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0:31

탑블레이드(애니메이션 1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탑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
,
,
,
,
,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시리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탑블레이드 시리즈
탑블레이드 (2001)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탑블레이드 V (2002)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팽이대전 G블레이드 (2003)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G 레볼루션
탑블레이드 더 무비 (2002)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THE MOVIE 격투!! 타카오VS다이치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메탈 베이블레이드 (2009)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메탈 베이블레이드 2 (2010)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폭
극장판 메탈 베이블레이드 VS 태양
작열의 침략자 솔블레이즈 (2010)
극장판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VS 태양 작열의 침략자 솔블레이즈
메탈 베이블레이드 제로G (2012)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G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2016)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2017)
극장판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갓 발키리의 탄생 (2017)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 (2018)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가치 (2019)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 (2020)
{{{#!wiki style="margin: -16px -11px;"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 (2021)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쿼드 스트라이크 (2023) }}}
베이블레이드X 시리즈
{{{#!wiki style="margin: -16px -11px;" 베이블레이드X 1장 (2023) 베이블레이드X 2장 (2024) }}}
기타 작품
베이휠즈 (2012) 베이레이더즈 (2014) 베이워리어즈 사이보그 (2014)
주인공 · 라이벌 · 히로인 · 최종보스 }}}}}}}}}

탑블레이드 (2001)
爆転シュートベイブレード
Beyblade
파일:bakuten_s1.jpg
{{{#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148ef1><colcolor=#fff> 장르 <colbgcolor=#ffffff,#2d2f34><colcolor=#373a3c,#dddddd>액션, 소년만화
원작 아오키 타카오(青木たかお)
원안
캐릭터 원안 미즈노 쇼지(水野祥司)
아오키 타카오
감독 카와세 토시후미
애니메이션 감독 심상일
시리즈 구성 우치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이은미
캐릭터 디자인 우메하라 타카히로(梅原隆弘)
박기덕
메카닉 디자인 야마다 타카히로(やまだたかひろ)
미술 감독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임용일
색채 설계 코다마 나오코(児玉尚子)
촬영 감독 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
이석범
편집 세야마 타케시(瀬山武司)
음향 감독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음악 히라노 요시히사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애니메이션 제작협력 스튜디오 매트릭스(スタジオマトリックス)
서울애니메이션
디알무비
제작 테레비 도쿄
요미우리 광고사
d-rights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01.01.08. - 2001.12.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10.09. ~ 2002.04.0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월) 18: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BS, 투니버스, 재능TV
국내 정식 발매 에스씨엠 (VHS, DVD)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51화
국내 심의 등급 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모든 연령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ADK 이모션즈)
}}}}}}}}}}}} ||

1. 개요2. 특징
2.1. 한일 합작
3. 등장인물4. 주제가
4.1. 일본판 오프닝 - Fighting Spirits ~Song for Beyblade~4.2. 일본판 엔딩 - Cheer Song4.3. 한국판 오프닝 - 고! 고! 탑블레이드4.4. 한국판 엔딩4.5. 영문판 오프닝 & 엔딩 - Let's Beyblade! 4.6. 홍콩판 오프닝 - 폭렬선풍
5. 회차 목록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7. DVD / 비디오8. 기타

[clearfix]

1. 개요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최초의 TV 애니메이션이자, 폭전슛 베이블레이드의 애니메이션 첫 번째 시리즈로, 이후의 애니 시리즈와는 작화가 많이 구별되면서, 동시에 원작 코믹스 작화에 가장 가까운 시리즈이기도 하다.

2. 특징

탑블레이드를 매우 좋아하지만 평범한 소년인 강민이 탑블레이드 세계대회 우승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연을 가지게 되며 성장하는 과정이 주 스토리.

판타지적 요소와 파워 인플레, 등장인물간 비중 불균등 현상이 심해지는 후속 시리즈에 비해 밸런스가 훨씬 잘 잡혀있고, 선을 지켰으며 특히 등장인물간 비중분배가 정말 환상적인 균형 감각을 보여준다. 완구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소년 만화 전체를 통틀어도 이정도로 비중분배 잘 된 애니메이션은 별로 없었다.

