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3:29:24

아르민 알레르토

통르민에서 넘어옴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000> 파일:Armin Arlert.png아르민 알레르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행적 <colbgcolor=#fff,#1f2023>작중 행적
소속 조사병단 · 연합
능력 초대형 거인
인물 인간관계
테마곡 Far away(캐릭터송)
}}}}}}}}} ||
아르민 알레르토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교관
간부 <colbgcolor=#fff,#1f2023> 교관 <colbgcolor=#fff,#1f2023> 남부 키스 샤디스
기타 남부 클로드 뒤발리에
남부 사단 상위 10인
랭크 A 수석 미카사 아커만
2위 라이너 브라운 · 3위 베르톨트 후버 · 4위 애니 레온하트 · 5위 엘런 예거 · 6위 장 키르슈타인 · 7위 마르코 보트
랭크 B 8위 코니 스프링거 · 9위 사샤 브라우스 · 10위 크리스타 렌즈
남부 고정포 정비 4반
소속 훈련병 사샤 브라우스 · 토마스 와그너 · 사무엘 링케-잭슨 · 코니 스프링거 · 미나 캐롤라이나 · 엘런 예거
남부 훈련병단 34조
소속 훈련병 토마스 와그너 · 나크 티아스 · 밀리우스 제름스키 · 미나 캐롤라이나 · 엘런 예거 · 아르민 알레르토
기타 남부 훈련병
소속 훈련병 유미르 · 다즈 · 프록 폴스타 · 한나 디아만트 · 프란츠 케프카 · 산드라 · 고든 · 톰 · 루스 D. 클라인
동부 사단 상위 10인
랭크 ? ?위 히치 도리스 · ?위 마를로 프로이덴베르크 · ?위 보리스 호이르나
}}}}}}}}} ||

[범례] 이름 : 탈영 혹은 전출, 이직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folding [ 1권 ~ 22권 ]
{{{#!wiki style="margin: 0 -1px"
단장
제11대
11대 단장
제12대
키스 샤디스
제13대
엘빈 스미스
제14대
한지 조에
리바이 반
반장 <colbgcolor=#fff,#1f2023>리바이
구 소속 병사 페트라 라르 · 오르오 보자드 · 에르드 진 · 군타 슈르츠 · 엘런 예거
신 소속 병사 엘런 예거 · 미카사 아커만 · 아르민 알레르토 · 크리스타 렌즈 · 사샤 브라우스 · 코니 스프링거 · 장 키르슈타인
클라우스 반
반장 클라우스
소속 병사 마를로 프로이덴베르크 · 프록 폴스타 · 산드라 · 고든
제4 분대 (한지 분대)
분대장 한지 조에
부분대장 모블릿 베이너
소속 병사 케이지 · 니파 · 아벨
제4 분대 (미케 분대)
분대장 미케 자카리아스
소속 병사 게르거 · 나나바
기타 분대
분대장 디타 네스 · 다리우스 · 디르크 · 마를레네
소속 병사 루크 시스 · 유미르 · 베르톨트 후버 · 라이너 브라운 · 일제 랑그너 · 클로드 뒤발리에 · 모제스 브라운 · 페르 · 디터 · 주르겐 · 이반
}}}}}}}}}}}}
[ 23권 ~ 34권 ]
||<-3><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bgcolor=#eee,#010101> 단장 ||
제14대
한지 조에
제15대
아르민 알레르토
리바이 반
반장 <colbgcolor=#fff,#1f2023>리바이
소속 병사 엘런 예거 · 미카사 아커만 · 아르민 알레르토 · 사샤 브라우스 · 코니 스프링거 · 장 키르슈타인
기타 반
반장 장 키르슈타인 · 리마
소속 병사 로보프 · 바리스 · 프록 폴스타 · 루이제 · 다즈 · 사무엘 링케-잭슨 · 홀거 ·
[ 후회없는 선택 ]
||<-2><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bgcolor=#eee,#010101> 단장 ||
제12대
키스 샤디스
플라콘 부대
분대장 <colbgcolor=#fff,#1f2023>플라곤 탈렛
소속 병사 리바이 · 팔런 처치 · 이자벨 매그놀리아 · 사이람
엘빈 부대
분대장 엘빈 스미스
소속 병사
||
시간시나 구 출신 104기 조사병단 일원들
[ 펼치기 · 접기 ]
----
파일:EMA 진격의 거인.jpg
미카사 아커만 엘런 예거 아르민 알레르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Nine Titans Transparency.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 min(1em, 3vw);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초대 시조의 거인
유미르 프리츠
아홉 거인 탄생 이후
<rowcolor=#ffffff> 거인 역대 계승자 최종 계승자
<colbgcolor=#f5f5f5,#2d2f34> 시조 거인 프리츠 왕조레이스 왕조
(프리츠 2~144세칼 프리츠레이스 2~6세레이스 7세우리 레이스프리다 레이스)
그리샤 예거 엘런 예거
타이버 가문 라라 타이버
에르디아 귀족 가문
에르디아 복권파 리더 그리샤 예거
마레 전사
갑옷 거인 마레 전사 라이너 브라운
마레 전사
차력 거인 마레 전사 피크 핑거
마레 전사 유미르
짐승 거인 마레 전사 지크 예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조사병단 <colbgcolor=#fff,#1f2023>한지 조에 · 리바이 · 아르민 알레르토 · 장 키르슈타인 · 미카사 아커만 · 코니 스프링거
마레 전사대 테오 마가트 · 라이너 브라운 · 피크 핑거 · 애니 레온하트 · 가비 브라운 · 팔코 글라이스
의용병 옐레나 · 오니안코폰
조력자 아즈마비토 키요미 · 키스 샤디스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아르민 알레르토
アルミン・アルレルト
Armin Arlert
[1]
파일:아르민 초대형 거인 토벌 작전.png
▲ 850년
파일:Armin Arlert EP78.png
▲ 854년
본명 아르민 알레르토
アルミン・アルレルト | Armin Arlert
이명 시간시나 구의 영웅 (シガンシナ区の英雄)[2]
성별 남성
나이 15세 (850년) → 19세 (854년) → 22세 (857년)
출생 835년 11월 3일
방벽 월 마리아 시간시나 구
신체 163cm (850년) → 168cm (854년)[3]
55kg (850년) → 56kg (854년)
혈액형[4] O형
소속 직책

