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1 05:19:04

크크섬의 비밀

{{{#!wiki style="margin: 0 -10px;"
{{{#334555,#a8bbc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일일 시트콤 (1995~1996, 2006~2012)
두 아빠
(1995~1996)
파일:거침없이 하이킥 로고.png
(2006~2007)
파일:김치 치즈 스마일 로고.png
(2007~2008)
파일:코끼리 MBC 로고.png
(2008)
파일:크크섬의 비밀 로고.png
(2008)
파일:그 분이 오신다 로고.png
(2008~2009)
파일:태희혜교지현이 로고.png
(2009)
파일:지붕뚫고 하이킥 로고.png
(2009~2010)
파일:볼수록 애교만점 로고.png
(2010)
파일:몽땅 내 사랑 로고.png
(2010~2011)
파일: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로고.png
(2011~2012)
파일:스탠바이 MBC 로고.png
(2012)
파일:엄마가 뭐길래 로고.png
(2012)
청춘 시트콤 (1996~2006)
파일:남자셋 여자셋 로고.png
(1996~1999)
파일:점프 MBC 로고.png
(1999~2000)
파일:가문의 영광 MBC 로고.png
(2000)
파일:논스톱1 로고.png
(2000)
파일:뉴 논스톱 로고.png
(2000~2002)
파일:논스톱3 로고.png
(2002~2003)
파일:논스톱4 로고.png
(2003~2004)
파일:논스톱5 로고.png
(2004~2005)
파일:레인보우 로망스 로고.png
(2005~2006)
월요 시트콤, 일요 미니시트콤 및 기타
파일:세 친구 MBC 로고.png
(2000~2001)
파일:연인들 MBC 로고.png
(2001~2002)
파일:두근두근 체인지 로고.png
(2004)
미라클
(2004)
조선에서 왔소이다
(2004)
파일:안녕 프란체스카 로고.png
(2005~2006)
파일:소울메이트 MBC 로고.png
(2006)
파일:천 번째 남자 로고.png
(2012)
}}}}}}}}}}}}}}} ||
<colbgcolor=#fff,#2d2f34><colcolor=#000,#ddd> MBC 시트콤
크크섬의 비밀
(2008)
The Secret of Coocoo Island
クク島の秘密
克克岛秘密
파일:external/imgmovie.naver.com/E0291-01.jpg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평일 19:45 ~ 20:15
방송 기간 2008년 7월 21일 ~ 2008년 10월 3일
방송 횟수 40부작
장르 시트콤, 코미디, 미스터리
제작 초록뱀미디어, CMG초록별
채널 MBC
제작진 <colbgcolor=#fff,#2d2f34><colcolor=#000,#ddd> 제작 김기범, 김태연
연출 김영기, 조찬주
각본 송재정, 정지영, 김윤주
출연진 신성우, 김선경, 김광규, 윤상현, 심형탁, 이다희, 이외수, 김시후, 채민영, 오산하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상세3. 스토리4. 등장 인물5. 여담

[clearfix]

1. 개요



MBC에서 2008년 7월 21일부터 2008년 10월 3일까지 방영된 시트콤. 초록뱀미디어가 제작했다.

2. 상세

하이킥 시리즈 제작진이 제작한 미드 로스트의 패러디 성향이 짙은 시트콤이다. 독특한 소재와 그에 걸맞은 올로케이션 촬영 등으로 나름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다. 실제로 전편을 다 보면 알겠지만 전체적인 흐름이나 웃음 포인트는 김병욱감독의 거침없이 하이킥과 비슷함을 알 수 있는데, 하이킥 시리즈의 후속작인 지붕뚫고 하이킥보다도 더 유사하게 느껴질 정도다. 김병욱 감독과 함께 참여한 송재정 작가의 영향으로 보인다.

실제 크크섬의 배경은 서해의 무의도. 제작비나 촬영 스케줄 등의 어려움에 비하면 시청률[1]이나 대중적 화제성이 높지 않아서인지 윤상현, 김광규의 과거 출연작을 말할 때 언급되지 않는 측면이 있지만 사실상 윤상현에게 있어서는 영광스런 작품이다.[2]

어쨌든 실패로 인해 시즌 2 계획은 무산되었다. 작품 자체의 실패와 더불어 종영 이후 김광규윤상현, 이다희, 심형탁 등 주요 출연진들이 이후에 인기가 높아진 것도 원인.

송재정 작가는 이후 드라마작가로 완전하게 전업하여 SBS의 커피하우스라는 드라마로 데뷔한다.[3] 이후에도 인현왕후의 남자,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삼총사, W등의 드라마를 쓰며 완전한 드라마 작가로 전업하였는데 감자별 이후 시트콤을 다시는 안한다던 김병욱 감독이 너의 등짝에 스매싱으로 복귀하는 모습에 비해 시트콤으로는 전혀 발길도 주지 않고 있다.

작품의 의미라면 이후 출연 배우인 이다희, 윤상현, 김광규, 심형탁 등이라도 이름을 알리는 데 성공했다는 것. 심지어 가수가 본업이고 크크섬 이전에 한 작품 밖에 없던 신성우마저 이후 근육질 짐승남 이미지를 어필하며 연기자임을 알렸고 뮤지컬로 성공했다. 작가인 이외수의 등장 또한 화제가 되었다.[4]

작품과는 별개로 OST가 상당히 좋다. 페퍼톤스가 만든 한 곡을 제외한 전곡을 W가 담당, 이승열, 마이 앤트 메리의 프론트맨 토마스 쿡 등이 보컬로 참여하여 훌륭한 OST 앨범을 만들어냈다.