메인 주인공은 강민이지만 중국편에선 레이, 미국편에선 맥스, 러시아편에선 카이에게 확실한 포커스가 주어져 그들의 성장과 활약이 스토리 전개의 핵심으로 다뤄지며[1] 특히 중국편과 미국편에선 아예 강민이 뒤로 물러서고 레이와 맥스가 마지막 대결에 나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2] 스토리상 메인이 아니라고 공기가 되지도 않는다. 예선부터 결승까지 가면서 조언을 하든, 대결을 하든 어떤 식으로든 존재감을 어필한다.

이건 상대팀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서 비중 차이는 있으나 이른바 '공기'가 되는 캐릭터는 없다. 소수민족 출신으로 레이와 애증으로 얽힌 중국팀, 스포츠 컨셉에 철저하게 고도의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대전을 추구하는 미국팀, 개인주의적 성향에 귀족티가 물씬 나는 유럽팀, 기괴한 성수와 그와 일치하는 외모를 가진 괴물팀, 혹한의 환경에서 길러져 세계정복이란 알기 쉬운 목표를 가진 최종보스 러시아팀까지 각 팀의 개성과 콘셉트도 확실하게 잡혀있다.

대다수 에피소드가 1화 기승전, 혹은 기승전결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조건 필살기나 기합에 의존하거나 질질 끄는 대신 팀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조언하고 격려하며 함께 해결책을 찾아내서 극복하는 흥미진진한 전개를 보여준다. 10년이 지난 지금도 완구 애니메이션이 해당 애니에 배울 게 많은 수작이다.

각국 문화를 팽이, 팀 스타일에 적용하는 특징은 팀원 전원 성수가 있는 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팀에선 두드러지지 않고 태국팀, 몽골팀,[3] 같이 예선에서 맞붙는 팀에서 자주 나타나는 등 나라당 팀에 선수들의 팽이나 차림이 문화를 따라서 나라의 대표적 문화도 간접적으로 만날 수 있고, 성수가 없어 시청자가 흥미가 식을수 있다는 점을 각국의 특색과 문화를 팽이대결에 끌어오는 방법으로 보완한 것이다. 또한 세계대회가 무대인 만큼 전 국가까진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이름이 있는 나라는 거의 모습을 비추기에 나라 이름 외우기도 그만이고, 예시로 멕시코 팀의 경우 배틀 도중 멕시코 혁명[4]까지 언급되기도 해 알게 모르게 세계지리나 세계사 공부에도 좋았다는 반응이 나오는 등 아동 교육에도 나쁘지 않았다.

2.1. 한일 합작

탑블레이드 애니메이션 3부작은 모두 한국과 일본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졌다. 1편 애니제작은 디라이츠[5], TV 도쿄가 추진한 상태에서 한국의 DR무비, 서울애니메이션, 희원엔터테인먼트가 일본에선 매드하우스, 시너지SP(구 시너지 재팬), 일본애니미디어가 협력하여 제작하였다. 이는 단순히 하청수준이 아니라 시나리오를 비롯해 동화, 연출, 감독까지 모두 한일 합작으로 이루어 졌다. 캐릭터의 디자인이나 등장시점에 대한 발언권도 상당했다. 2014년, 캐릭터 디자이너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3기에서는 한국팀의 제작의 비중이 컸고, 한국에서만 해야 했다는 작업이 있었다고 한다.[6]
하지만 DR무비와 매드하우스는 1기만 제작하고 2기, 3기는 나머지 애니메이션회사끼리 제작하였다. 애니메이션 회사도 바뀌는 과정에서 스텝들도 전부 바뀌었다. 캐릭터들의 생김새가 2기부터 급격하게 바뀌거나, 배틀 연출이 3D가 된 것도 이 이유다.