성우
[[일본|]][[틀:국기|]][[틀:국기|]]
이노우에 마리나[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송하림[6]

[[미국|]][[틀:국기|]][[틀:국기|]]
조시 그렐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정보 더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명 시간시나 구의 영웅 (シガンシナ区の英雄)[7]
초대형 거인 (超大型巨人)
고향 파라디 섬 월 마리아 시간시나 구
거주지 파라디 섬 월 로제 트로스트 구
국적 에르디아국[8] → 연합국
병단 약력 훈련병 847년 ~ 850년
일반 조사병 850년
특별작전반 병사 850년 ~ 854년
조사병단 단장 854년
가족 알레르토
가문
조부모: 아르민의 할아버지
친부: 아르민의 아버지
친모: 아르민의 어머니[9]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평가 및 능력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평가[10] 판단력 두뇌전 협조성 행동력 격투술
A+ 10 10 8 6 2
}}}}}}}}} ||

1. 개요2. 매체별 디자인
2.1. 원작 만화2.2. 애니메이션2.3. 애니메이션 설정화
3. 특징
3.1. 외모
4. 작중 행적5. 인간관계6. 소유 거인7. 어록
7.1. 1부7.2. 2부
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아무것도 버리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바꿀 수 없어.

이사야마 하지메의 만화 《진격의 거인》의 주연 등장인물이자 애니메이션판의 화자.

주인공 엘런 예거미카사 아커만과는 오랫동안 알고 지낸 소꿉친구이다.