참고로 거침없이 하이킥 시리즈와 세계관이 완전히 같다. 실제로 하이킥 시리즈에 나왔던 배우들이 같은 역할을 맡고서 출현하기도 한다.

3. 스토리

'일일 쇼핑'이라는 회사에서 서해안 낙도에 구호 물품을 전하러 가던 중 조난을 당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결국 무인도에 떨어지게 되는데, 마침 배에 실려 있던 구호 물자 덕에 최소한의 생활이 가능했으나 점점 상황은 야생으로 치달아가고, 처음에는 곧 구조될 거라 믿고 돌아가면 무엇을 할 것인지를 상상하던 직원들은 눈앞의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로 내몰린다. 원래 같은 회사의 상사와 부하 관계였던 인간관계는 천천히 무너지고, 갈등과 로맨스, 동료애가 난무하게 된다. 그리고 배를 타고 스스로 돌아갈 길을 만들려는 시도를 하는 와중에 일부는 다른 섬에 낙오되기도 하고, 보이지 않는 위험이 섬 안에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기도 한다.

그러던 중 섬에 무려 '총'을 든 괴한이 숨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등장인물들이 섬에 꽤 오래 거주했음에도 발견하지 못 했지만 결국 알게 됐다. 작중에서는 이런 섬에 숨어 살고, 얼굴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괴한 범죄자가 아닐까 추측했다. 이후 작중 윤대리가 우연히 마주해서 총으로 위협당해 죽을 뻔 하지만 자신이 당첨된 복권을 보여주며 함께 나가자고 제안. 그러나 괴한은 윤대리를 기절시키고 배를 타고 밖으로 탈출하는데, 이때 윤대리가 배에 숨어 있는 것을 보여주면서 크크섬의 비밀이 끝난다.

결말이 사실상 열린 결말을 넘어 갑자기 연중된 느낌인데, 이 작품의 실질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섬의 탈출은 물론이고 후반의 주요 관심사였던 괴한의 정체도 나오지 않고 그대로 끝나버렸기 때문이다. 사실 어찌 됐든 윤대리가 배를 타고 섬에 나가게 된 만큼 2, 3화 분량만 더 있어도 어떻게든 결말을 낼 수 있었을 텐데 그것도 안 돼서 아쉬운 부분.

갑자기 중단된 이유로는 원래 시즌2를 제작할 생각으로 결말을 딱 궁금해 할 부분으로 제작했다고 추측된다. 하지만 생각보다 저조한 시청률과 송재정 작가가 시트콤을 접고 완전히 드라마로 전향하였고, 그 외에 시트콤의 인기가 전반적으로 떨어져 감에 따라 시즌2 제작이 무산된 걸로 보인다. 아무래도 섬에서 촬영해야 하는 만큼 세트장에서 찍는 다른 드라마보다 쵤영이 어려운 편이고, 배우들의 몸값이 오른 것도 이유로 추정되고 있다.[5]

어쨌든 종영 후 2025년 기준으로 무려 17년의 세월이 흘러버렸고, 당시 제작진들과 배우들도 뿔뿔히 흩어져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 만큼 시즌2 제작은 영원히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열린 결말로 끝나 등장인물들이 어떻게 되는 지는 영원히 알 수 없게 되었다.

4. 등장 인물

5. 여담



[1] 초반 방송이 역대급으로 대한민국이 선전했던 베이징 올림픽과 겹쳐 제대로 묻혔으며, 그 때문에 2주간 통째로 결방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남아공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중계방송으로 인해 2번이나 결방되었다.[2] 드라마 겨울새에서 이미 신들린 사이코 연기로 호평을 받은 윤상현은 크크섬의 비밀에서도 주인공이 바뀐 것 같은 분량을 차지하며 독보적으로 호평을 받았고 이때의 호연으로 내조의 여왕에 캐스팅된다.[3] 사실 작가는 회당 원고료외에는 수익이 없고 시트콤 20분이나 드라마 1시간이나 생각보다 크게 액수가 차이나지 않는 점을 고려해보면 사실상 드라마 작가를 하기 위해 자기 몸값을 낮췄다고 볼수 있다. 150부작짜리 시트콤을 써내는 작가가 받는 원고료는 아무리 드라마와 시트콤의 평균 단가가 다르다해도 총 액수에서 차이가 엄청나게 난다.[4] 뭔가 흑막인듯 싶었지만, 종영되어 처음과 끝에만 나온 카메오 수준이 분량이 되었다.[5] 시청률이 낮아 조기종영된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으나, 일단 당시 mbc측은 연장방영도 조기종영도 없이 초기 계획했던 40편으로 딱 끝내겠다며 선을 그었다. 다만 보통 시트콤이 100화는 넘게 제작됨을 생각하면 정말 40회로 구성됐는지는 의문이다.[6] 영화 '써니'의 친구 중 하나로 등장했다.[7] 배우가 거침없이 하이킥의 해미 역 박해미와 같은 연극/뮤지컬 배우로서 친한 사이이다.[8] 가수 데뷔 때부터 신성우의 실제 별명이다. 일종의 배우 개그.[9] 윤대리는 배에 숨어 같이 탈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