2002년에 최신규 손오공 창업주가 밝힌 에세이에 따르면 제작비 60억중 20억을 투자하고 추가 마케팅비용 11억원도 선부담하면서 목숨을 건 도박을 하였고, 결과적으로 30%의 지분을 얻고 한국에서 '탑블레이드'의 제조권, 판매권 캐릭터 사업권을 모두 손오공이 소유 권리를 획득했다. 타카라토미 측에서도 공동 투자를 인정하고 제작 비화도 겹치니 믿어도 되는 이야기다. 결과는 대성공. 게다가 탑블레이드 시리즈를 방영한 방송사는 SBS이며, 자사 홈페이지에서도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던 것도 한일합작의 이점을 살린 것이다. 물론 손오공이 탑플레이트 논란과 함께 사실과 떨어진 언플을 했다는 것이 밝혀져서 어느 정도는 거르면서 볼 필요는 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에서만큼은 일본 제작진들도 한국의 지분을 인정하는 만큼 탑블레이드가 한일합작 애니메이션임은 사실이다.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탑블레이드(만화)/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

4.1. 일본판 오프닝 - Fighting Spirits ~Song for Beyblade~

OP
Fighting Spirits ~Song for Beyblade~
TV ver.
Full ver.
<colbgcolor=#148ef1><colcolor=#fff> 노래 system-B
작사 야마다 마사토(山田正人)
작곡
편곡 system-B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TV ver.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ゆめおいかけて たたかいつづけろ

あいとゆうきとゆうじょう

このブレードは おれのぶんしん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バーニング ソウル

WOW WOW WOW WOW YEAH YEAH

WOW WOW WOW WOW YEAH YEAH
ひとりぼっちじゃできないことも

おまえがいればやれる

このせかいのはてまでもおれといっしょにいこう

しせいじゅうは あいのアスリート

かがやけ めをさませ

(ドラグーン ドランザー ドラシエル ドライガー)

よみがえれ!

そら かけてこい おれのエネルギー

いまたちあがれ せいじゅう

すべてのてきおうちたおすため

みんなのきぼう だいてかけろ シャイニング ソウル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Full ver.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ゆめおいかけて たたかいつづけろ

あいとゆうきとゆうじょう

このブレードは おれのぶんしん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バーニング ソウル

WOW WOW WOW WOW YEAH YEAH

WOW WOW WOW WOW YEAH YEAH
ひとりぼっちじゃできないことも

おまえがいればやれる

このせかいのはてまでもおれといっしょにいこう

しせいじゅうは あいのアスリート

かがやけ めをさませ

(ドラグーン ドランザー ドラシエル ドライガー)

よみがえれ!

そら かけてこい おれのエネルギー

いまたちあがれ せいじゅう

すべてのてきおうちたおすため

みんなのきぼう だいてかけろ シャイニング ソウル


WOW WOW WOW WOW YEAH YEAH

WOW WOW WOW WOW YEAH YEAH

きずついたこのからだ

やすめるときもばしょもない

だけどたたかうもちべーしょがみなぎるこのたましい

ビットチップにひみつのキャラクタ

ひびけフェーズしかけろ

(タカオ カイ マックス レイ)

BELIEVE YOUR DREAM

みちのちからをしんじていきる

すんだこころのファイター

ちちとあにとのみえないきずな

いつかかならずかなえてやるぜ

このけっせんはともとのやくそく

せかいをあいてにバトルする

もえろブレードパワーぜんかい

なぞのちからをゆめのちからを パワー ソウル

ゆめおいかけて たたかいつずけろ

あいとゆうきとゆうじょう

このブレードは おれのぶんしん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そら かけてこい おれのエネルギー

いまたちあがれ せいじゅう

すべてのてきおうちたおすため

みんなのきぼう だいてかけろ シャイニング ソウル

ちからのかぎり もえろまわれ バーニング ソウル
}}}}}}}}} ||

4.2. 일본판 엔딩 - Cheer Song

ED
Cheer Song
TV ver.
Full ver.
<colbgcolor=#148ef1><colcolor=#fff> 노래 system-B
작사 야마다 마사토(山田正人)
작곡
편곡 system-B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TV ver.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はるはてをふりほほえんで

なつはじょうねつをふりまいて

きせつはうつりかわって

あきはふゆともだち

かいけつできないことって

しんらいゆうじょうあいじょうかんじょう?