2. 매체별 디자인

2.1. 원작 만화

진격의 거인 원작
파일:Armin Arlert Manga 850.png
파일:Armin Arlert Manga 854.png

2.2.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 TVA
파일:Armin Arlert EP02.png

2.3. 애니메이션 설정화

[ 펼치기 · 접기 ]
파일:진격의 거인 아르민, 엘런, 미카사 어렸을 때 이미지.jpg
파일:Armin Arlert.png

TVA Season 1
파일:Armin Arlert Final Season Character Sheet.jpg
파일:Armin Final Season Character Sheet 2.png
파일:아르민 알레르토 파이널 시즌 설정화 이미지 2.jpg
TVA Final Season
애니메이션 설정화

3. 특징

체력 면에서 병사의 기준에 미달하지만,
이론 수업에서 비범한 발상을 보인다고 한다,
본인이 자신의 방향성을 잘 잡으면, 어쩌면···[11].
키스 샤디스, 단행본 4권 18화 中
그는 우리가 가진 커다란 무기 중 하나다.
엘빈 스미스, 월 마리아 최종 탈환 작전

조사병단 최상의 조커이자 와일드 카드. 엘빈 스미스, 한지 조에와 더불어 조사병단 브레인이다.

엘런과는 어릴 적부터 알고 지낸 최고의 베프. 할아버지가 숨겨두었던 책을 통해 벽 바깥 세상을 알고는 신이 나서 엘런에게 거대한 소금 호수불꽃 물, 모래 설원, 얼음 대지 등을 이야기함으로써 엘런이 바깥 세상에 대한 동경을 품게 한 장본인. 아르민 본인도 바깥을 동경하며, 엘런과 함께 바깥 세상을 여행하는 것이 꿈이다.[12] 초대형 거인의 습격으로 고향을 잃은 후 미카사, 엘런과 함께 훈련병단에 지원한다.

훈련병단에서는 신체능력은 그리 뛰어나지 못하여 체력 면에서는 기준 미달이지만 이론 수업에서 비범한 발상을 보인다는 평을 받았다. 실제로 필기 성적은 수석이었고 관찰력 및 추론 능력 등과 지략 면에서 뛰어나 작중 긴박한 상황에서 빠르게 머리를 굴려 여러 가지 정보를 얻어 내고 그것을 조합해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위급한 상황에서 언제나 옳은 답을 찾아낼 수 있는[13] 기민한 상황 판단과 명쾌한 임기응변이 돋보이는 책략가이자 작중 대표적인 두뇌파 중 하나. 자신감이 넘치는 캐릭터는 아니었지만 극이 진행될수록 비상한 두뇌와 통찰력, 그리고 결단력을 발휘하여 유능한 작전참모로서의 역할을 극중에서 충실히 수행해냈다. 월 마리아 탈환 이후 아르민의 참모역할은 더 중요해졌으며 여기에 더해 본인이 전쟁의 판도를 바꿀 전략자산 자체가 되었기 때문에 실무자로서도 어깨가 상당히 무거워졌다. 전개에 따라 본격적인 지휘관으로서도 성장할 수 있는 재능을 갖춘 캐릭터.

내성적인 성격에다 운동신경이 뒤떨어져 늘 소꿉친구들인 엘런과 미카사에게 도움받기만 한다는 점에 내심 열등감을 품고 있었다. 그러나 가슴 속에는 바깥 세상을 향한 동경과 열정을 안고 있으며[14] 실전을 겪으며 동료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조금씩 자신감을 쌓아올리고 있다. 또한 두들겨 맞으면서도 하고싶은 말을 다 하는 등 의외로 다부진 면이 있다.

작중 스토리 전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작가가 엘런, 히스토리아와 함께 스토리에 반드시 필요했기에 만든 캐릭터로 꼽히기도 했다. 엘런, 미카사 두 소꿉친구와 함께 주인공 그룹 EMA 삼인방의 일각인 데다가 두뇌형 캐릭터로서 작중에 숨겨져 있는 떡밥들과 함께 등장하거나 그것을 알아차리고 해결하는 방책을 제시하는 장면들이 자주 나오기 때문이다.[15] 허나 4년이 흐른 진격의 거인 2부 들어서는 원래의 냉철하고 두뇌회전이 빠른 모습은 약해지고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이곤 한다.[16][17]

3.1. 외모

파일:바다르민.gif
왜소한 체격과 금발벽안, 여성스러운 외모가 특징이다. 클로즈업 인터뷰에서 여자로 오해받은 적이 있냐는 말에 "없다면 거짓말"이라는 충격적인 반응을 보였다. 심지어 스스로가 여자 같이 생겼다는 의미를 내포한 말까지 했다.[18][19]

