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19:12:02

포켓몬스터 알타이르·시리우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켓몬스터/2차 창작
1. 개요2. 스토리3. 특징4. 포켓몬5. 등장인물6. 후속작
6.1. 베가6.2. 프로키온·데네브
7. 여담

[clearfix]

1. 개요

공식 홈페이지
일판 다운로드[1]
영문 위키
영문 위키(베가)
영문 위키(프로키온·데네브)

일본에서 제작된 포켓몬스터 에메랄드개조 롬.

후속작으로 스토리가 이어지는 포켓몬스터 베가가 있고, 또 다시 그 후속작으로 프로키온·데네브가 있다.
알타이르 오프닝 시리우스 오프닝
게임 영상

2. 스토리

전체적인 스토리는 에메랄드와 같지만 몇몇 충격적인 설정들이 있다.

시작부터 충격적인데 3년 전 갑작스레 운석 3개[2]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호연지방이 황폐화되었으며 아공이·플러시·마이농 등의 기존 포켓몬이 멸종되었다. 그 일로부터 3년 후 호연지방 사람들은 재건을 위해 힘 쓰고 있고 주인공이 재건 중인 호연지방에 오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악의 조직은 블랙홀단과 화이트홀단으로, 본작의 원흉인 운석 3개의 정체인 오리지널 전설의 포켓몬 3인방 중 하나인 네메아(ネメア)[3] 때문에 심연을 보고 미쳐버린 성호윤진이 결성한 조직이다.

3. 특징

파일:external/www40.atwiki.jp/?plugin=ref&page=%E3%83%88%E3%83%83%E3%83%97%E3%83%9A%E3%83%BC%E3%82%B8&file=altair.png
스타팅 포켓몬의 이미지.

그야말로 3세대(RSE)의 후속작이라고 착각할 정도로 무서운 장인정신을 보여준 개조 롬으로, 도입부에 언급된 3년 전의 운석 낙하로 호연지방의 대부분의 포켓몬이 멸종하고 신종 포켓몬이 출몰했다는 설정이기에 신종 포켓몬은 그야말로 장인 수준의 도트 노가다가 담겨져 있다.

다만 신종 포켓몬 중에서는 디지몬도 아니고 데리퍼 또는 전수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괴악한 센스를 자랑하는 포켓몬들이 많은데, 위 이미지에 나온 스타팅 포켓몬 역시 풀 계열 포켓몬 빼고는 괴악한 센스를 보여준다. 설정도 한 막장해서, 오르디나(オルディナ)[4]라는 환상의 포켓몬은 황금마을의 여자아이를 납치해 산 채로 개조해서 포켓몬으로 만들어버렸다는 끔찍한 설정을 가지고 있다. 후속작에서도 인간으로 돌아오지 못한다. 그나마 염원으로 친밀도 진화를 일으켜 오르마리아(オルマリア)라는 형태라도 인간에게 가까워진 게 위안.

배틀 프런티어에 대응하는 장소로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의 배경인 알토 마레가 등장한다. 심지어 체육관도 있어서 체육관전도 가능.

4. 포켓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스터 알타이르·시리우스/포켓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스터 알타이르·시리우스/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후속작

6.1. 베가

베가 오프닝
파이어레드의 기반의 개조 롬이며, 전작 알타이르·시리우스의 주인공이 도호쿠 지방에 와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2011년 일어판, 2015년 영어판이 출시되었다.

알타이르·시리우스는 기존 RSE를 약간 바꾼 개조 롬에 불과하지만 후속작인 베가 버전은 맵을 완전히 뜯어고치고 사천왕 2회차, 체육관 관장 3회차, 심지어 도감 올 클리어 이후의 스토리까지 있는 무지막지한 볼륨을 자랑한다. 386종의 포켓몬 중 181종이 오리지널이고, 새로운 기술도 80개나 추가되었다.

