크메르어 표기를 알 수 있도록 적절히 크메르 문자에 로마자를 대입한다. 모음의 발음 구분은 각종 부가 기호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부가 기호를 생략하는 표기법도 쓰인다. 그런데 이거를 그대로 읽어서 'Siĕm Réab'이 'Siem Reab'으로 바뀐 '씨엄리업'을 '시엠레아프'[3]로, '껌뿌찌어(깜뿌찌어)'를 '캄푸치아'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이 있다. 비유하자면 인천을 'Inch'ŏn'에서 유래한 'Inchon'으로 쓴 것을 '인촌'으로 읽는 격이다. 또한 모음엔 장단이 있으며, 같은 모음이라도 자음자의 종류(a계통과 o계통)에 따라 '아'로 읽기도 하고 '이어(여가 아니다.)'로 읽기도 한다. 이 방식은 크메르어 발음을 온전히 표기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같은 문자가 다른 발음을 표시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심지어 캄보디아 총리의 이름 표기인 '훈 센'은 'Hun Sen'을 그대로 읽은 것이나 사실 뒤의 'Sen'은 이중모음 '아에'를 'e'로 표기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셜 미디어 등을 사용할 때 들리는 발음을 묘사한 로마자 통신체를 쓰는 경우도 있다. (예: 게시글, 페북 댓글) 젊은 세대가 너무 로마자를 인터넷에서 많이 쓰니 현지에서는 전통 파괴 우려가 있다고 한다. (#)

2.1. 크메르 문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메르 문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음운

크메르어는 주변에서 쓰이는 베트남어, 라오어, 태국어와 달리 성조가 보통 없다고 알려져있으나 수도 프놈펜의 방언에서는 아직 고대 남아시아어의 특징이 남아있어 높고 낮음의 2개 성조가 존재한다. 그 대신 주변 언어(특히 같은 계통인 베트남어)처럼 특이한 모음들과 이 지역에선 드문 이중자음(Phnum을 생각해보자.)이 많이 있다? 크메르어로 '나'는 ខ្ញុំ, /kʰɲom/이라고 하는데 /ɲ/은 한국어의 변이음에서나 나타난다.

자음은 변이음을 제외하면 21개가 있다. 33개의 자음자를 통해 나타낸다. 이는 과거에 쓰이던 2개의 자음자를 제외한 것이다. 아래 기호에서 ʰ는 유기음으로 한국어의 'ㅋ', 'ㅌ', 'ㅍ'처럼 공기을 터트리며 소리내라는 뜻이다. 유기음과 무기음은 표기 상으로는 구분되지만 일부 음운 환경에서 발음상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한국어의 'ㅑ', 'ㅛ' 소리가 나는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한국어에서 변이음이 아니면 나타나지 않는 비음 /ɲ/, 파열음 /c/가 존재한다. 한글로 'ㄹ'로 나타내는 발음도 /r/, /l/ 발음이라 전자의 경우 스페인어처럼 혀를 떨어야 한다. /ʋ/는 '순치 접근음'이라고 하여 v, f를 발음하는 입모양으로 w를 발음한다. /ʔ/는 한국어 '하'의 'ㅎ'이 소리나는 곳에서 'ㅂ', 'ㄷ'처럼 터뜨리는 소리를 가리킨다. 숫자 1의 ㅇ의 발음이나 아플 때 내지르는 '아!'같은 탄성을 생각하면 쉽다.

/p/, /t/, /c/, /k/는 종성에서는 영어가 아니라 한국어 받침의 발음처럼 터뜨리지 않는다.