원작자가 감수하는 클로즈업 인터뷰에선 "작은 체구에 선이 가는, 병사라고는 선뜻 믿기 어려운 남자아이"로 묘사되었다. 외관상 상당히 여리고 약하게 생긴 모양. 사실 외관뿐 아니라 실제로도 작중 최약체에 속한다. 진격의 거인 공식 Outside에서 군복을 벗고 셔츠만 입은 모습을 보면 아르민이 얼마나 말랐는지를 알 수 있다.[20] 그러나 초대형거인의 열기에 휩싸여 셔츠가 날아갔을 당시 군인답게 상당한 복근을 자랑한게 아이러니. 물론 사용하면서 필연적으로 전신을 혹사시키게 되는 입체기동장치를 다룰 수 있는 만큼 몸이 좋을 수밖에 없다. 입체기동 훈련을 받은 군인들과 비교해서 허약할 뿐, 일반인들과 비교하면 나름 뛰어난 신체능력을 가졌다 볼 수 있다.
파일:아루밍.webp
다만 2부부터는 투블럭 스타일로 머리를 잘라서 좀 더 남자다워졌으며, 오토코노코 이미지는 사그러진 편이다.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르민 알레르토/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인간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르민 알레르토/인간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소유 거인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Nine Titans Transparency.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 min(1em, 3vw);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초대 시조의 거인
유미르 프리츠
아홉 거인 탄생 이후
<rowcolor=#ffffff> 거인 역대 계승자 최종 계승자
<colbgcolor=#f5f5f5,#2d2f34> 시조 거인 프리츠 왕조레이스 왕조
(프리츠 2~144세칼 프리츠레이스 2~6세레이스 7세우리 레이스프리다 레이스)
그리샤 예거 엘런 예거
타이버 가문 라라 타이버
에르디아 귀족 가문
에르디아 복권파 리더 그리샤 예거
마레 전사
갑옷 거인 마레 전사 라이너 브라운
마레 전사
차력 거인 마레 전사 피크 핑거
마레 전사 유미르
짐승 거인 마레 전사 지크 예거
}}}}}}}}} ||
역대 초대형 거인 계승 소유자 일람
843년 ~ 850년 850년 ~ 854년 854년
베르톨트 후버 아르민 알레르토 소멸
파일:Armin Arlert Colossal Titan.png
초대형 거인

7. 어록

7.1. 1부

벽이 100년간 붕괴되지 않았다고 해서 오늘도 붕괴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는데 말이야…[21]
내가 멋대로, 생각했던 것뿐이야. 멋대로… 나는 무능하고, 발목만 잡는다고. 두 사람은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는데. 이보다 더한 설득력이 어디에 있겠어…. 나에게 목숨을 맡기겠다는 두 사람은… 내가… 이 세상에서 가장, 믿는 사람이다….
나는 이미 인류 부흥을 위해서라면 심장을 바치겠다고 맹세한 병사!! 그 신념을 따른 끝에 목숨을 잃는다면 아쉬울 것 없습니다!! 가 가진 ‘거인의 힘’과 잔존한 병력이 손을 잡는다면 이 도시[22]의 탈환도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인류의 영광을 바라면서!! 이제부터 죽음에 이르는 짧은 시간 동안!! 그의 전술 가치를 설명하겠습니다!!
엘런…. 우리는 언젠가… 바깥 세계를 탐험할 거잖아? 이 벽의 바깥에 있는 저 멀리에는… 불꽃 물과, 얼음 대지, 모래 설원이 펼쳐지고 있어. 잊어버렸나 했지만, 언제부터인가 이 이야기를 꺼내지 않은 건… 나를 조사병단에 보내기 싫어서였지? 엘런…, 대답해 줘. 벽 바깥으로 한 걸음 내딛으면 거기는 지옥 같은 세계인데, 왜 바깥 세계로 나가고 싶어했어?[23][24]
일이 일어난 다음 "이렇게 했어야 했다"고 후회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어. 하지만 누가 미래에 일어날 일을 알 수 있지? 적은 어디에 있지? 어떻게 이길 수 있을까? 몰라. 아무도 모르는거야! 미래는 아무도 모르는데, 선택의 순간은 반드시 와.
아무것도 버리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바꿀 수 없어![25][26]
나는 내 목숨 말고도 무엇을 더 버릴 수 있지?
이번에야말로 날 죽이지 않으면 도박은 지금부터라느니 오기 부리지 못하게 될 거다!
우리는 이제 우릴 먹으려 드는 적과 싸우는 게 아냐. 우리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어쩌면 그저 서 있는 깃발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람을 죽이게 될지도 몰라. 우리는 더 이상 착한 사람이 아니야.
이유는 모르겠지만, 난 바깥 세상에 대해 생각하면 용기가 나.[27]
...버텨. 놓으면 안 돼. 엘런에게 맡기는 거야. 내 꿈, 목숨, 전부... 내가 버릴 수 있는 것은 이것밖에 없어.. 분명 엘런이라면 바다에 도착할 거야.. 바다를..그 눈으로 봐줄 거야!
난 지지 않았어. 아직 도망치지 않았으니까.

