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5:04:32

호크아이(로스트아크)


파일:LOST ARK LOGO.png[[로스트아크/클래스|
클래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전사.svg
[[디스트로이어(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디스트로이어.svg
디스트로이어
DESTROYER
]]
[[워로드(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워로드.svg
워로드
GUNLANCER
]]
[[버서커(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버서커.svg
버서커
BERSERKER
]]
[[홀리나이트|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홀리나이트.svg
홀리나이트
PALADIN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전사(여).png
[[슬레이어(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슬레이어.svg
슬레이어
SLAYER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무도가.svg
[[배틀마스터(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배틀마스터.svg
배틀마스터
WARDANCER
]]
[[인파이터(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인파이터.svg
인파이터
SCRAPPER
]]
[[기공사(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기공사.svg
기공사
SOULFIST
]]
[[창술사(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창술사.svg
창술사
GLAIVIER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무도가(남).svg
[[스트라이커(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스트라이커.svg
스트라이커
STRIKER
]]
( 스킬 )
[[브레이커(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브레이커.svg
브레이커
BREAKER
]]
( 스킬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헌터.svg
[[데빌헌터|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데빌헌터.svg
데빌헌터
DEADEYE
]]
[[블래스터(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블래스터.svg
블래스터
ARTILLERIST
]]
[[호크아이(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호크아이.svg
호크아이
SHARPSHOOTER
]]
[[스카우터(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스카우터.svg
스카우터
MACHINIST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헌터(여).svg
[[건슬링어(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건슬링어.svg
건슬링어
GUNSLINGER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마법사.svg
[[바드(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바드.svg
바드
BARD
]]
[[서머너(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서머너.svg
서머너
SUMMONER
]]
[[아르카나(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아르카나.svg
아르카나
ARCANIST
]]
[[소서리스(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소서리스.svg
소서리스
SORCERESS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암살자.svg
[[데모닉(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데모닉.svg
데모닉
SHADOWHUNTER
]]
( 스킬 )
[[블레이드(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블레이드.svg
블레이드
DEATHBLADE
]]
[[리퍼(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리퍼.svg
리퍼
REAPER
]]
[[소울이터(로스트아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소울이터.svg
소울이터
SOULEATER
]]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스페셜리스트.svg
[[도화가|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도화가.svg
도화가
ARTIST
]]
[[기상술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기상술사.svg
기상술사
AEROMANCER
]]
[[환수사|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환수사.png
환수사
WILD SOUL
]]
}}}}}}}}} ||
호크아이
Hawk Eye/Sharpshooter
<nopad>파일:호크아이.jpg
호크아이는 민첩하게 움직이며 기계 활과 특수 화살로 적을 공격하는 명사수 입니다. 민첩한 이동기를 활용한 생존력이 우수하며 이를 바탕으로 비교적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전투를 펼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상태이상 스킬과 은신을 활용하여 적의 허점을 노리는 전투가 가능합니다.
클래스
파일:로스트아크_클래스-헌터.svg
헌터(남)
아이덴티티대표무기
파일:로스트아크_실버호크_소환.png
실버 호크 소환
파일:로스트아크_활.png
호크아이 소개 페이지

1. 개요2. 스킬3. 깨달음 스타일
3.1. 죽음의 습격(좌측)3.2. 두 번째 동료(우측)
4. 역사5. 평가
5.1. 장점
5.1.1. 두 번째 동료5.1.2. 죽음의 습격
5.2. 단점
5.2.1. 두 번째 동료5.2.2. 죽음의 습격
6. 운용7. 여담
7.1. 글로벌 서버 출시 관련

[clearfix]

1. 개요

로스트아크 클래스 스킬 - 호크아이
"적을 꿰뚫어라, 신념의 화살이여!"
화살을 이용해 역동적인 딜을 하는 로스트아크의 헌터 클래스.

2.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크아이(로스트아크)/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깨달음 스타일

3.1. 죽음의 습격(좌측)

* 죽음의 습격: 실버 호크가 소환되지 않았을 때, 공격 적중 시 적에게 주는 피해가 4/8/12% 증가한다.
* 호크 게이지 회수: 최후의 습격 및 실버호크 강습 스킬 사용 시 호크 게이지를 30/40/50% 회복한다.
* 최후의 표적: 최후의 습격 및 실버호크 강습 스킬에 적중된 대상에게 '최후의 표적'을 부여한다.
최후의 표적: 호크아이에게 받는 피해가 8초동안 9/18/27% 증가한다.
* 실버호크 강습: 적에게 주는 피해가 6/12/18% 증가하고 Z키로 사용가능한 '실버호크 소환'스킬이 '실버호크 강습'[1]으로 변경된다.
실버호크가 소환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신의 공격력이 증가하며 실버호크를 자폭시키면 대상에게 피증 디버프를 묻히고 실버호크 게이지의 일정 부분을 회수한다.

