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f2023> | CJ 골프단 소속 골프선수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ecd 20%, #ff9700 50%, #ee151e 80%);"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남자 골프선수 | |||||
임성재 | 안병훈 | 김시우 | 이경훈 | |||
이재경 | 최승빈 | 배용준 | 정찬민 | |||
Kris Kim | ||||||
여자 골프선수 | ||||||
임지유 | 조이안 | 이다빈 | Li Shuying | |||
홍정민 | 박금강 |
}}} ||
홍정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KLPGA 메이저 대회_크리스F&C KLPGA 챔피언십 우승자 | |||||||||||||||||||||||||||||||||||||||||||||||||||||||||||||||||||||||||||||||||||||||||||||||||
2024년 - 제46회 이정민 | → | 2025년 - 제47회 홍정민 | → | 2026년 - 제48회 |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 |
홍정민 Hong Jeongmin | |
출생 | 2002년 1월 22일 ([age(2002-01-22)]세) |
인천광역시 | |
국적 |
|
신체 | 167cm |
소속 | CJ (2021~) |
소속사 | 스포츠웨이브 |
데뷔 | 2020년 7월 KLPGA 입회 |
학력 | 서울영풍초등학교 (졸업) 대전체육중학교 (졸업) 대전여고부설방통고 (졸업)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국제스포츠학부 / 재학)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초등학교 때 골프에 입문해 중학교 2학년 때 요넥스컵 주니어 골프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국가대표에 승선해 활약했다.[1]2.2. 2020년
국가대표 활동기가 끝나고 6월에 점프투어 시드전을 가볍게 통과했으며, 7월 점프투어에서는 첫 대회를 공동 2위로 마친 이후 3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며 곧바로 KLPGA에 입회했다. 뒤이어 드림투어로 승격해 우승은 없었지만 2위 2번, 3위 1번 등을 기록하며 7월말에 드림투어에 입성했는데도 상금 16위로 2021 시즌 KLPGA 투어에 데뷔하게 되었다.2.3. 2021년
시즌 초중반에는 다소 평범한 모습을 보이다 맥콜 모나파크 오픈에서 공동 6위를 기록하며 첫 탑텐을 기록했고, 7월 29일~8월 1일 진행된 제주삼다수 마스터스에서 첫 우승을 노렸으나 오지현에게 밀려 준우승을 거뒀다. 이후 컷탈락 없이 탑텐 2번을 더 추가하다 9월 17~19일 진행된 OK저축은행 박세리 인비테이셔널에서 다시금 우승에 도전했으나 이번엔 김효주에게 밀려 2번째 준우승을 거뒀다. 이후에도 컷탈락 없이 탑텐 2번을 추가하며 신인상 경쟁을 계속 해왔으나, 결국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송가은에게 단 48점 차이로 밀려 신인상 수상에 실패했다.2.4. 2022년
초반 3번의 컷탈락을 하는 등 평범한 성적을 거두다 5월 18~22일 진행된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 16강에서 디펜딩 챔피언 박민지를 꺾더니 8강에서는 신인상 경쟁자였던 송가은, 4강에서 임희정, 결승에서 루키 이예원을 꺾고 결국 첫 우승을 달성한다!조별리그 | vs 정지민2 | 무 |
vs 김리안 | 3&2 승 | |
vs 하민송 | 4&3 승 | |
vs 정지민2 (연장전) | 승 | |
16강 | vs 박민지 | 19홀 승 |
8강 | vs 이채은2 | 1UP 승 |
4강 | vs 임희정 | 20홀 승 |
결승 | vs 이예원 | 1UP 승 우승 |
이후로는 조금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이다 KB금융 스타챔피언십에서 공동 6위를 기록했고,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에서 3R까지 선두를 기록하며 2승을 노렸으나 FR에서 2타를 잃으며 김수지에게 우승을 내줬다. 동부건설 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에서 9위를 기록한 뒤, WEMIX 챔피언십 with 와우매니지먼트그룹 SBS Golf에서 다시 한 번 우승을 노렸으나 유효주에게 아쉽게 우승을 내주며 공동 2위로 마쳤다.
2.5. 2023년
시즌 첫 대회인 하나금융그룹 싱가포르 여자오픈에서 공동 2위로 마친 데 이어 베트남에서 열린 퍼시픽링스코리아 챔피언십에서도 공동 4위를 기록하며 작년의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후 5월에 3연속 탑텐 피니시, 7월초까지 8번의 탑텐 피니시를 기록하며 우승 없이도 대상 컨텐더로 자리잡는 듯 싶었으나 후반기 들어 부상이 겹치며 전반기만큼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시즌이 끝난 뒤 LPGA Q시리즈에 도전해 조건부 시드를 얻었으나 LPGA 참가는 하지 않았다.