7.2. 2부

이게... 네가 본 풍경이구나, 베르톨트.
엘런은 혼자서라도 할 생각이었어. 엘런에게 동조하든, 동조하지 않든, 최악의 선택이 됐겠지. 하지만 할 수밖에 없었어. 어쨌든 수많은 사람을 죽였어. 전함에 군인에 민간인까지 전부 끌어들여... 그날 우리가 당했던 것처럼 갑자기 모든 것을 빼앗았어. 화친의 길은 끊겼지만, 할 수밖에 없었어. 그날의 너희들처럼.
그래서 결국 뭘 하고 싶었던 거야. 미카사를 이렇게 상처입히는 게 가 원한 자유야? 어느 쪽이냐, 쓰레기에게 굴복한 노예는...[28]
몰라! 그리고.. 우리가 뭘 할 수 있겠어!? 한지씨와 병장은 죽었을지도 모르고, 프록 일당은 다음에 우리한테 총을 들이대기 시작할꺼야! 그리고 애니가 돌아왔을지도 몰라! 이미 병단의 지휘계통은 무너졌어! 난장판이라고!! 그래.. 심지어 히스토리아도 위험에 처할지 몰라.. 의용병이나 아즈마비토, 니콜로도 위험해.. 그러니까!! 이제 어쩔 가망이 없는 에렌은 생각할 겨를이 없어!! 그 정도는 알잖아!? 엘빈 단장이 여기에 있었으면.. 이렇게 너한테 소리나 지르진 않았겠지.. 방금 답이 나왔어. 살아남아야 했던 건 내가 아냐.
그리고... 전에도 말했지만, 좋은 사람이라는 말, 난 싫어. 수많은 사람들을 죽였어. 군인이 아닌 사람도... 아이들까지... 그리고 지금... 태어나고 자란 섬의 모두를 배신하는 선택을 하고... 동료를 죽였어... 난 이미 괴물이야.
엘런... 다시 한 번 불편한 질문을 해야겠어. 어딜 봐서 네가 자유인지. 거기서 끌어낸 후에...
그건 해 질 녘, 언덕에 있는 나무를 향해 셋이서... 달리기를 했어요... 말을 꺼낸 엘런이 갑자기 달리기 시작하고... 미카사는 일부러 엘런의 뒤를 걸었죠, 역시 난 꼴찌였고... 하지만 그 날은 바람이 미지근하고, 그냥 달리기만 해도 기분이 좋았어요. 낙엽이 많이 떨어졌죠. 그때 저는 어째서인가 생각했어요. 나는 여기서 셋이서 달리기를 하기 위해서 태어난 게 아닐까 하고. 비오는 날 집안에서 책을 읽을 때도, 다람쥐가 내가 준 나무열매를 먹었을 때도, 다 같이 시장을 걸었을 때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이 아무것도 아닌 순간이, 정말 소중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말 이 지옥을 좋아하는구나, 엘런!? 좋아..! 마지막까지 어울려줄게!!
...엘런, 고마워. 우리를 위해 살육자가 되어줘서... 네 최악의 과오를 절대 헛되이 하지 않겠다고 맹세할게.[29]
이해해... 이 세상에서 사람을 없애버리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라면 나한테도 있어. (엘런: 거짓말 마. 네가 그런 생각을 할 리가...) 아무도 믿지 않겠지. 난 인류 2할을 구한 영웅이니까... 하지만, 엘런에게 바깥 세계에 대한 책을 보여준 건 나야. 아무도 없는 자유로운 세계를 엘런이 꿈꾸게 만든 건 나야.
(중략)
고마워, 엘런. 나에게 벽 바깥을, 이 광경을 보여줘서. 이건 우리 둘이 한 거야. 그러니까, 앞으로는 쭉 함께야... (엘런: 앞으로라니...? 어디서?) 만약 있다면 지옥이겠지. 인류 8할을 죽인 죗값을 치르며 고통받자, 둘이서.
(중략)
다음에 만나면 싸워야겠지? 하지만, 그 다음에 만날 때는... (엘런: 응... 먼저 가서 기다릴게, 지옥에서.) 응..., 쭉...! 함께야! [30]
파라디 섬에르디아인 아르민 알레르토
「진격의 거인」
엘런 예거를 죽인 자입니다.
[31]
애니, 다툼은 사라지지 않아. 하지만... 이렇게 같이 있는 우리를 보면, 다들 알고 싶어질 거야, 우리의 이야기를. 서로 죽이던 자들이 어떻게 파라디 섬에 나타나... 평화를 호소하게 됐는지. 우리가 봤던 이야기, 그 모든 것을 이야기하자.