타입별로 물리·특수가 구분되는 3세대 롬을 베이스로 삼는 버전인데, 제작자가 무시무시한 장인정신을 보여준 탓에, 베가부터는 아예 시스템 자체를 뜯어고쳐서 4세대처럼 기술마다 물리·특수가 구분된다.[5] 참고로 지금은 물리·특수 패치가 쉬워졌지만 2011년 당시에는 최초였다. 기존 기술들의 위력·PP·부가효과 등은 5세대 베이스이며[6], 오리지널 기술도 몇 개 추가되었다. 그런데 이 새로 추가된 기술들이 상당히 사기적이라 할 정도로 강하다.

한편 난이도는 막장의 끝을 달린다.
팁이 있다면 네임드 트레이너의 아이템 배치는 대체로 느슨하기 때문에 레벨을 70대 초반까지 잘 쌓으면 30시간대에 1회차를 볼 수 있다. 2회차부터는 전포를 이용해 딜을 내면서 유틸기를 적절히 쓰면 터너전까지 클리어할 수 있다. 100% 엔딩까지는 보통 160시간 정도 걸린다. 난구간으로는 2번째 관장, 7번째 관장(필드), 사이버 뮤츠, 1회차 엔딩, 터너 최종전 정도가 꼽힌다.

====# 본가 포켓몬의 진화 #====
다양한 본가 포켓몬들에 창작 진화체가 추가되었고, 몇몇 포켓몬들의 진화 매커니즘이 바뀌었다. 막장스런 난이도를 반영해 전반적으로 새로운 진화형들은 상당히 강력한 편.[14] 본가 포켓몬 문서의 템플릿에 따라 종족치에 볼드 표기를 한다.

6.2. 프로키온·데네브

프로키온·데네브 오프닝
전작과 다른 새로운 주인공이 주고쿠[20]시코쿠 지방을 모티브로 한 세토구니 지방을 배경으로 모험하는 이야기이다.

베이스 롬은 베가와 마찬가지로 파이어레드. 2012년 8월 11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춰 있었으나 2015년부터 가끔씩 개조 소식이 올라오고 있다.(참고) 2018년 1월 30일에 패치가 갱신되었으며 그 이후로 버그 수정을 위주로 계속 갱신되고 있다.[21] 2020년 3월 31일에 소식이 있는 걸 봐선 개발은 계속 되고 있는 듯하나 제작자가 격무에 시달리는 관계로 업데이트 속도는 매우 느리다. 지금 개발 중인지는 미지수지만 한 익명의 유저가 2022년에도 아직 만드는 중이라는 소문을 알렸다. 빠르면 2024년 중~후반 느려도 2025년에 최종 버전이 나올 걸로 보인다. 그리고 2024년 4월 4일에 개발자 관리자 링크에서 프로키온의 패치가 나왔지만 비밀번호로 되어있다. 아마도 거의 완성된 듯 보인다.(참고)[22]

기술머신 여러 번 사용 가능, 도구 등록 여러 개 가능 등 편리성을 대폭 개선했다. R 버튼을 누르면 HGSS처럼 러닝슈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감에서 야생 포켓몬이 지니고 있는 도구와 알그룹이 열람 가능하며, 포케탭(ポケタブ)으로 지금 있는 도로에서 서식하는 포켓몬을 보는 것도 가능하다.

베가보다는 덜하지만 이쪽도 한 난이도 한다. 무려 첫번째 체육관부터 리플렉터+날씨팟을 쓴다. 다행히 날씨는 6세대 이후 사양. 파티를 잘 갖추지 않으면 계속 털린다. 특히 세번째 체육관은 한 술 더 떠 너무 어려워서 거의 베가의 두번째 체육관 수준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아직은 공개되지 않은 울음소리가 존재했다.(참고) 그리고 앤티골, 아이앤트의 진화체, 불카모스도 나올 것으로 추정된다.

또 버전마다 등장 포켓몬 외에도 기술머신, 체육관 관장, 지형, 그리고 집단[23] 등이 다르다. 그리고 페어리 타입이 추가되었다.

