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05:41:30

후궁: 제왕의 첩

후궁: 제왕의 첩 (2012)
The Concubine
파일:external/65.media.tumblr.com/tumblr_m7z4h1CrSD1rx6z2bo5_1280.jpg
장르 스릴러, 멜로, 로맨스, 느와르, 드라마, 피카레스크
감독 김대승
각본 김대승, 김미정, 황윤정
제작 황기성, 장영환
출연 김동욱, 김민준, 조여정, 박지영
촬영 황기석
주제곡 '꽃이 진다'(서영은)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기성사단
투자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촬영 기간 2011년 11월 3일 ~ 2012년 2월 28일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6월 6일
상영 시간 122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636,385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시놉시스3. 출연4. 평가
4.1. 고증
5. 여담

[clearfix]

1. 개요


<번지점프를 하다>, <혈의 누>를 만든 김대승 감독의 2012년 6월 6일 개봉작. 조여정, 김동욱, 김민준 주연.

2. 시놉시스

왕(정찬 분)의 이복동생인 성원대군(김동욱 분)은 자주 들르던 심참판(안석환 분)의 집에서 우연히 만난 심참판의 딸 화연(조여정 분)에게 첫눈에 반하게 되지만, 이미 화연은 아버지 모르게 식객인 권유(김민준 분)와 깊이 사랑하는 사이였다. 게다가 성원대군의 생모인 대비(박지영 분)[1] 역시 정치적인 이유로 아들이 화연을 마음에 둔 것을 몹시 못마땅해 하고 있었다.

화연과 권유는 사랑의 도피를 하게 되지만 이내 잡히게 된다. 화연은 권유를 살리기 위해 대비가 주선한 왕비 간택[2]에 참여해 스스로 궁에 들어가는 길을 선택한다. 그러한 화연의 결심 때문에 권유는 목숨은 건졌지만 고자[3]가 된다. 이 때문에 권유는 심참판과 화연에게 심한 배신감을 느낀다. 물론 성원대군 역시 화연이 왕비로 내정돼 입궁한다는 걸 알자 몹시 분노해 심참판을 닦달하나 심참판으로부터 어쩔 수 없었다는 답변만 듣는다.

몇 년이 지난 후 왕은 죽고 성원대군이 왕위에 오르지만 수렴청정을 하고 있는 대비의 손아귀에 휘둘리고 있는 상태다. 사실상 국정을 운영하고 있던 대비는 왕권을 확고히 하기 위해 선왕의 비였던 화연과 화연 소생의 왕자를 죽이려 한다. 어린 아들을 데리고 어떻게든 궁궐에서 살아남으려는 화연, 형수였던 화연에게 여전히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는 성원대군, 그리고 내시의 몸으로 다시 화연 앞에 나타난 권유 이 세 사람으로 인하여 궁궐의 심상치 않은 공기는 더욱 짙어지는데...

3. 출연

[ 그 이외의 단역 펼치기ㆍ접기 ]
* 김왕근- 집사 역
  • 여준기- 왕자 역
  • 채동현 - 대전내시 역
  • 민지민- 근위내시 역
  • 김선영- 대전상궁 역
  • 김강우- 상호내시 역
  • 이용직- 밀궁간수 역
  • 최우형- 성원대군수하 역
  • 신민철- 옥사정 역
  • 전주병- 무사 역
  • 김좌형- 금군 역
  • 임형태- 내관 역
  • 김수현- 나인 역
  • 김우주- 상원 역
  • 사공진- 무봉 역
  • 문승혁- 내시 역
  • 장지민- 궁녀1 역
  • 박미리- 궁녀2 역
  • 김혜림- 침전궁녀1 역
  • 김성민- 침전궁녀2 역
  • 홍수지- 욕실궁녀1 역
  • 이유이- 욕실궁녀2 역
  • 강화선- 욕실궁녀3 역
  • 유진선- 욕실궁녀4 역
  • 최정현- 매맞는내시1 역
  • 김효민- 매맞는내시2 역
  • 도미경- 신참판부인 역
  • 정일원- 망나니 역
  • 박미리- 스탠딩배우 역
  • 문승혁- 스탠딩배우 역
  • 양환오- 합궁방테스트촬영 역
  • 최은- 합궁방테스트촬영 역

4. 평가

엄밀하게 말하면 제목 자체가 잘못되었다. 극중 여주인공인 화연은 후궁이 아니라 중전으로 들어간 것이고, 대부분은 대비로 등장한다. 감독은 후궁으로 들어갔다가 왕의 후계자가 될 아들을 낳아서 중전이 되었다고 하는데, 정작 영화상에는 그에 관한 내용이 안 나온다. 그래서 관객들은 "주인공이 중전이었다가 대비가 되는데 왜 제목은 후궁인가?"하고 의아해했다. 결국 후궁이라는 이미지에서 오는 에로티시즘 낚시용 제목. 이 극에서 진짜 제목에 걸맞은 사람은 어찌보면 주인공이 아닌 조은지가 맡은 금옥 역이다. 화연의 몸종 궁녀였다가 왕의 승은을 입었으니까.

그냥저냥 넘어가는 사실이지만 이 작품은 시놉시스만 봐도 알 수 있듯 신상옥 감독의 1968년작인 내시의 스토리를 상당 부분 가져온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배경설정은 얘기만 안 했다 뿐이지 노골적으로 명종대인 것부터가 그렇고 결말부 전개조차 거의 같다. 엔딩은 다르지만.