8. 기타

파일:아르민 페이크 예고편.jpg
* 도라에몽노진구도라에몽의 구도를 통째로 패러디한 18권의 페이크 예고에선 갑자기 나타난 2등신 캐릭터와 동거하게 된다. 문제는 그 캐릭터가 아오오니 거인이라는 것. 더욱이 본편과는 다르게 아르민이 15살이 된 시점에도 이지메를 당한다는 언급이 나온다. 하지만 저 거인이 도라에몽처럼 만능이 아닌 그냥 거인이라 자기를 괴롭히는 애들을 먹어버리는 걸로 이지메를 해결해준다. 마지막엔 경찰의 수사망이 좁혀오자 거인이 스스로를 희생하고 아르민이 울면서 절대 잊지 않을 친구라고 말하면서 끝.

파일:JMS 아르민 알레르토.png
파일:2021.10.산리오 아르민.jpg
* 산리오의 콜라보 일러스트에서 시나모롤과 나왔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Attack on Titan TVA Logo Korean.png
진격의 거인
최종 생존자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연합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리바이 미카사 아커만 아르민 알레르토 장 키르슈타인 코니 스프링거 라이너 브라운
애니 레온하트 피크 핑거 팔코 글라이스 가비 브라운 오니안코폰 옐레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예거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르마 히치 도리스 리코 브레첸스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파라디 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히스토리아 레이스 아르투르 브라우스 리사 브라우스 카야 플레겔 리브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마레 제국 · 히즈루국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즈마비토 키요미 니콜로 카리나 브라운 레온하트 씨 뮬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지의 악마 }}}}}}}}}