베트남어에도 있는 내파음인 /ɓ/, /ɗ/는 교육받은 사람은 /b/, /d/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모음은 장단을 구분하면 18개의 단모음, 13개의 이중모음이 있는데 23개의 모음자, 독립 모음자 12개를 조합하여 나타낸다. 다만 이 모음의 갯수는 반모음이 들어가 있는 모음을 제외한 것이다. 세부적인 소릿값은 사람마다 다르다. 보통 아래와 같은 단모음이 있다고 간주되는 경우가 있는데, 'ㅔ', 'ㅐ'를 구분하지 않는 현대 한국어를 감안하면 'ㅣ', 'ㅜ'말고는 한국어와 소릿값이 거의 같으며 다른 모음과 구분할 정도의 모음이 없다. 'ㅡ'도 구분이 가능하나 한국어처럼 후설모음이 아니라 중설모음이라 한국어보다 약간 앞에서 소리난다. 크메르어 초보자에게는 그냥 한글로 표기하여 발음을 하게 하지만 사실 미묘하게 발음이 달라 어떤 발음을 'ㅏ', 'ㅓ', 'ㅗ'로 적을지 혼선이 있다.

4. 문법

한편 문법은 베트남어와 비슷하다. 베트남어처럼 어순은 SVO(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피수식어가 수식어의 앞에 오고 이에 맞추어 전치사도 발달되어 있다. 언어유형을 구분하면 영어, 표준중국어와 유사한 고립어이다.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편인데 고유어는 한 음절인 단어가 많고 그렇지 않은 단어도 중국어처럼 기존 단어를 조합하거나 어떤 단어가 외래어인지도 구분이 쉽기 때문이다. 크메르 문자로 크메르어를 표기하는 것은 한자로 중국어를 표기하는 모습과 유사하다.

따라서 문법은 어순에 주의하는 것 외에 현란한 동사변화나 명사곡용 등이 없으므로 비교적 쉬운 편. 대신 한 단어의 쓰임이 다양한 편으로 품사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고립어이기에 어순이 문장 성분을 판가름하는데 중요하다. 주어를 생략하는 일이 가능하고, 상대에 따라 인칭대명사 등을 다르게 쓰는 높임법이 있다. 특히 왕족이나 승려에게 사용하는 어휘가 따로 있다.

5. 어휘

한국어와는 닮은 구석이 거의 없어 보이지만 신기하게도 수사(셈말)가 비슷한 구석이 있다. 숫자 30, 40, 60, 70, 80이 각각 '쌈썹/saːm ˈsəp/, 싸에썹/sae ˈsəp/, 혹썹/hok ˈsəp/, 쩟썹/cət ˈsəp/, 빠에썹/paet ˈsəp/'으로 30~90까지 십 단위 수사가 그냥 봐도 닮았다. 또한 숫자 10000도 '머은/məɨn/'이라고 한다. 어린이를 뜻하는 단어(កុមារ) 역시 발음이 '꼬마'/ko.ˈmaː/이다. 물론 이는 각각 한어(漢語)나 팔리어의 차용어로서 계통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다. 후자는 팔리어 꾸마라(kumāra)가 어원이다.

수사가 특이한데 1~5까지밖에 없고, 6, 7, 8, 9는 5+1, 5+2, 5+3, 5+4로 나타낸다. 10은 상고한어에서 빌려온 dáb이고, 20은 mphey이며, 30부터는 태국어에서 빌려온 수사를 사용한다.

6. 방언

방언은 밧떰벙(한국에는 로마자 표기를 그대로 읽은 '바탐방'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방언과 프놈펜 방언, 태국 동북부에서 쓰이는 북부 방언과 베트남 남부에서 쓰이는 남부 방언, 그리고 캄보디아의 유일한 산맥인 끄러반(Krâvanh) 산맥 서쪽에서 쓰이는 카다멈[4] 방언으로 나뉜다.

크메르어의 표준어는 모음의 경우 밧떰벙의 모음과 유사하며, 프놈펜 방언은 표준어와 다소 차이가 있다.

7. 한국에서의 학습

한국에서는 같은 동남아 가운데서도 태국어, 베트남어, 마인어에 비해서도 더 마이너한 언어였지만, 캄보디아 출신 결혼 이민자와 노동자들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생겨나 소수의 한국어판 교재가 등장했다. 그러나 그나마 충분하다곤 할 수 없고, 중급 이상 교재는 시중에 전무한 실정. 오히려 크메르어로 된 한국어 사전이나 교재가 훨씬 많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에 관련 학과가 있으며 단국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교양 과목으로 개설되기도 했다.