どんなときでもくもはながれてる

いつだっておなじそらはない

るいせんたかまっておちるしずくだって

かなしいわけだけじゃない

ゆうきをだしてことばにしてみる

「さあたびだとうきぼうのまちえ」

やくそくだってかならずかなうさ

(It's) gonna be a clear day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Full ver.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はるはてをふりほほえんで
なつはじょうねつをふりまいて

きせつはうつりかわって

あきはふゆともだち

かいけつできないことって

しんらいゆうじょうあいじょうかんじょう?

どんなときでもくもはながれてる

いつだっておなじそらはない

るいせんたかまっておちるしずくだって

かなしいわけだけじゃない

はしれこころのおもうままに

そらとだいちのあいだまいあがれ

そしてこたえはかぜのなか

くもがきみにおしえる

じつげんかんおうなことって?

じぶんのきもちにすなおにこたえる

せんそうだっていつかなくなるさ

そうおもえばきっとそうなる

ぐうぜんかさなっておきるできごとも

それはいみあること

かいけつできないことって

しんらいゆうじょうあいじょうかんじょう?

どんなときでもくもはながれてる

いつだっておなじそらはない

るいせんたかまっておちるしずくだって

かなしいわけだけじゃない

ゆうきをだしてことばにしてみる

"さあたびだとうきぼうのまちえ"

やくそくだってかならずかなうさ

Gonna be a clear day

せんそうだっていつかなくなるさ

そうおもえばきっとそうなる

ぐうぜんかさなっておきるできごとも

それはいみあること

ゆうきをだして...

やくそくだって...

(It's) gonna be a clear day
}}}}}}}}} ||

4.3. 한국판 오프닝 - 고! 고! 탑블레이드

OP
고! 고! 탑블레이드
TV ver.
Full ver.
<colbgcolor=#148ef1><colcolor=#fff> 노래 서문탁
작사 김연정
작곡 김상훈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TV ver.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rever the Power Top Blade

앞질러 솟구쳐 지금 부딪혀

강한 용기로 이겨 낼 꺼야~~

난 언제나 너의 힘을 느껴~~

난 항상 너를~ 믿고 있어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Full ver.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rever the Power Top Blade

앞질러 솟구쳐 지금 부딪혀

강한 용기로 이겨 낼 꺼야~~

난 언제나 너의 힘을 느껴~~

난 항상 너를~ 믿고 있어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멈추지 않는 미래를 생각해 절대 포기하지 않는

도전의 여행을 떠나가~~

세상을 향해 가야할 길은 멀지만 난 너를 믿어

숨막힐 것 같은 승부의 순간들

때론 두려울 때도 있지만

난 언제나 너와 함께 있어

난 항상 너를 믿고 있어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고! 고! 탑블레이드 (Go! Go! Topblade)

멈추지 않는 미래를 생각해 절대 포기하지 않는

도전의 여행을 떠나가~~

세상을 향해 가야할 길은 멀지만 난 너를 믿어

무적의 탑블레이드 고! 고! 슛!! 고! 고! 탑블레이드
}}}}}}}}} ||

4.4. 한국판 엔딩

영상 링크(네이버 블로그)

4.5. 영문판 오프닝 & 엔딩 - Let's Beyblade!

OP/ED
Let's Beyblade!
TV ver.
<colbgcolor=#148ef1><colcolor=#fff> 노래 Sick Kid featuring Lukas Rossi
작사 Arlene Bishop
Blair Packham
작곡 Arlene Bishop & Blair Packham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Picking up speed

Running out of time

Going head to head

It's the way of life

You gotta fall down

Eat ground

And to get back up again

Let's Beyblade!

Spinning it out

At the speed of sound

Gotta rip it up

Now the bet is down

The team with the bang

Our gang is the one who's gonna win

Let's Beyblade!

Beyblade!

Let's Beyblade!

Let's Beyblade!

Beyblade!

Let it rip
}}}}}}}}} ||

북미판에서는 무인편부터 2기인 V-force(일본판의 2002), 3기인 G-Revolution까지 모두 똑같은 주제가를 썼으며 시즌이 바뀔 때마다 오프닝 장면만 바꿨다.