[1] アルレルト를 로마자로 표기 또한 Arlert이므로 한글로는 '알레르트' 혹은 '아를레르트'가 되어야 맞는다. 일본어의 외래어 표기 방식에 대해 잘 모르면 어려운 문제기는 하다.[2] 원작 110화에서 다리스 작클레가 미카사와 아르민을 부른 이명이다.[3] 코니의 급성장으로 인해 104기 출신 조사병단 단원들 중에서 최단신이 되었다.[4] 작가가 언급. 공식적으로 혈액형이 언급된 캐릭터는 엘런 예거, 미카사 아커만, 아르민 알레르토, 리바이.[5] 본작의 나레이션을 겸하고 있다.[6] 카를라 예거의 목소리도 맡았다.[7] 원작 110화에서 다리스 작클레가 미카사와 아르민을 부른다.[8] 한지 조에가 작중에서 에르디아 제국이 아니라 에르디아국이라 정정했다.[9] 작중 시점에서는 모두 고인이다.[10] 두뇌파답게 두뇌전과 판단력이 10으로 만점. 협조성도 매우 높고 행동력도 좋지만 격투술은 최악인 2(...). 병사로서 최악의 전투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종합평가가 라이너 브라운과 같은 A+라는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 훈련병단에서는 최전선의 병사가 아니라 적성에 맞게 병단 사령부에서 참모 등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두고 이런 높은 평가를 내렸을 듯하다. 그리고 이것은 사실이 되었다.[11] 훗날 실제로 단장 직위를 물려받았다.[12] 월 마리아 최종 탈환 작전 하루 전, 꼭 성공해 바다를 보러 가자며 전의를 불태우는 장면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바람은 이뤄졌다.[13] 엘런이 직접 언급한 아르민의 최대 장점. 미카사는 이를 두고 '아르민은 정답을 이끄는 힘이 있다'고 표현했다. 실제로 아르민의 판단은 거의 정확해서 동기들은 물론 상관들까지도 모두 그의 판단력에 의지하고 있으며, 특히 엘런과 미카사는 시간시나 구 함락 당시 한네스에게 도움을 요청한 아르민 덕에 목숨을 건진 적도 있는 만큼 어느 누구보다도 아르민의 판단력을 절대적으로 신뢰하고 의지한다.[14] 바로 이 점이 엘런 스스로도 인정한 아르민이 엘런보다 나은 부분이다. 싸움과 증오와 복수밖에 몰랐던 엘런 자신보다 아르민은 훨씬 더 커다란 가치-바깥 세상의 아름다움을 보겠다는 의지 내지는 벽 밖으로 나가 그것을 볼 자유-를 추구하고 있었다는 것. 아르민이 추구하는 이 가치는 작품의 본 주제와도 일맥상통한다.[15] 애니메이션에서는 작중 눈에 띄는 전개나 설정을 설명하는 나레이션 역할도 맡았다.[16] 다만 2부들어 파라디 섬의 정세가 매우 급박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1부에서도 아르민은 월 마리아 최종 탈환 작전에서 조사병단들이 몰살당할 위기에 처하자 멘붕에 빠져 판단력을 잃자 잠시 지휘를 쟝에게 일임한 적이 있다. 112화에서 엘런이 했던 말을 근거로 아르민이 베르톨트에게 정신이 먹히고 있는 것 아니냐고 오해하는 독자도 있는데, 계승된 기억은 생각에 영향을 줄 수는 있어도 근본적인 인격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17] 아르민의 날카로운 묘수는 총체적 지휘를 맡아주고 있는 사람이 존재할 때 그를 보조하는 역할에서 나온 경우가 많다. 최초의 묘수인 엘런 예거를 이용한 문 막기와 거인의 구조를 이용해 칼을 찔러 깨우는 방법부터가 당연히 남부 주둔병단 총사령관 도트 픽시스가 전군의 지휘, 해당 반의 지휘를 장 키르슈타인이 맡은 상태에서 나온 것이다. 이후에는 항상 조사병단 단장 엘빈 스미스가 총체적 지휘를 맡고 있는 상태이거나 본인이 특정 반을 이끄는 상황이었다면 임시로 장 키르슈타인에게 지휘를 넘긴 뒤 묘수를 짜낸다. 엘빈 스미스 사후에는 사실상 아르민 판박이인 한지 조에가 이런 부분을 담당해주기 힘겨워하기 때문에, 즉 이전 사령관들과 마찬가지로 고려할 것들이 너무 많아져서 번뜩이는 노림수를 내지 못하는 것이다.