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Trigger Warning트라우마, PTSD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배려하여 트라우마를 자극할 수 있는 소재를 내포함을 알리는 일종의 경고 표시.
2. 트리거란?
영어를 직역하면 방아쇠라는 뜻으로, 특정 개인에게 안 좋은 경험을 상기시켜 우울, 자존감 하락, 트라우마 증상 등을 유발하는 소재, 빌미를 의미한다.대표적인 트리거로는 가정폭력, 학교폭력, 아동 학대, 낙태, 왕따, 강간, 성범죄, 전쟁, 인종 차별, 살인, 자살 등이 있다. 트리거의 범위는 아주 넓어서 가령 땅콩 알레르기 환자에겐 땅콩버터가 트리거가 될 수 있고, 어렸을때 까마귀에게 조인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는 까마귀가 트리거일 수도 있다. 한국의 속된 말로 치환하자면 트리거는 일종의 기억폭력 혹은 '기억폭력을 일으키는 주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는 일반적으로 행복하다 여겨지는 생일과 같은 기념일에도 사람에 따라 그 날 안좋은 일을 겪었다면 트리거가 될 수도 있다.
다만 '트리거 워닝'에서 적용되는 트리거들은 위에서 설명한 예시와 같은 까마귀 같은 특정 개인만 가질 수 있는 개인적인 트리거 보다는 잔혹한 일, 폭력 등 보편적으로 가진 사람이 많은 트리거에 국한된다.[1] 영어권에서도 이를 의식한 것인지 2010년대 후반부터 보편적인 트리거 워닝은 (특히 창작물 등에서) 컨텐츠 워닝(Content Warning)이란 단어로 대체되고 있다.
3. 일반적 의미
Trigger Warning. 이 게시글에는 트라우마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학교폭력, 가정폭력, 자살 등)
보통은 유튜브 영상의 시작 부분이나 웹툰의 상단, 일반인의 게시물 등 매체물에 적힌 경고문을 의미한다.해외 영화, TV쇼, 드라마 등의 트리거 워닝을 모아 놓은 사이트가 있다. 꽤나 세세해서 위에서 예시를 든 폭력, 자살, 학대 등의 트리거뿐만 아니라 사이트 이름처럼 '개가 죽는가?', '광대가 나오는가?', '산타가 없다는 내용이 나오는가?', '흑인이 먼저 죽는가?' 등을 알 수 있게 해 놓았다. 당연히 그로 인해 스포일러를 당할 수 있지만, 심한 공포증이 있거나 묘사에 대해 불편한 점이 있다면 이용해 보자.[2]
4. 미국
원조는 미국이다. 성별, 성적 지향, 외모, 인종, 종교 때문에 차별받은 트라우마가 있는 사람들이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것이다.예를 들면 미국의 일부 극장 등지에서는 영화 티켓을 구매하기 전에 해당 영화에 트리거가 눌릴 만한 장면이 나오는지 물어보고 해당 영화를 안 볼 수 있다고 한다. 다만 보통 잔혹행위, 폭력, 성폭력을 연상시키는 장면에만 한정된다.
동인 게임을 영어로 번역할 때 트리거 워닝을 매우 상세하게 적는다. 예를 들어 한국/일본 등지에선 단순히 폭력적인 묘사가 있다고만 하거나 자잘한 내용을 아예 생략하는 경우가 많아 게임 홈페이지에도 관련 언급이 잘 없지만 영어권은 해당 요소의 내용, 정도, 특정 신체 부위와의 관련 유무까지 모두 알려 준다. 심지어 스포일러가 되는 내용까지 가감없이 적으며 스포당하는 것보다 트리거를 피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우선시하기 때문에 이를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위에 링크된 사이트의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공식 매체이건 비공식 매체이건 따지지 않고 웹사이트나 앱에서도 작품 설명란에 트리거 워닝을 밝힌다. 예를 들어, 미국의 공식 웹툰 사이트 WEBTOON(구 라인 웹툰)은 후술할 욘더보다는 자세하지 않긴 해도 한국 웹툰이 영어로 번역될 때 원작과는 다르게 트리거가 있는 화에 경고[3]가 있다. 공식 웹소설 앱 욘더에서도 한국 웹소설이 영어로 번역될 때 원작과는 달리 트리거 워닝[4]을 밝히는데 웹툰과는 달리 상세하게 나온다. 비공식 매체 사이트인 Archive of Our Own(AO3)은 '폭력 요소 여부'란에 트리거 워닝 요소를 밝힐 수 있다.