4.6. 홍콩판 오프닝 - 폭렬선풍

5. 회차 목록

<rowcolor=#fff> 회차 제목[7]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 일자
한국 (일본) 대회편
제1화 爆転バトル、ゴー・シュート!
운명의 시작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이은미
카와세 토시후미
(川瀬敏文)
야마모토 메구미
(山本恵)
하타노 요시미쇼오
(秦野好紹)
심상일
日: 2001.01.08.
韓: 2001.10.09
제2화 ほえろ青龍!ドラグーン誕生!
빛속의 청룡드래곤 탄생!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야마모토 메구미
(山本恵)
타카다 아츠시
(高田淳)
노미치 카요
(野道佳代)
노타케 요오코오
(野武洋行)
日: 2001.01.15.
韓: 2001.10.16.
제3화 新しき友、その名はマックス
새로운 친구, 그 이름은 맥스
미나카미 세이시(水上清資) 타카다 아츠시
(高田淳)
무라타 마사히코
(むらた雅彦)
나카하라 키요타카
(中原清隆)
日: 2001.01.22.
韓: 2001.10.23.
제4화 開幕!バトルトーナメント
탑 블레이드 토너먼트 대회 개막!
우라하타 타츠히코
(浦畑達彦)
우에다 히데히코
(うえだひでひと)
카토 시게루
(加藤茂)
타다카즈
(タダカズ)
日: 2001.01.29.
韓: 2009.10.14.
제5화 激突!マックスVSカイ
격돌! 맥스 대 카이
후데야스 카즈유키
(ふでやすかずゆき)
요코타 카즈
(横田和)
오세키 미사유키
(大関雅幸)
노구치 키노미
(野口木ノ実)
日: 2001.02.05.
韓: 2009.10.21.
제6화 吹き荒れろ!ドラグーンストーム
불어라! 드래곤 회오리!
아라니시 다이스케
(荒西大介)
이시오네 히로시
石踊宏
야마모토 메구미
(山本恵)
하야노 요시아키
(秦野好昭)
日: 2001.02.12.
韓: 2009.10.28.
제7화 タカオVSカイ 宿命の対決
숙명의대결 강민 vs 카이
우라하타 타츠히코
(浦畑達彦)
기무라 신이치로
(木村真一郎)
하시모토 나오토
(橋本直人)
사루토 세이카
(猿渡聖加)
日: 2001.02.19.
韓: 2009.11.04.
중국 대회편
제8화 結成! BBAチーム世界へ!
세계를 향한 첫걸음
후데야스 카즈유키 타카다 아츠시 노미치 카요
노타케 히로유키
日: 2001.02.26.
韓: 2009.11.11.
제9화 新たなる聖獣、白虎族
새로운 성수 백호족
아라니시 다이스케
김상훈
니시무라 준지 오쿠무라 요시아키 권유희 日: 2001.03.05.
韓: 2009.11.18.
제10화 駆け上がれ!アジア大会!
뛰어 올라라! 아시아 대회!
오오쿠보 토모야스 코 유 무라타 마사히코 나카하라 키요타카 日: 2001.03.12.
韓: 2009.11.25.
제11화 レイ、白虎を失う!
레이 백호를 잃어버리다
후데야스 카즈유키 우에다 히데히토 타카다 아츠시 타다카즈 日: 2001.03.19.
韓: 2009.12.02.
제12화 さらばBBAチーム!
안녕 한국팀
오오쿠보 토모야스 오세키 마사유키 노구치 키노미 日: 2001.03.26.
韓: 2009.12.09.
제13화 さけべレイ!うなれ白虎!
백호의 부활
아라니시 다이스케 야마모토 메구미 하야노 요시아키 日: 2001.04.02.
韓: 2009.12.16.
제14화 不戦敗?分断のBBAチーム
준결승! 탈락의 위기!
하나다 줏키 코데라 카츠유키
(こでらかつゆき)
나카 토모히토 바바 류이치 日: 2001.04.09.
韓: 2009.12.23.
제15화 決戦!アジアの頂点をかけて!
결전! 아시아의 정상을 향해!
오오쿠보 토모야스 타카다 아츠시 아이자카 나오키