7. 여담


[1] 원래는 프록시 서버 등의 IP 우회를 이용하거나, 유튜브 등지에 널린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구해야 했으나 현재는 그냥 접속이 가능해졌다. 영미권의 Moemon project에서 Patreon으로 후원자를 모집하는 것으로 인해 일본측의 모에몬과 분란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트러블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배포를 중단했었다가 2023년 4월 쯤에 다시 공개를 진행하고 있다. 제작자의 트위터에 이에 대한 언급이 있었는데 다시 공개를 할 생각은 있었는데 바빠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 외에 베가 버전의 영문판 버전은 패치 파일로 다른 곳에서 따로 배포되고 있다.[2] 이 작품의 타이틀 전설의 포켓몬들이 이 운석들을 타고 왔다.[3] 나머지 두 마리는 라이라프스(ライラプス), 가니메데(ガニメデ)가 있다.[4] 단일 고스트 타입, 부유 특성.[5] 기술 설명 제일 앞에 물리기술이면 ぶつり, 특수기면 とくしゅ라는 단어가 붙어 있다. 영문판에서도 Physical, Special로 분리해 놓았다.[6] 역린의 위력·PP가 120/10으로 조정되었다.[7] 후술할 사랑동이의 진화체다.[8] 본작에서 창작된 에스퍼 타입 펀치 기술이다.[9] 상술했듯이 베가에선 물리와 특수가 기술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3세대 당시의 홍수몬이 아니다. 플러스 버전에서는 니드킹으로 교체되었다.[10] 원래는 격투 체육관인데 뮤츠에게 체육관을 빼앗겼다. 엔딩을 보면 근처 동굴에서 만날 수 있고, 승리하면 트라우마가 생겼는지 체육관에는 조금 더 강해진 후 돌아오겠다고 말한다.[11] 플러스 버전에서는 이미 이 시점부터 일반 트레이너의 레벨이 100 내외에 네임드 트레이너는 기본 120 레벨 이상으로 단단히 무장했다.[12] 플러스 버전은 1530.[13] 아스피아 알타이르 & 시리우스 폼 포함.[14] 본가에서 비전설, 비환상, 비600족에, 특성으로 인한 제약 없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일반 포켓몬 중 가장 종족값이 높은 것은 555를 기록한 윈디다. 알타이르·시리우스·베가의 추가 진화체들 중에는 이 수치를 넘어서는 경우가 꽤 된다.[15] 피카츄부터가 피츄의 친밀도 진화다보니, 피츄 때부터 키우면 피카츄 진화 후 1레벨만 더 올리면 바로 진화한다.[16] 베가 버전의 영향을 많이 받은 포켓몬스터 블랙스에도 고리츄가 등장한다. 저쪽에서는 종족값이 무려 690으로 초전설에 필적 내지 능가하는 엄청나게 강한 포켓몬이 되었다. 특히 특수내구가 크게 올라갔다.[17] 플러스 버전은 페어리 타입이 업데이트되어 강철·페어리가 되었다.[18] 참고로 암컷 킬리아도 이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엘레이드로 진화한다. 엘레이드는 100% 수컷이기 때문에 진화하면 성전환하는 셈. 이후 플러스 버전에서는 각성의 돌이 구현되었다.[19] 실도르는 베가에서 업데이트되었으며, 알타이르·시리우스에서는 진화시킬 수 없다.[20] 오카야마는 후에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제로의 비보에서 등장했다.[21] 마지막 패치는 2018년 4월 1일.[22] 버전은 2018년 버전과 동일하지만 베가도 2016년 버전(2015년 버전과 동일)에 공개 후 2년 뒤에 2018년에 나온 걸 보면 충분이 2025년에서 2026년 안에는 나올 가능성이 있다.[23] 프로키온은 코스모단, 데네브는 스텔라단.[24] 포켓몬과 트레이너의 이름이 일본판의 5자 제한에 걸리는 것 등이 있다.[25] 레벨 한계가 100을 넘어가게 되었다.[26] 예시로 긴노의 경우 지나(Gina)에서 실비아(Sylvia)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