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ㅣ | 집춘문 | ||||||||||||
← | 대온실 | 관덕정 | ㅣ | ||||||||||
창덕궁 | 춘당지 | 국립어린이과학관 | ㅣ | ||||||||||
성종 태실 | 앙부일구 풍기대 | 관리사무소 | 월근문 | ||||||||||
함양문 | ㅣ | ||||||||||||
ㅣ | |||||||||||||
통명전 | 양화당 | 집복헌 | 영춘헌 | ㅣ | |||||||||
ㄴ | ㄱ | ㅣ | |||||||||||
ㅣ | 경춘전 | 환경전 | ㅣ | ||||||||||
ㅣ | 함인정 | ㅣ | |||||||||||
빈양문 | 명정전 | 명정문 | 옥천교 | 홍화문 | |||||||||
ㄴ | ㅡ | ㅡ | 숭문당 | 문정전 | 문정문 | ㅣ | |||||||
ㅣ | |||||||||||||
| ㅣ | ||||||||||||
| 선인문 | ||||||||||||
ㅣ | |||||||||||||
| + | ↓ | 종묘 | ㅡ | ┛ | ||||||||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 ||
<colbgcolor=#bf1400> 창경궁 환취정 昌慶宮 環翠亭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 |
건축시기 | 1483년 (창건) 1856년 ~ 1908년 사이 (철훼) |
<colbgcolor=#bf1400> 환취정 터 추정지.[1] 왼쪽 지붕은 통명전이다. |
[clearfix]
1. 개요
창경궁의 정자이다. 현재는 없으며 통명전 북쪽에 있었다.2. 이름
'환취(環翠)' 뜻은 '푸른 기운(翠)이 감돈다(環)'이다. '취'는 '비취'란 뜻인데 여기서는 의미가 넓어져 비취색, 즉 푸른색을 나타낸다. 환취정 주변에 나무 숲이 우거져있기에 숲의 푸름이 정자를 둘러 아름다움을 자아낸다는 의미인 듯 하다.3. 역사 및 용도
1483년(성종 14년) 옛날 태종이 머물던 수강궁 자리에 대비들을 위해 창경궁을 창건할 때 함께 지었다. 이름은 성종이 직접 지었으며 당시 좌부승지였던 김종직에게 기문을 짓게 했다.#환취정기딱히 용도를 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여러 용도로 사용한 듯 하다. 성종은 환취정에서 종친들과 함께 잔치를 즐기고 활쏘기 구경을 했으며#, 명종은 이곳에서 유생 7명을 데려다 읽은 글을 강하게 했다.#
임금이 병에 걸렸을 때 안정을 취하기 위한 공간으로도 쓰였다. 경종과 순조가 그랬는데, 특히 경종은 이곳에 머물던 중에 세상을 떠났다.###
정조 때 환취정 옆에 혜경궁 홍씨의 처소 자경전을 지으면서 이후 환취정은 자경전에서 의례를 행할 때 준비하는 장소로 활용되었다. 일례로 1827년(순조 27년)에 효명세자가 어머니 순원왕후를 위해 진연을 열 때 환취정을 자경전과 더불어 의례 장소 중 한 곳으로 사용했다.#
<colbgcolor=#bf1400> 1827년(순조 27년) 9월에 자경전에서 열린 진연을 기록한 《자경전진작정의궤》에 실린 〈환취정도〉# |
1856년(철종 7년) 6월 17일 자 《승정원일기》에 실린, 철종이 환취정에서 신하들을 만났다는 기사가 환취정에 대한 마지막 공식 기록이다.# 언제 없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순종 연간에 제작한 〈동궐도형〉에 보이지 않으므로, 그 이전이나 그 무렵에 사라진 듯 하며 자경전과 함께 창경궁의 장기 복원계획에 포함되었지만 언제 복원될지는 미지수이다.
4. 구조
※ 현재 없는 건물이기 때문에, 〈동궐도〉 모습을 토대로 적었다.<colbgcolor=#bf1400> 〈동궐도〉 환취정 |
- 기단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다. 남쪽 칸은 4칸, 북쪽 칸은 2칸이며 남쪽 칸 가장자리에는 쪽마루를 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