노타케 히로유키
日: 2001.04.16.
韓: 2009.12.30.
제16화 白虎VS山猫
백호 대 들고양이
후데야스 카즈유키 코 유 오쿠무라 요시아키) 김준오 日: 2001.04.23.
韓: 2010.01.06.
제17화 ファイナルバトル!漆黒の稲妻!
불꽃 튀는 결승전
미나카미 세이시 카와세 토시후미 기무라 타카이치
(木村隆一)
도마사조
(苫政三)
日: 2001.04.30.
韓: 2010.01.13.
제18화 負けるな!小さなブレーダー
진정한 탑블레이더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우에다 히데히토 이시다 히로시 에노키즈 레에이치
키바 쇼타로
김준원
日: 2001.05.07.
韓: 2010.01.20.
미국 대회편
제19화 上陸、新たな戦場!
도착! 새로운 싸움터에
미나카미 세이시 오제키 마사유키 스즈키 타쿠오 타케우치 아키라 日: 2001.05.14.
韓: 2001.12.17.
제20화 戦慄のアメリカン・パワー!
공포스러운 미국 팀의 힘
후데야스 카즈유키 야마모토 메구미 하다노 코소 日: 2001.05.21.
韓: 2001.12.18.
제21화 特訓!新しき力を求めて
산속에서의 특별 훈련
아라니시 다이스케 니시무라 준지 오쿠무라 요시아키 김준우 日: 2001.05.28.
韓: 2001.12.24.
제22화 大統領vs世界選抜!
대통령 대 세계 선발팀!
스기하라 켄지 타카다 준 아이자카 나오키
노타케 히로유키
日: 2001.06.04.
韓:
제23화 開幕!アメリカ大会
개막! 미국 대회!
오오쿠보 토모야스 노다 사쿠키 사루토 세이카 이카이 카즈유키 日: 2001.06.11.
韓:
제24화 アメリカンヒーロー マイケルの力!
미국의 영웅! 마이클의 실력!
미나카미 세이시 키무라 류이치 토마 마사조 日: 2001.06.18.
韓: 2010.03.03.
제25화 準決勝 超高速サーキット!
미국 대회 준결승전! 초고속 서킷!
오오쿠보 토모야스 오지 히로히토 스즈키 타쿠오 타케우치 히로시 日: 2001.06.25.
韓: 2010.03.10.
제26화 激突! アメリカ大会決勝戦
격돌 미국 대회 결승전
오오쿠보 토모야스 니시무라 준지 오코무라 요시아키 권유희
이현호
日: 2001.07.02.
韓: 2010.03.17.
제27화 決着! アメリカ大会!!
작열의 스콜피온!
미나카미 세이시 하라 히로시 야마모토 메구미 츠바타 요시아키 日: 2001.07.09.
韓: 2010.03.24.
제28화 ダークキャンサーのカニカニ大作戦
미국 대회! 마지막 대결!
스기하라 켄지 코 유 기무라 타카이치 하다노 코소 日: 2001.07.16.
韓: 2010.03.31.
제29화 BBA 熱き戦いの軌跡
한국팀! 숨막히는 열전의 궤도
미나카미 세이시 오지 히로히토 스즈키 타쿠오 타케우치 히로시 日: 2001.07.23.
韓:
유럽 대회편
제30화 聖獣を従える者
성수를 이끄는 자
미나카미 세이시 침상일 김진광 박기덕 日: 2001.07.30.
韓:
제31화 ヨーロッパ、波乱の旅立ち
유럽, 파란의 시작!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김경관 김기두 日: 2001.08.06.
韓:
제32화 強襲! 闇のブレーダー!
어둠의 블레이더!
미나카미 세이시 이지유 김경관 세이키 야스히로
세키자키 타카아키
日: 2001.08.13.
韓:
제33화 黒い影の軍団
검은 그림자의 군단
후데야스 카즈유키 침상일 박기덕 日: 2001.08.20.
韓:
제34화 華麗なる聖獣使い
화려한 탑 블레이더
스기하라 켄지 김경관 김진광 日: 2001.08.27.
韓:
제35화 コロッセオの決闘!
콜로세움의 결투