실버호크 게이지를 채운다음 최후의 습격/강습을 사용하여 즉시 터트리고(일명 매폭), 8초의 디버프 시간동안 일반 스킬 주력기를 최대한 쑤셔박는 반근접 극딜러 컨셉의 스타일이다.

3.2. 두 번째 동료(우측)

* 두 번째 동료: 실버호크 MK-II를 소환하며, 실버호크 소환 중 자신 및 24m 범위 내에 있는 파티원의 이동속도가 8% 증가한다.
실버호크의 기본 공격 범위 및 유지 시간이 증가한다.
실버호크 스킬의 치명타 적중률이 증가한다.
* 호크 서포트: 실버호크 소환 중 자신의 공격력이 증가한다.
* 폭풍의 표적: 폭풍의 날개 및 실버호크의 기본 공격에 적중된 대상에게 '폭풍의 표적'을 부여한다.
폭풍의 표적: 호크아이에게 받는 피해가 8.0초 동안 증가한다.
* 폭풍의 사냥꾼: 폭풍의 날개가 강화되어 사용 시 자신에게 '폭풍의 사냥꾼' 버프가 부여되고, 최후의 습격 사용 시 '사냥꾼의 발걸음' 버프가 부여된다.
폭풍의 사냥꾼: 8.0초 동안 스킬 피해량이 증가한다.
사냥꾼의 발걸음: 5.0초 동안 매 초마다 호크 게이지가 증가하고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실버호크가 강화되어 공격 범위와 유지 시간 및 치명타 적중률이 증가하며 소환 중 자신의 공격력 또한 증가한다.

실버호크 소환을 유지하면서 실버호크 스킬 및 일반 스킬로 원거리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격하는 원거리 지속딜러 스타일이다.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크아이(로스트아크)/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활, 덫, 단검, 매사냥 등 활을 주무기로 사용하는 민첩한 사냥꾼이라는 컨셉을 기반으로 설계된 직업이다. 그러나 각 스킬들의 느린 선후 딜레이 때문에 실제 기민함을 기대하긴 어려우며, 카운터 유틸의 부재와 파괴 유연성 부족, 높은 치피증 수치와, 치적 불균형 등 다양한 구조적 문제를 앓고 있다. 그래도 이해하기 쉬운 딜사이클, 중상위권의 딜량, 높은 순간 무력 및 트라이의 신[2]이라 불리는 쾌적함으로 괜찮은 직업 인식을 지니고 있으며, 나름의 마니아층을 보유하고 있다.
아이덴티티인 실버호크를 유지하면서 싸우는, 매사냥꾼 궁수로서의 정체성이 강한 지속 딜러 두 번째 동료와 각종 단검을 이용한 기술을 동원해 실버호크를 날려보내는 유격전 전문가의 정체성이 강한 죽음의 습격으로 플레이 스타일이 구분된다. 두 번째 동료는 안정적인 성능[3]과 원거리 포지션을, 죽음의 습격은 전 직업을 통틀어 중상위권의 딜량과 근접 포지션을 지니고 있다.

멀쩡한 활 들고도 근접전을 해야 되는 괴상한 캐릭으로 불리며, 하자가 많았던 캐릭터 구조로 인해 로스트아크 서비스 시작 이래 오랜 시간동안 빛을 보지 못한 직업이라 인구수 전 직업 꼴등[4]을 유지하던 직업으로, 개편을 통해 성능은 좋아졌으나 아직까지도 비주류 캐릭터 인식이 강한 편이다. 그나마 23년의 개편으로 성능이 괜찮다는 인식이 생긴데다 언제나 일정 수요를 자랑하는 궁수 컨셉의 캐릭이라는 점 때문에 신규가 유입되면서 조금씩이나마 인구수가 늘어난 덕에 최하위권을 벗어나 하위권에 진입하였다.[5]