영어를 해석할 수 있으면 https://kheng.info/라는 크메르어 사전 사이트를 참고할 수 있다. 띄어쓰기를 쓰지 않는 크메르어 글에서 어디까지가 한 단어인지를 분석할 수 있고, 사용 빈도 순 어휘 목록을 제공한다.

좀 더 자세한 용례는 크메르어 영어 사전과 쭈언 낫 스님의 크메르어 사전을 참조할 수 있다. 오른쪽 링크는 크메르어 속담까지 제공한다. #

2013년 12월 12일부터 네이버 사전에 캄보디아어 사전이 수록되었다. 특수외국어에도 포함된 언어들이기도 하다. 유튜브를 검색하면 한국인 크메르어 강사의 강좌를 확인할 수 있다. 캄보디아 대학에서 언어학과 석사학위를 받은 사람도 있다.

ECK교육에서 크메르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고 도 출판했다.#

8. 기본 회화

한글 모음 표기는 영어의 비슷한 모음에 기준한다. 다만 한글로는 몇 개의 발음이 구분되지 않는다.
안녕하십니까.<colbgcolor=#ffffff,#1f2023>ជម្រាបសួរ(쭘리업 쑤어)/cum.ˈriəp suə/
안녕.សួស្តី(쑤어쓰더이)/suə.ˈsɗəj/
안녕히 가십시오.ជម្រាបលា(쭘리업 리어)/cum.ˈriəp liə/
잘 가.លាហើយ(리어 하어이)/liə ˈhaəj/
감사합니다.អរគុណ(아꾼)/ʔɑː ˈkun/
잘 지내세요?សុខសប្បាយជាទេ(쏙 쌉버이 찌어 떼이[5])/sok sap.ˈɓaːj ciə tei/
알겠어요.យល់ព្រម(유얼 쁘럼 your from)/jŭəl ˈprɔːm/
죄송합니다.[6]សូមទោស(쏘움 또)/soum ˈtoːh/
해 주시겠어요?សូម(쏘움)[7]/soum/
네.(남성)បាទ(밧[8])/ɓaːt/
네.(여성)ច៎ា(짜)/cɑː/
그래, 응អើ(아어)/ʔaə/
아니오.អត់ទេ(앗 떼이)/ʔɑt ˈtei/

9. 예시


자유아시아방송훈 센 총리 친인척의 비리를 다루는 뉴스.


VannDa의 Time To Rise. 2022년 4월 조회수 8천만 건을 넘은 뮤비다. 한국어 자막을 제공한다. 한국어 번역자가 제공하는 원어 가사


이름을 관습적인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의 강좌. 부수적으로 크메르어의 음소도 알 수 있다.

10. 여담

SNL 게임즈의 Grand Theft Auto 시리즈에 사용된 배경음악인 Dengue Fever의 Integration이 크메르어로 부른 노래이다. 이 그룹의 리더인 에던 홀츠먼이 캄보디아 여행갔다가 그 나라 음악에 삘꽂혀서 조직한 밴드로, 보컬인 촘 니몰은 캄보디아인.

[1] 북부 크메르 방언[2] 베트남어와 같은 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엄연히 다른 어족이다.[3] 사실 '시엠레아프'와 같은 표기는 한국어 어문 규정 때문에 그렇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따로 대조표를 마련하고 있지 않은 언어의 경우 기타 언어 표기의 일반 원칙에 따르는데, 기타 언어 표기의 일반 원칙을 보면 a, e, i, o, u는 각각 아, 에, 이, 오, 우로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e가 '어'에 가까운 발음이 나더라도 '에'로 옮기는 것이 어문 규정상 옳은 표기이다.[4] 사실 끄러반 산맥이나 태국어인 반탓 산맥보다 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5] 의문문을 나타내거나 부정을 나타내는 ​ទេ는 장음으로 '떼/teː/'라고도 읽는다.[6] 직역하면 '실례해도 될까요?'에 가깝다.[7] 원 의미는 '요청하다'라는 의미의 동사다.[8] 빠 라고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