아라니시 다이스케 이지유 김기두 日: 2001.09.03.
韓:
제36화 倒せ! アンピスバイナ
타도! 안피리온!
오오쿠보 토모야스 김기두 스즈키 타쿠오 타케우치 히로시 日: 2001.09.10.
韓:
제37화 女王陛下のブレーダー
여왕 폐하의 블레이더
미나카미 세이시 이지유 오쿠무라 요시아키 권유희
이현호
日: 2001.09.17.
韓:
제38화 結成! 最強のユーロチーム
결성! 최강의 유럽 팀!
이시오도리 히로시 김경관 박기덕 日: 2001.09.24.
韓:
제39화 決めろ! 勝利への力
보여라! 승리에의 힘!
오오쿠보 토모야스 침상일 김진광 김동준 日: 2001.10.01.
韓:
러시아 대회편
제40화 決勝の地ロシア
결전의 땅 러시아
후데야스 카즈유키 타카다 아츠시 마즈무라 아스미 사와타리 세이카 日: 2001.10.08.
韓:
제41화 いまわしき記憶の扉
어두운 기억의 문
미나카미 세이시 오쿠무라 요시아키 권유희 日: 2001.10.15.
韓:
제42화 最強を望む者
최강을 바라는 자
오오쿠보 토모야스 야마모토 메구미 츠바타 요시아키 日: 2001.10.22.
韓:
제43화 悪夢のセレモニーマッチ
악몽의 세레모니
미나카미 세이시 키무라 류이치 이카이 카즈유키 日: 2001.10.29
韓:
제44화 さらばカイ!
잘가, 카이!
아라니시 다이스케 타카다 아츠시 스즈키 타쿠오 타케우치 히로시 日: 2001.11.05.
韓:
제45화 バイカル湖の決闘
바이칼 호수의 결투
오쿠무라 요시아키 츠바타 요시아키 김동준 日: 2001.11.12.
韓:
제46화 ボーグ襲来!
보그 습격!
미나카미 세이시 오치 히로히토 서동주 박기덕 日: 2001.11.19.
韓:
제47화 再会! ユーロチーム
재회! 유럽팀!
오오쿠보 토모야스 키무라 류이치 츠바타 요시아키 日: 2001.11.26.
韓:
제48화 カイの選択
카이의 선택
야마모토 메구미 나카하라 키요타카 日: 2001.12.03.
韓:
제49화 白虎の叫び
백호의 외침
미나카미 세이시 오쿠무라 요시아키 권윤정 日: 2001.12.10.
韓:
제50화 雪原の黙示録
설원의 묵시록
쿠레나이 유우 키무라 류이치 박기덕
하다노 코소
日: 2001.12.17.
韓:
제51화 ベイブレードよ、永遠に!
탑블레이드여 영원히
오오쿠보 토모야스 카와세 토시후미 박기덕
나카하라 키요타카
日: 2001.12.24.
韓: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한국에는 2001년부터 SBS와 8개 지역민방[8]에서 애니메이션 방영이 시작되었으며, 2002년부터 원작 만화가 정발되었다. 팽이를 돌리기 시작할 때의 구호인 '쓰리, 투, 원, 고~ 슛!'을 유행시킨 장본인이다. 조금 큰 슈퍼나 편의점 등 어딜 가나 팽이를 판매했으며, 실제로 각종 팽이대회도 열리는 등 큰 인기를 누렸다. 2000년대 중후반까지도 제법 인기를 끌었으며 업그레이드된 괴상한 팽이들도 많이 출시됐었다.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열광했고, 문방구 앞에 대결을 위한 스타디움이 있었으며 중국 카피판 제품들도 성행했던 시기이다. 심지어 중학생들 사이에서도 팽이를 가지고 노는 아이들이 간간히 있었을 정도였다.(무인편 방영 당시 정품 기본 팽이의 가격은 5000~10000원대, 중국산 짝퉁팽이의 가격은 2000원대였다. 하지만 성능은 중국산 팽이가 더 좋았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됐다. 정품 팽이와 중국산 팽이가 대결을할 시 정품팽이가 나가떨어질 수준. 심지어 정품이 중국산보다 의외로 더 쉽게 손상되기도 했다.)[9]