아크패시브 이후 죽음의 습격은 최후의 습격(소위 매폭)이 모션과 피면은 사라지되 다른 스킬 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강습으로 변경되었고, 두 번째 동료는 기존과 딜 구조가 다르지 않은 단순 버프를 얻었다. 아크패시브 개편 초기에는 최후의 습격의 피면 삭제와 강습으로 인한 딜압축의 갑론을박, 컨셉의 변화가 없는 두동의 아쉬움이 주류 여론을 차지했었다. 죽습의 경우 피면 삭제에 따른 리턴의 상승이 있다면 수긍한다는 분위기였으나 이후 유틸의 조정 없이 대미지 너프만 먹었고, 두동의 경우 아쉬움이 남더라도 도약 노드의 딜 상승량과 버프의 상승량 등 대미지 면에서 큰 향상이 있어 죽습이 몇 번 실수하면 이길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와 많이 기용되었다. 사이드 노드의 경우 애당초 치피증 수치가 높았던 죽습에게 외려 치피증 노드를 더 주고, 고질적인 마나 소모 문제를 문제 스킬의 마나 소모량 조정이 아닌 사이드 노드로 대충 퉁치는 점,[6] 60초 예열이 필요한 두동의 사이드 노드와 계륵보다도 못한 매 평타 강화 노드를 받은 점이 처음부터 현재까지 비판 받고 있다. 특히 두동의 경우 매폭을 사용하면 아덴 게이지를 환급해주는 기능이 4노드에 생겼으나, 매폭을 사용하면 기껏 해둔 예열이 날아가버리는 모순적인 구조를 수정 없이 그대로 이어나가고 있는 실정.

현재까지(2025-02-14) 죽습은 너프를 제외하면 21개월 동안 아무런 상향이나 구조 조정이 없다.

5.1. 장점

5.1.1. 두 번째 동료

5.1.2. 죽음의 습격

5.2. 단점

5.2.1. 두 번째 동료

5.2.2. 죽음의 습격

6. 운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크아이(로스트아크)/운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7.1. 글로벌 서버 출시 관련



[1] 최후의 습격 특유의 던지는 동작이 사라지고 폭풍의 날개처럼 다른 행동 중에도 곧바로 실버 호크를 날려서 자폭시킬 수 있다.[2] 두동의 경우[3] 이동기와 카운터를 아낄 수 있고, 높은 저점을 지닌다.[4] 소위 호데기(호크아이, 데빌헌터, 기공사)[5] 뒤에서 5등이지만 이것도 늘어난 것.원래 하위권 3인방인 호데기 중 호크아이는 23년의 개편으로 순위가 점점 올라갔고 데빌헌터도 24년 말 개편(일명 데헌절)로 호크아이 다음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24년 말 기준 최하위권에는 기공사, 버서커, 데모닉이 위치하고 있다.[6] 게다가 이건 죽습 전용 사이드 노드라 두동은 어떠한 혜택도 볼 수 없다.[7] 협동 전술 트포를 찍으면 매를 2마리 날리므로 아덴도 2배로 찬다.[8] 그래서 두동 호크는 이속이 느린 특화 기반 딜러나 헤드 어택 딜러들과 같이 파티에 끼는 경우도 많다.[9] 치적 119%. 두동의 경우 자체 치적(40%) 및 아드(14~20%)와 엘릭서 달인(7%)을 제외한 52~58% 수준의 자치적만 맞추면 된다. 치적 시너지 딜러도 고려하면 실제 요구값은 더욱 줄어든다.[10] 다만 이 경우, 스킬 공격력 10%를 넘기는 특화 800정도는 유지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 10%가 생각보다 크다.[11] 두동도 크레모아 지뢰를 쓸 수는 있지만 채용하려면 이동기를 포기해야 한다.[12] 이게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게 증명의 전장이다. 한방한방이 쎄지 않은대신 CC기나 이동기가 풍부하므로 이걸로 상대를 농락하며 긴 사거리의 스킬로 갉아먹어서 HP 우위로 이기는게 호크의 필승법인데 중간중간 마나 안 쓰는 아덴기인 각성기나 매폭을 섞지 않으면 자기만 때리는데 자기 마나가 고갈나서 콤보가 끊겨 상대의 접근을 받아치지 못하고 두드려맞아서 역전각을 주게 된다.[13] 똑같이 최약체 체방을 가지고 있는 아르데타인 직업군인 데헌, 건슬, 스카우터, 블래스터 모두 앞으로 돌진하는 카운터 스킬들을 가지고 있다.[14] 그렇다고 선딜을 감수하고 범위 카운터인 회피사격을 채용하기에는 급소베기의 실버마스터 트포와 이중베기 트포 때문에 죽습의 경우 급소베기의 채용이 강제된다.[15] 즉발 트포를 채용한 차징샷은 차징을 즉시 뗄 경우 진짜 코앞에서 터질 정도로 짧아진다. 매폭 표식 시간 내에 극딜을 박아야하는 죽습 입장에선 차징 시간 여유따위 없으니 사실상 근접기가 된다.[16] 그나마 피면기 부재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은 도약 노드인 락온 기동대뿐인데 실전성이 생기려면 도약 노드를 3렙까지 다 찍어야 가능하다. 게다가 락온 기동대를 찍으려면 스파이럴 애로우나 락온 체인 노드같은 다른 초각성 스킬 옵션을 포기해야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0
, 2.3.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