관객들의 평은 별로 좋지 않았지만 평론가들의 평은 조여정, 김동욱 등의 훌륭한 연기력과 출중한 스토리 등으로 6~7점 수준으로 좋은 편이었다.[4] 노출 마케팅으로 빈축을 사기도 했으나 오히려 노출에 가려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작품. 궁중 암투를 겪어가면서 점차 어둡게 변해가는 주연들에 대한 담백하고도 차가운 묘사가 인상적인 작품이다.

물론 어느정도 에로티시즘으로 마케팅을 했기 때문에 비난은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2시간 영화 치고는 노출 분량이 12분으로 아주 길지는 않다. 특히 권유와 화연의 첫번째 베드신은 1분도 안되며, 서로 끌어안고 입을 좀 맞추다가 끝난다. 조여정의 인터뷰에 따르면 권유와 화연의 베드신을 훨씬 더 길게 촬영했는데, 김대승 감독이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대부분 빼버렸다.#

조여정은 <방자전>의 춘향이 배역보다 더 상처와 굴곡이 많은 배역을 맡아 발전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방자전>에 이어 연달아 수위높은 베드신이 포함된 사극의 여주인공을 맡게 되었다. 따라서 노출 이미지가 굳어진다는 우려가 있었다.[5] 조여정 본인도 언론이 노출만 관심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럼에도 <방자전>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 역시 시나리오가 마음에 들고 스스로에 대한 확신 및 감독에 대한 믿음이 있어 출연했고,# 노출 및 정사신도 영화 전체의 맥락에서 필요했다고 언급했다.#[6] 다행히 이후 조여정은 갈수록 연기 측면에서 호평을 들으며 이후 다양한 영화 및 드라마에 출연해 아역 이후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4.1. 고증

역사적으로는 조선의 인종명종 시기를 다루고 있다. 이 기준에서 보면 선왕은 인종, 화연은 인성왕후 박씨, 대비는 문정왕후, 성원대군은 본래 역사에서 경원대군이었던 명종이 된다. 선왕의 급사나 대비에 휘둘리던 명종의 치세 등이 그대로 들어맞는다. 다만 화연만 판타지인데, 인성왕후 박씨는 인종의 세자빈으로 시작했고, 자식이 하나도 없었다. 그래서 대놓고 명종이나 경종, 문정왕후와 같은 인명을 넣지 못하고, 가상역사적 시대극이 되었다.
파일:external/db.kookje.co.kr/L20120608.22027191441i1.jpg
고증을 따져보면 영화는 조선시대를 모티브로 했을 뿐, 조선이 아닌 어느 다른 동양나라 A라고 해도 무방하다. 왕실의 권력구조가 아무리 봐도 조선은 아닌 느낌. 대비가 왕의 뺨을 때리고[7] 왕보다도 높은 자리에서 수렴을 치고 군림한다.
파일:external/pds23.egloos.com/b0002781_4fda0ec22c398.jpg
복장 또한 미술 소품으로 보면 괜찮은 편이지만 고증에 있어선 엉망이다. 대비의 가채도 정체불명의 해괴한 형태이다. 거기에 선왕의 배우자, 즉 엄연한 대비를 신하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죽이려 드는 정신 나간 행태부터 시작해서 역덕들이 보기에는 매우 불편한 영화가 되고 말았다.(...)

다만 애초에 이 영화는 고증을 철저하게 지켜야 할 정도의 순수 역사 장르가 아니거니와 그보다는 정치 스릴러에 더 가까운 판타지 영화에 지나지 않는다. 등장인물들부터 허구로 치부해 버렸기에 제작단계부터 고증을 중요시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비슷한 예로 황후화가 있으며, 반대로는 실제인물과 역사를 다뤘다가 고증이 개판이 났던 나랏말싸미와는 차원이 다르다.

또한 박민정 배우가 맡은 중전은 단역임에도 불구하고 강렬한 베드신을 보여주었다. 왕과의 성교 장면이 상당히 압권.

5. 여담


[1] 엄밀히 말하면 대왕대비이다. 초반에는 선왕의 왕비였으나 중반에 의붓아들인 왕이 죽었기 때문. 따라서 중반부터는 대비는 대왕대비가 되고, 화연이 대비이다.[2] 참고로 왕의 첫 왕비는 출산하다 사망했으며, 왕은 먼저 간 왕비에게 미안해 오래도록 다시 왕비를 들이지 않고 있던 상태였다. 이에 대비가 성원대군과 화연의 관계도 끊고, 의붓아들인 왕도 챙기는 척하는 취지에서 급하게 왕비 간택을 주선한 것이다.[3] 심참판이 노비들을 시켜 완전히 거세한다.[4] 때문에 영화를 본 이들은 나중에 노출 같은 요소를 배제한 채 스토리만으로 드라마 등으로 리메이크 되었으면 하는 의견도 있다.[5] 물론 지나치게 노출 마케팅을 한 제작사, 배급사의 잘못도 있고, 언론이 선정적으로 영화의 일부인 여배우의 노출에만 너무 초점을 맞추는 것은 고질적인 문제점이다.[6] 조여정은 언론의 노출 위주 보도에 대해서는 비판했지만, 일단 노출 자체는 두 작품 모두 시나리오상 정사 장면에서 벌거벗고 관능적 매력을 발산하는것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었고, 또 언론과 달리 관객들은 자신이 벗는것을 보고싶은게 당연하니까 그 이유로라도 영화를 보러오면 연기 자체만으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당당하게 밝혔다.##[7] 문정왕후가 했다는 카더라가 있지만 근거 없는 야사에 불과하다. 오히려 문정왕후는 명종을 매우 아꼈다.