1990년대 중후반이랑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에게는 디지몬 어드벤처, 포켓몬스터와 함께 2000년대 초반 추억의 애니로 손꼽힌다. 이보다 좀 더 앞선 세대가 꾸러기 수비대를 통해 십이지를 외웠다면, 1990년대 중반이랑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은 탑블레이드를 통해 사방신(청룡, 백호, 주작, 현무)을 외웠다고 볼 수도 있다.

7. DVD / 비디오

<rowcolor=#fff> 1권 2권 3권 4권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1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2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3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4_1280.jpg
한국(일본) 대회 상편 한국(일본) 대회 하편[10] 중국 대회 상편 중국 대회 하편[11]
<rowcolor=#fff> 5권 6권 7권 8권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5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kzonakW1rja3cwo6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1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2_1280.jpg
미국 대회 상편[12] 미국 대회 중편 미국 대회 하편 유럽 대회 상편[13]
<rowcolor=#fff> 9권 10권 11권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3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mpql0bh5QU1rja3cwo4_1280.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eyblade-Season-1-beyblade-31117213-500-693.jpg
유럽 대회 하편 러시아 대회 상편[14] 러시아 대회 하편

8. 기타

파일:탑블레이드 로고.png 파일:폭전슛 베이블레이드 로고.png 파일:Beyblade original logo.svg
<rowcolor=#fff> 한국판 공식 로고 일본판 공식 로고 북미판 공식 로고

[1] 다만 러시아편은 최종전이다보니 카이 스토리는 검은 주작과의 완전한 결별로 매조지하고 최종전은 강민이 치렀으며 유럽팀과 괴물팀까지 등장해 모두의 힘과 의지를 모아 맞선다는 점이 강조된다.[2] 중국대회 결승에선 강민이 라이와의 3차전에선 무승부를 거두고 연장전이 성사되자 강민 대신 레이가 나갔고, 미국대회 결승에선 아예 강민이 선봉으로 빠지고 맥스가 3차전에 나선다.[3] 대표적으로 태국팀은 주장이 무에타이를 콘셉트로 잡았고, 몽골팀은 양털을 팽이에 두르는 등.[4] 멕시코 주장이 리볼버를 슈터로 쓰는 팽이를 사용하는데, 필살기가 기관포 공격이라는 공격이다. 그 기관포 공격의 유래에 대해 설명할 때 나온다.[5]ADK 이모션즈[6] 그 중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강진(키노미야 히토시)인데 원작에서는 닌자 복장을 하고 다닌걸 국내 제작진이 문제 제기하여 애니메이션에서는 외형이나 복장이 코믹스와 다르게 나왔다.[7]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SBS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8] kbc, PSB(현 KNN), JTV, ubc, TJB, TBC, GTB(현 G1방송), CJB[9] 물론 가품 중에서는 아예 돌아가지 않거나, 색깔이 전혀 다르고 조립이 안 될 정도로 조잡하게 만든 저열한 제품들도 많았다.[10] 1화 ~ 7화[11] 8화 ~ 18화[12] 19화 ~ 29화[13] 30화 ~ 39화[14] 40화 ~ 51화[15] 사실 이 정도는 양반이다. 후속 시리즈로 갈수록 판타지적 요소가 가미되어 탑블레이드 경기 한번에 경기장 천장이 날아가는 건 예사요, 어떨 때는 마을이 부서지고 전 지구에 기상 이변이 일어나는 등 돈지랄보다도 더한 민폐성 종목으로 전락할 정도.[16] 남자 아이들의 원동력인 열정에 비례한 능력치, 그리고 완구에 가미된 멋진 디자인 및 설정과 기술, 이를 옆에서 일일이 설명&분석 해주는 주인공 친구들 , 승리만을 추구하는 어른들, 그리고 그들에게 키워진 라이벌, 최후엔 이러한 라이벌의 갱생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3
, 3.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