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4:24:24

텔알술탄 공습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36349><colcolor=#FFF> 개요 반응 (이스라엘 지지(유럽), 팔레스타인 지지, 중립 및 지지 미표명) · 경과
주요 전투 레임 전투 · 스데롯 전투 · 지킴 전투 · 수파 전투 · 하지 타워 공습 · 2023년 10월 헤즈볼라 포격 · 가자시티 포위전 · 알시파 병원 포위전 · 칸 유니스 전투
전쟁 범죄 레임 음악축제 학살 · 베에리 학살 · 크파르 아자 학살 · 니르 오즈 학살 · 나할 오즈 학살 · 알샤티 난민촌 공습
이란 관련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2024년 이스라엘 이란 공습
후티 관련 홍해 위기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4년 예멘 공습) · 아스피데스 작전
기타 사건 알아흘리 아랍 병원 폭발 사건
}}}}}}}}} ||
텔알술탄 공습
Tel al-Sultan massacre
תקרית תל א-סולטאן
مجزرة رفح (26 مايو 2024)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라파흐 공세의 일부
기간
2024년 5월 26일
장소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라파흐
교전국 및 교전 세력
하마스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
지휘관
불명 불명
병력
불명 이스라엘 공군
피해
2명 사망 없음
민간인 45명 사망, 200명 부상

[clearfix]

1. 개요

2024년 5월 26일, 이스라엘군라파흐 공세를 하던 중 라파흐 텔알술탄 지역에 가한 공습. 이로 인해 민간인 45명이 사망하고 200명이 부상을 입었다.

2. 전개

5월 26일 밤 이스라엘 전투기가 텔알술탄에 위치한 쿠웨이트 평화 난민촌에 공습을 가했다. 이스라엘은 이후 공습을 통해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하마스 참모총장 야신 라비아와 고위공무원 칼레드 나가르를 살해했다고 발표했고 하마스 또한 인정했다.

3. 반응

3.1.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 공습이 비극적인 실수였다고 발표했다.

3.2. 팔레스타인

하마스팔레스타인 이슬람 투쟁 운동은 이 공습에 대해 학살이라고 칭하며 이스라엘에 강도 높은 비난을 했다.

3.3.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스라엘의 공격에 강도높은 비판을 했다.

3.4. 노르웨이

에스펜 바르트 아이데 노르웨이 외무부장관은 이스라엘 공습이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3.5. 독일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교부장관은 이스라엘이 국제사법재판소의 명령을 따라 공격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3.6. 미국

5월 27일, 미국은 공습에 대한 조사를 마친 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번 공습을 비판하면서 레드라인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익일 미국 정부는 공습이 전방위적 공격이었을 뿐 레드라인을 넘어서진 않았다고 번복했다.

3.7. 벨기에

알렉산더르 더크로 벨기에 총리 공격 이후 평화협상을 맺을 것을 촉구했다.

3.8.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공습에 대해 학살이라며 비판했고 국제 사회의 빠른 개입을 호소했다.

3.9. 아일랜드

아일랜드 부총리가 이 공습이 야만적이라며 비난하며 라파흐 공세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

3.10. 영국

영국 외교부는 이스라엘이 라파흐에 가하는 공세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3.11. 예멘

예멘 정부는 이번 공습을 학살이라며 비판했다.

3.12. 이집트

이집트 정부는 공습을 비난하면서 이스라엘에 지속되는 공격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3.13. 이탈리아

기도 크로세토 국방부장관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대한 공격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고 발표했다.

3.14.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공습을 비난하며 국제사법재판소의 명령을 따를 것을 촉구했다.

3.15. 일본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대신은 라파흐의 인도주의적 상황에 우려를 표했다.

3.16. 칠레

칠레 정부는 이스라엘이 공격을 멈출 것을 촉구했다.

3.17. 카타르

카타르 정부는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인해 휴전 협상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3.18. 콜롬비아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이 이스라엘의 학살이 멈춰야된다고 전했다.

3.19. 튀르키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공화국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공격에 비난을 하며 네타냐후의 야만적인 행태를 멈추기 위해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3.20. 프랑스

프랑스 정치인들은 이 공습을 학살이라고 비판했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휴전협상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