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07:16:22

화답송

전례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4536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사 ▼ 미사의 구조
시작 예식 · 말씀 전례 · 성찬 전례 · 마침 예식
미사곡
자비송(Kýrie) · 대영광송(Glória)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Credo)
거룩하시도다(Sanctus-Benedíctus) ·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 미사 관련 정보
미사의 종류 · 미사 전례에 임하는 합당한 자세
죽은 이를 위한 미사
공통 ▼ 전례 거행의 요소
영성체 · 전례서
▼ 기도문
주님의 기도 · 성모송
마리아의 노래
성 토마스의 성체 찬미가 · 성 암브로시오의 사은 찬미가
부속가 · 찬미가
전례력
대림 시기 · 성탄 시기
사순 시기 (주님 수난 성지 주일 · 성유 축성 미사)
파스카 성삼일 (주님 만찬 성목요일 · 주님 수난 성금요일 · 성토요일 · 주님 부활 대축일)
부활 시기 · 연중 시기
}}}}}}}}}}}} ||


1. 개요2. 화답송의 뜻3. 미사 화답송의 배열4. 화답송을 바치는 방식
4.1. 로마 화답송집에 의한 방식4.2. 미사 독서에 의한 방식

1. 개요

화답송은 가톨릭 교회의 여러 전례 때에 응답 형식으로 바치는 시편이나 찬가이다. 미사 때는 말씀 전례의 순서로 화답송을 노래하며, 미사 밖에서 거행하는 여러 전례나 신심 행사 중 말씀을 묵상하는 때에도 화답송을 노래한다.

2. 화답송의 뜻

'화답'이라는 말이 언뜻 보기에 앞선 독서에 대한 화답으로 보일 수 있으나, 사실 화답송은 그 기도를 선창자-신자, 성가대-신자, 또는 성가대-성가대의 교창 형태로 바친다는 뜻이다.[1] 따라서 화답송을 바치는 대부분의 방식은 교창 형식을 취한다.

3. 미사 화답송의 배열

미사 독서의 주기가 주일(대림 시기, 성탄 시기, 사순 시기, 부활 시기, 연중 시기, '연중 시기 주님의 대축일'로 분류되는 네 개의 대축일)은 3년, 연중 시기 평일은 2년, 그 외의 전례일은 일반적으로 1년이다. 따라서 화답송의 배열도 이러한 주기를 따라간다.

4. 화답송을 바치는 방식

4.1. 로마 화답송집에 의한 방식

4.2. 미사 독서에 의한 방식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하여 미사 독서의 독서 배열이 전면 개정되며, 화답송으로 바치는 시편의 양이 Graduale Romanum에 비해 대폭 늘었다.




[1] 「한국천주교회 전례음악 분야에서 올바로 정리되어야 할 몇가지 논제들」, 신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