[18] 53화에서 크리스타 렌즈로 변장을 한 채 괴한들에게 납치당한 후 납치범들에게 성추행까지 당함으로써 진격의 거인의 캐릭터로서는 최초이자 최후로 여장, 성추행, 성희롱의 삼관왕을 달성했다. 또한 아르민이 크리스타로 변장하는 것은 리바이의 지시였다고 저자가 밝혔다. 아르민을 납치한 변태가 아르민이 남자인 것을 알자 자기는 보통 사람이었는데 너 때문에 난처해졌으니 책임지라고 하는 것을 보면 여장이 지나치게 잘 먹혔던 모양이다.[19] 진격! 거인 중학교 11화에서도 아르민이 무려 바니걸로 분장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남학생들이 열광(...)을 한다.[20] 이를 반영해서인지 1부에서 베르톨트와 마지막으로 마주했을 때의 모습도 뼈만 앙상하게 드러나는 빼빼 마른 모습이다.[21] 이 말이 끝나기 무섭게 초대형 거인이 나타나 시간시나 구의 벽을 부숴버린다. 100년의 평화가 깨진 것이다.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22] 함락당한 트로스트 구를 의미한다.[23] 엘런은 이에,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이다."라고 답한다. 그의 자유주의 사상을 잘 보여주는 대사.[24] 트로스트 구 탈환 작전 와중에 거인화 제어에 실패해 잠에 빠져든 엘런을 깨우고자 한 질문. 그 전까지 움직이지 않았던 엘런은 이 말을 듣고 마침내 깨어난다.[25] 아르민의 좌우명 같은 것으로, 작중에서 여러 번 나온다.[26] 여성형 거인 포획작전에서 엘빈의 전략에 대해 쟝과 얘기 나눌 때 이것을 처음 말한다. 이후 스토헤스 구 급습 작전에서 거인화하지 못하고 있는 엘런한테도 같은 말을 한다. 엘런 탈환작전에서도 이를 떠올리고 '나는 내 목숨 말고도 무엇을 더 버릴 수 있지?'라고 생각하고 난 뒤 애니가 고문당하고 있다는 거짓말로 베르톨트를 자극해서 빈틈을 만들고 엘런을 구출하는 데 성공한다. 엘런을 구하기 위해 약간의 정직함과 인간성을 버린 것이다.[27] 73화에서 엘런이 했던 말의 어레인지. 다만 차이가 있다면 엘런의 말은 되찾은 자신감을 의미하지만, 아르민의 경우는 자신의 목숨을 희생할 각오를 의미한다.[28] 애니메이션 최종장에서 엘런이 간접적으로 아르민의 이 말을 인용한다.[29] 좌표로 구현된 땅울림으로 폐허가 된 피바다 풍경에서 바다를 보여준 엘런을 향한 감사함과 희망을 상징하는 멀쩡한 소라 고동을 엘런에게 보여주며 한 대사다. 엘런의 학살이 잘못되었지만 영원한 친구로서의 작별인사라고 할 수 있다.[30] 애니메이션에서 바뀐 대사.[31] 이때 입체기동장치를 풀며 자신들의 정체를 의심하는 마레병들에게 다가가는데, 이는 이야기의 극초반부에서 거인화를 할 수 있는 엘런이 인류의 적임을 킷츠 벨만이 의심하자 그를 처형하기 직전 입체기동장치를 풀며 병단에게 나아가 엘런의 전술가치를 증명했을 때와 오버랩된다.[32] 2015년 2월호 일문일답 참조[33] 단, 작중의 전개와 어느 정도 괴리가 있던 표지는 10권까지. 단행본 11권 표지는 다시 작중 내용과 똑같다인 줄 알았는데 12권부터 또다시 내용이 달라지고 있다.[34] 이때 차력의 대거인포를 뇌창으로 파괴하는 활약도 보여줬다.[35] Final Season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키시 토모히로가 작중에서 아르민이 가장 그리기 쉽다고 한 바가 있다.[36] 나머지 한 명은 베르톨트 후버다.[37] 실패하고 돌아가셨다고만 언급된다. 본편에서 밝혀지길, 제르 사네스한테 살해당한 거였다.[38] Lost Girls 미카사편 자체가 트로스트 구 침략 당시 미카사가 기절한 상태에서의 꿈 이야기라 확실치는 않고 원작에서는 846년에 월마리아 탈환 작전에서 돌아가셨다고 한다.[39] 그러나 애니에서는 월마리아 탈환 작전에서는 참여하지 않고 그 전에 바깥 세상에 나가려다 돌아가셨다고 한다.[40] 그러나 이것은 국내 한정으로 해외에서는 꽤나 메이저한 편에 속하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