2.6. 2024년
LPGA 도전에 이어 LET에도 도전해 간신히 풀시드를 얻었다. 그리고 LET 몇 개 대회에 참가했으나 그리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다시 KLPGA 투어로 돌아왔다. 지난 몇 년 간에 비해 확실히 아쉬운 성적을 거두며 상금 34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2.7. 2025년
시즌 첫 대회인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에서는 컷탈락을 기록했으나 국내 개막전인 두산건설 We've 챔피언십에서 이예원과 우승 경쟁을 했고, 결국 FR 마지막 홀에서 이예원이 이글을 성공시키며 1타차로 아쉽게 준우승을 거뒀다. 이후 3개 대회에서는 평범한 성적을 거두다 시즌 첫 메이저 대회인 KLGPA 챔피언십 3R에서 6타차로 선두에 올랐고, FR에서 흔들리며 또 우승에 실패하는 듯 했으나 이번엔 선두 자리를 내주지 않으며 3년 만의 우승이자 첫 스트로크 플레이에서의 우승을 달성한다!이후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 2위, 두산 매치플레이에서는 준결승에서 이예원에게 설욕패, 3/4위전에서 노승희에게 패하며 4위, Sh수협은행 MBN 여자오픈에서도 공동 10위를 기록하며 우승 이후에도 좋은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잠시 주춤하다 롯데 오픈에서 공동 9위, 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에서 공동 2위를 기록하며 전반기 종료 기준 이예원 다음으로 상금 2위에 올랐다.
그리고 메디힐 한국일보 챔피언십에서는 그야말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29언더파로 72홀 최저타수 신기록을 세웠고,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거뒀다! 이 우승으로 이예원이 오랫동안 지키고 있던 상금 1위 자리를 차지했고, 대상포인트도 1위 이예원과 단 16점 차이에 불과해 타이틀 컨텐더로 자리매김했다. 우승 이후 인터뷰를 통해 다시 한 번 LPGA에 도전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 다음 대회인 BC카드 한경 레이디스컵에서도 좋은 모습을 이어갔고 공동 3위를 기록해 이예원을 제치고 대상 부문도 1위로 올라섰다. 상금의 경우에도 10억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KG 레이디스 오픈은 휴식차 불참하고 메이저 대회인 KB금융 스타챔피언십에 참가했으나 2R 10오버파를 기록해 컷탈락을 기록했고, 10억 돌파[2]도 다음 대회로 미뤄졌다.[3] 그리고 바로 다음 대회인 OK저축은행 읏맨 오픈에서 컷을 통과하며 상금 10억원을 돌파했다. 하지만 바로 이어서 열린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에서는 1R에서 버디를 1개도 만들지 못하는 등 전체적으로 많이 부진하면서 컷통과에 실패했다. 또한 이 대회에서 유현조가 공동 3위를 기록하면서 상금 순위에서 3위로 내려앉았다.
3. 기록
3.1. 우승 이력
KLPGA 투어 통산 3승 기록(볼드체는 메이저 대회)
*2022년 5월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
*2025년 5월 크리스에프앤씨 제47회 KLPGA 챔피언십
*2025년 8월 메디힐·한국일보 챔피언십
*2022년 5월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
*2025년 5월 크리스에프앤씨 제47회 KLPGA 챔피언십
*2025년 8월 메디힐·한국일보 챔피언십
3.2. 상금/대상 포인트 순위
- 2021년: 395,658,479원 (18위) / 240점 (17위)
- 2022년: 625,237,113원 (10위) / 349점 (11위)
- 2023년: 476,104,231원 (17위) / 355점 (13위)
- 2024년: 351,805,877원 (34위) / 165점 (28위)
- 2025년: 1,005,266,667원 (3위)/ 400점 (4위)[4]
4. 여담
- 별명은 '홍부장', '홍바오'가 있다.
5. 둘러보기
| ||
대회 | 일자 | 스코어 |
메디힐·한국일보 챔피언십 | 2025.08.14~08.17 | -29 |
[1] 당시 국가대표 라인업은 그야말로 엄청났는데, 이예원, 윤이나, 마다솜, 김재희 등이 홍정민과 국가대표 동기였다.[2] 이 대회에서 컷통과만 해도 가장 먼저 10억을 돌파할 수 있었다.[3] 결국 이 대회에서 노승희가 2위의 성적을 기록하며 가장 먼저 10억원을 돌파했다.[4] 2025년 9월 2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