5. 비판
트리거 워닝 자체가 오히려 트라우마를 불러올 수 있다.# 해당 기사에서는 하버드대에서 연구한 결과를 근거로 노시보 효과에 대해 설명했다. 사람은 '나는 어떤 사람이다'라고 스스로를 정의하는 것 또한 삶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능력 수준이 비슷해도 자신은 무능력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노력을 덜 하거나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해당 기사에서는노시보 효과의 예를 들어서 해당 컨텐츠의 내용이 정신적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경고가 되려 트라우마를 촉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특정 자극을 받아 정신적인 충격을 받을 확률이 지나치게 높게 평가되고, 그 결과 실제로 더 쉽게 큰 충격을 받는 자기예언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혹자는 트라우마를 지닌 사회적 소수자 등 때문에 대중이 매체를 자유롭게 열람하는 것을 방해받는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표현의 자유에 어긋난다고 비판하고 있다. 제공하는 측이 일일히 "트리거"가 될 만한 요소들을 찾아내야 하고 사전에 고지해야 하는 수고를 들이게 하며 그로 인한 제공자 측의 피로와 트라우마가 없는 일반 수요자 측에게 간접적으로 해당 매체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점을 지적한다.
미국의 UC 산타바바라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수업을 듣기 전 트리거 워닝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해당 수업을 건너뛸 수 있다. 헌데 학문 특성 상 각종 상처나 죽음 등과 연관이 깊은 의학이나 법학 관련 대학은 입장이 곤란해지므로 이런 학과에서는 "강의를 진행하지 말란 소리냐."는 반응도 존재한다. 그래서 트리거 워닝에 찬성하는 활동가들조차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은 우려한다.
선술했듯이 트리거 워닝의 범위는 복숭아, 땅콩버터[5] 등과 같이 광범위하여 문제가 되기도 한다. 심지어 듀나의 영화 게시판에서는 "귀여운 아기 사진이라도 올리면 안 된다."는 황당한 여론이 나타났다. 유산을 경험한 한 여성이 아기 사진을 볼 때마다 고통스럽다고 호소하는 글을 올렸고, 이에 동조하는 회원들이 "아기를 갖고 싶어도 갖지 못하는 불임 부부나 유산/사산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배려해야 한다'며 사진을 올리는 사람들을 공격했는데 '그럼 길거리는 어떻게 다니냐', '이건 과도한 것 아닌가?' 라는 반론과 함께 정치적 올바름과 관련된 논쟁이 있었다. 결국 아기 사진을 올리되 아기 사진이 있다고 경고를 하는 것으로 암묵적으로 합의되었으나 큰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5.1. 인터넷 밈
자세한 내용은 Triggered 문서 참고하십시오.6. 대한민국에서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사람들은 한동안 타이타닉, '침몰', '가라앉다' 등의 언급을 피했는데 피해자들은 물론 전국민에게 트리거였기 때문이다. 이 사건이 당시 한국 사회에 남긴 충격이 어찌나 컸는지 사고 3주 후 전문가들은 '1997년 외환 위기 때와도 같은 상흔을 남길 것이며, 충격의 수준은 6.25 전쟁이 남긴 것에 맞먹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당시 기사사회학자 오찬호가 학부 강의 중에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참사를 비판하면서 해당 사고 소식을 보도하는 뉴스 영상을 틀었는데 그 영상에 한 학생의 트리거가 눌렸다고 한다. 다름이 아니라 사고 희생자의 친누나가 그 강의실에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해당 학생은 수강포기를 했다고 한다. 오찬호가 해당 사고 유가족이 자신의 강의를 수강한다는 사실을 미처 알지 못했으니 참작의 여지는 있지만 그 학생에게 사과하는 마음을 담아 집필한 책이 바로 《그 남자는 왜 이상해졌을까?》 라고 한다. 책의 4분의 1이 군대 문화에 대한 비판이다.
2020년대 들어 한국 트위터 동인계에서도 자체적으로 트리거 워닝 표를 제작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7. 관련 문서
[1] 당연하게도 한 개개인이 가질 수 있는 트리거를 모두 경고해야한다면 전세계 모든 사람들의 트리거를 전부다 나열해야하는데, 그 정도면 그냥 이 세상에 트리거가 아닌게 없을 정도.[2] 사이트에는 트리거 등장 유무로 작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일부 트리거(가정폭력, 자해, 자살, 아동 학대, 성폭력, 미성년자 캐릭터 성적 대상화 등)는 트리거가 있는 작품만 찾아서 볼 수 없게끔 검색이 제한되어 있다. 이렇게 검열된 항목은 보통 긴급 지원센터의 전화번호가 적혀 있다. 다만 미성년자 캐릭터를 성적 대상화하는 작품들은 전화번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검열되어 있다.[3] 노예시장과 관련된 화이다.[4] more를 누르면 나온다. 줄거리 뒤에 있는 WARNING 부분이 트리거 워닝을 밝히는 것이다.[5] 알레르기 유발성 물질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